【 청년일보 】 최근 20대 청년층에서 '결혼하지 않아도 아이를 가질 수 있다'는 인식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17일 통계청 '2024년 사회조사'와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20대 청년 5명 중 2명(42.8%)은 비혼 출산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는 지난 2014년 30.3%에 비해 10년 새 12.5%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특히, '비혼 출산을 전적으로 동의한다'는 응답은 같은 기간 5.7%에서 14.2%로 3배 가까이 늘어 주목된다. 반면, '전적으로 반대한다'는 응답은 34.9%에서 22.2%로 감소하며, 청년층의 가치관 변화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성별로 보면, 20대 남성 43.1%, 여성 42.4%가 비혼 출산에 긍정적으로 답하며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전적으로 동의한다'는 응답은 남성(12.6%)보다 여성(15.9%)이 더 높아, 여성이 비혼 출산에 대해 더 열린 태도를 보였다. 한편,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거나 '하는 것이 좋다'고 답한 20대 비율은 2014년 51.2%에서 올해 39.7%로 감소했다. 결혼이 필수라는 인식은 줄어든 반면, 비혼 출산에는 보다 개방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실제 출산율에서도
【 청년일보 】 지난해 혼인한 부부 10쌍 중 1쌍은 다문화 가정으로, 다문화 혼인의 비중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통계청이 7일 발표한 '2023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다문화 혼인 건수는 2만431건으로 전년 대비 17.2%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전체 혼인 중 다문화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10.6%로 1.5%포인트(p) 상승했다. 다문화 혼인 유형에서는 외국인 아내와 결혼한 사례가 69.8%로 가장 많았다. 반면 외국인 남편과의 혼인은 17.9%, 귀화자와의 혼인은 12.3%를 차지했다. 연령별로는 남편이 45세 이상인 경우가 33.2%로 가장 많았고, 아내는 30대 초반이 23.6%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다문화 부부의 평균 초혼 연령은 남성이 37.2세, 여성이 29.5세로 나타났다. 남성의 초혼 연령은 전년보다 소폭 상승했으나, 여성은 다소 낮아졌다. 특히 남편이 아내보다 연상인 경우가 76.1%에 달했고, 남편이 10세 이상 연상인 경우는 38.1%로, 전년 대비 3.1%p 증가했다. 국적별로 보면, 다문화 가정의 외국인 아내 출신 국가는 베트남이 27.9%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중국(17.4%), 태국(9.9%)이 뒤를 이
【 청년일보 】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 청년 10명 중 9명은 임금과 복지가 좋다면 기업 규모는 상관없다고 여기고 ▲ 임금·복지보다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이 중요하며 ▲ 식대 등 금전 지원보다 특별휴가·유연근무 등 유연한 업무 형태를 더 선호한다는 내용의 '2024년 상반기 청년층 대상 채용동향조사' 결과를 5일 발표했다. 조사는 올해 7월 12∼31일 전국 17개 시도 청년(19∼34세) 중 재직자와 1회 이상 직장 경험이 있는 구직자 4천1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응답자의 81.9%는 일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로 '생활에 필요한 돈을 벌기 위해'라고 답했다. '능력을 발휘해 성취감과 보람을 느끼기 위해'라는 응답은 7.6%에 그쳤다. 응답자들은 좋은 일자리의 기준(복수응답)으로 '임금·복지'(69.2%), '일·생활 균형'(51.2%) 등을 골랐다. 특히 청년 대다수(87.0%)는 직장 선택 시 '임금·복지가 좋다면 기업 규모는 관계없다'(복수응답)고 응답했다. '임금·복지보다 워라밸이 중요하다'는 응답자는 63%였고, 59.1%는 '임금이 높다면 비정규직이라도 취업할 생각이 있다'고 말했다. 희망 임금수준은 '300만∼350만원'(25.9%
【 청년일보 】 30대 중에서 2명 중 1명은 결혼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 확대 공표 자료에 따르면, 18세 이상 내국인 4천294만1천명 중 미혼 인구는 1천267만5천명(29.5%)으로 집계됐다. 반면, 배우자가 있는 '유배우' 인구는 2천432만1천명(56.6%)이었고, 사별이나 이혼을 한 인구는 594만5천명(13.8%)이었다. 성별 미혼율은 남성이 34.2%, 여성이 24.9%로 남성의 미혼율이 더 높았으며, 특히 혼인율과 출산율이 높은 연령대인 30대의 미혼율이 51.3%에 달해 결혼하지 않은 비율이 절반을 넘어섰다. 시도별로는 서울의 미혼율이 62.8%로 가장 높았으며, 세종이 34.4%로 가장 낮았다. 또한,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하는 고령인구인 노년부양비는 지난해 기준 27.3으로, 15.9였던 유소년부양비를 초과하며 고령화 문제의 심각성이 드러났다. 통계청은 저출생·고령화, 지역 소멸 등 인구 위기 대응을 위해 이달 말부터 등록센서스(인구주택 총조사 전수부문) 결과를 확대 제공한다. 지역별 유소년부양비·노년부양비·노령화지수, 장애인 인구·가구는 국가통계포털(코시스) 통계표로 신규 제공된다.
【 청년일보 】 한국과학기술원(이하 KAIST) 연구팀이 기존 제품 대비 피부 탄력을 3.4배 향상시키는 LED 마스크를 개발했다. KAIST는 이건재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3천770개의 마이크로 LED와 광확산층(광원이 방출하는 빛을 고르게 분산시켜 균일한 발광을 유도하는 층)을 활용해 피부 노화를 억제할 수 있는 면 발광 방식의 유연한 LED 마스크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최근 비침습적 방식의 웨어러블 LED 마스크가 주목받아 왔으나, 기존 제품은 딱딱한 구조와 점 발광(점으로 보이는 발광 형태) 방식으로 인해 광손실이 발생하고, 치료용 빛이 진피층까지 균일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유연한 기판에 3차원 종이접기 구조를 적용해 얼굴의 굴곡과 돌출된 부분에 밀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이를 통해 1.5㎜ 깊이 진피까지 빛을 균일하게 전달했으며, 진피 내 미토콘드리아를 자극해 콜라겐과 탄력 섬유 합성을 촉진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피부 탄력·주름·처짐·모공 등 8가지 모든 피부 노화 지표에서 개선효과를 확인했다. 33명의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한 대학병원 임상시험에서 기존 LED 마스크 대비 진피층의 피부 탄력이 3.4배 향상되는
【 청년일보 】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지 2년이 지난 가운데, 국민 3명 중 2명은 정부의 대응이나 후속대책이 미흡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명 중 1명은 압사사고에 대한 교육이나 홍보에 대해 정부 홍보 매체보다는 안전교육 등 개별 교육 등 스스로가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고 응답해 정부에 대한 의존도가 낮았다.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이하 안실련)은 29일 이태원 참사 2주기를 맞아 실시한 '이태원 참사 2주기 대국민 안전의식 조사'를 발표하고, 이태원 참사 재발방지를 위한 정부의 대응 노력을 촉구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3일부터 25일까지 3일간 온라인으로 진행됐으며, 10대부터 60대까지 총 206명의 국민이 참여했다. 조사 결과, 202명의 응답자중 이태원 참사 관련, 정부의 대응 및 후속대책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는지에 대해 87명이 '불만족', 47명이 '매우 불만족'이라고 답변하는 등 134명(65%)이 부정적인 답볍을 제출했다. 이태원 참사와 같은 압사사고에 대한 교육이나 홍보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 '안전교육 등 개별교육을 통해 수집한다'(102명, 50%)고 답변했으며, 이어 'TV, 인터넷, 신문 등'이 89명(43%)로 뒤를
【 청년일보 】 올해 3분기 전국 땅값 상승률이 0.59%로 집계되며, 전분기 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24일 발표한 '2024년 3분기 전국 지가변동률 및 토지거래량' 자료에 따르면, 이번 분기 전국 땅값 상승 폭은 전분기(0.55%)보다 0.04%포인트 늘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0.30%)에 비해서도 0.29%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서울 강남구는 3분기 동안 1.45%의 지가 상승률을 기록하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강남 일대의 재건축·재개발 사업 활성화와 부동산 수요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성남시 수정구(1.40%)와 경기 용인시 처인구(1.32%)도 각각 대규모 개발 사업과 산업단지 조성 계획으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수도권의 땅값 상승세는 지속되고 있다. 수도권 지가는 0.75% 상승하며, 전분기(0.70%) 대비 0.05%포인트 확대됐다. 반면, 지방은 0.31% 상승해 비교적 낮은 상승폭을 보였지만, 전분기(0.30%)보다 다소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0.87%로 가장 큰 폭으로 올랐고, 경기(0.66%)와 인천(0.53%), 부산(0.49%)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 청년일보 】 올해 들어 서울 주요 상권의 공실률이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외국인 관광객이 몰리며 명동 상권의 공실률이 눈에 띄게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엔데믹 이후 상권 회복이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상권별로는 차별화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17일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코리아가 발표한 '2024년 서울 리테일 가두상권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서울 6대 주요 상권의 평균 공실률은 18.3%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4%포인트(p) 감소했다. 특히 명동은 외국인 관광객 증가에 따라 공실률이 급격히 하락한 상권으로 꼽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명동 상권의 2분기 공실률은 6.8%로, 전년 대비 7.6%p 하락하며 서울 주요 상권 중 가장 낮은 공실률을 기록했다. 이는 명동이 서울에서 외국인 관광객이 가장 많이 찾는 지역으로 자리 잡았기 때문으로, 지난해 명동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수는 2022년 대비 8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가로수길은 2분기 공실률이 39.4%로, 전년 대비 2.9%p 상승하며 서울 주요 상권 중 가장 높은 공실률을 기록했다. 보고서는 "가로수길 상권은 한남, 성수, 도산공원
【 청년일보 】 최근 5년간 주 52시간제 도입과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직장인들이 업무를 마치고 퇴근하는 시간대가 빨라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KB국민카드는 서울과 수도권의 5개 주요 업무지구(광화문, 강남, 여의도, 구로, 판교)에서 직장인들이 퇴근 후 지하철을 타는 시간을 분석한 결과, 올해 평균 퇴근 시각이 2019년에 비해 19분 빨라졌다고 16일 밝혔다. KB국민카드의 분석에 따르면, 2019년에는 평균 퇴근 지하철 승차 시각이 오후 6시 47분이었으나, 올해는 오후 6시 28분으로 앞당겨졌다. 이는 해당 업무지구 인근 지하철역에서 오전 6시부터 10시 사이 월 10회 이상 하차한 개인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고객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2019년 1월부터 8월까지와 2024년 같은 기간의 퇴근 시간대를 비교한 결과다. 주목할 만한 변화로는 오후 5시부터 6시 사이 지하철 승차 비중이 2019년 13%에서 올해 23%로 10%포인트 증가한 점이다. 반면 오후 6시부터 7시 사이 승차 비중은 45%에서 43%로 소폭 감소했고, 오후 7시부터 8시 사이 비중도 3%포인트 줄어들었다. 업무지구별로는 구로 지역 직장인들의 퇴근 시간이 21분 빨라져 가장 큰
【 청년일보 】 올들어 서울 아파트 평균 분양가가 3.3㎡(1평)당 2천만원 가까이 올라 전국 지역 가운데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 이로 인한 지역별 양극화는 더욱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10월 현재 서울의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5천469만원으로, 작년 연평균 분양가(3천508만원)에 비해 1천961만원 올랐다. 국민평형으로 불리는 전용면적 84㎡라면 작년보다 6억원 이상 오른 셈이다. 경기도는 2천72만원으로 작년 연평균(1천868만원) 대비 204만원 올랐고, 인천은 작년(1천713만원)보다 253만원 오른 1천966만원으로 나타났다. 전국의 아파트 분양가는 평균 2천67만원으로 작년 평균(1천800만원) 대비 267만원 인상됐다. 전용 84㎡ 기준으로 분양가가 9천78만원 상승했다는 의미다. 올해 말까지 전국 분양가가 지속해서 상승한다면 가구당 분양가가 작년에 비해 1억원 이상 오를 수도 있다. 지방에서는 울산이 3.3㎡당 2천296만원으로 작년(1천598만원)보다 698만원 올랐고, 부산(1천952만원→2천356만원)도 404만원 뛰었다. 대구(1천772만원→2천14만원), 대전(1천830만원→2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