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코스피가 하락으로 장을 마감했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장 대비 0.63%(22.74포인트) 내린 3,561.81에 거래를 마쳤다.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914억원, 4천343억원 매입했으며 기관 홀로 5천929억원 매도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삼성전자(-1.82%) ▲SK하이닉스(-0.84%) ▲삼성전자우(-1.36%) ▲두산에너빌리티(-2.32%) ▲한화에어로스페이스(-6.04%) ▲HD현대중공업(-4.06%) ▲KB금융(-0.63%) 등은 하락했다. 반면 LG에너지솔루션(6.94%) ▲삼성바이오로직스(0.69%) ▲현대차(2.06%) 등은 올랐다. 코스닥은 전장 보다 1.46%(12.53포인트) 내린 847.96으로 장을 마감했다. 개인 홀로 2천315억원 매입했고,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천194억원, 1천179억원 매도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서 ▲레인보우로보틱스(-2.03%) ▲펩트론(-4.97%) ▲파마리서치(-4.47%) ▲리가켐바이오(-3.10%) ▲HLB(-3.30%) ▲에이비엘바이오(-1.64%) ▲삼천당제약(-0.74%) 등은 내렸다. ▲알테오젠(0.45%) ▲에코프로비엠(5.01%) ▲에코프
【 청년일보 】 한국산업은행은 14일 친환경 프로젝트 지원을 위해 한국형 녹색채권 5000억 원을 발행했다고 14일 밝혔다. 해당 채권은 3년 만기, 2.64%로 발행됐다. 금융위원회와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수립한 '한국형 녹색채권 가이드라인'상의 발행 절차를 준수했다. 녹색채권 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은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에 적합한 풍력발전 소재 등 친환경 프로젝트에 대한 녹색금융 지원에 사용될 예정이다. 향후 자금배분이 완료되면 홈페이지에 자금배분 내역 및 환경개선 영향을 공시할 계획이다. 산업은행은 2018년 국내 최초로 원화 녹색채권을 발행한 이래 최근 2년간 은행권 중 최대 규모로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국내 녹색채권 시장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녹색채권 발행과 친환경 프로젝트에 대한 녹색금융 지원을 위해 적극 노력할 계획이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
【 청년일보 】 우리은행(은행장 정진완)은 자사의 알뜰폰 서비스 ‘우리WON모바일’ 신규개통 고객에게 10월 한 달간 34.2만원 상당의 혜택을 제공하며, 우리금융그룹 ‘우리금융 다함께 페스타’와 연계 시 최대 37.2만원까지 누릴 수 있는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은 다양한 네이버페이포인트(이하 Npay포인트)와 쿠폰, 요금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Npay포인트 구성은 ▲이벤트 응모 시 3만 Npay포인트 ▲eSIM 개통 시 2만 Npay포인트 ▲추천코드 입력 시 추천한 사람과 추천받은 고객 각각 5만 Npay포인트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우리WON모바일 멤버십 가입 고객은 연 최대 6만원 상당 쿠폰과 ‘청년드림100GB+’개통 시 1년간 최대 52,800원의 요금할인도 받을 수 있다. 특히, 이달 13일부터 31일까지 우리금융그룹이 진행하는 ‘우리금융 다함께 페스타’ 기간 동안 개통 후 이벤트에 응모한 고객은 3만 Npay포인트를 추가로 받아, 최대 37.2만원 상당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이벤트 상세 내용은 우리WON뱅킹 앱 홈 화면 하단 ‘혜택 ▷ 지금 진행 중인 이벤트 ▷ 알뜰한 우리WON모바일 최대 34.2만원
【 청년일보 】 신한은행(은행장 정상혁)은 지난 13일 서울시 중구 소재 신한은행 본점에서 외국인 유학생 전용 플랫폼 기업인 하이어다이버시티(대표이사 심화용)와 외국인 고객 금융서비스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하이어다이버시티는 국내 거주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에서 체류하는데 필요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기업으로, ‘HireVisa’ 앱을 통해 외국인등록증 발급, 비자연장, 체류자격 및 거주지 변경 등 다양한 행정절차를 비대면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외국인 고객 금융 편익 증진을 위한 협업 추진 ▲외국인 고객 대상 공동 마케팅 추진 등 외국인 고객 편의성 제고를 위한 다방면의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국내 거주 외국인 고객의 금융 접근성과 생활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외국인 플랫폼과 협업해 고객 편의성을 높이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
【 청년일보 】 KB금융(회장 양종희)은 자사 금융 콘텐츠 플랫폼 ‘KB의 생각, KB Think(이하 KB의 생각)’이 런칭 20개월 만에 누적 조회수 3천만을 돌파했다고 14일 밝혔다. ‘KB의 생각’은 2024년 2월 국내 금융그룹 최초로 선보인 금융 콘텐츠 플랫폼으로, 고객이 필요로 하는 금융 정보 콘텐츠를 꾸준히 제공하여 단기간 내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었다. ‘KB의 생각’은 약 3만여 건의 방대한 콘텐츠 자산을 기반으로, KB스타뱅킹(KB국민은행), KB Pay(KB국민카드) 등 KB금융의 핵심 플랫폼과 유기적으로 연동해 고객의 금융 여정 곳곳을 지원하고 있다. 이 같은 노력으로 ‘KB의 생각’은 단순한 금융 정보 제공을 넘어 고객과 지속적인 관계를 맺는 금융 콘텐츠 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있다. 금융 콘텐츠 플랫폼 중에서도 이례적으로 빠른 'KB의 생각'의 성장은 세 가지 핵심 콘텐츠 전략이 결합된 결과다. 먼저, 신뢰성 높은 전문가 콘텐츠를 최우선 가치로 내세웠다. 정보 출처가 불분명하거나 잘못된 정보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는 시대적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법으로 검증된 전문가들을 전면에 내세웠다. 250여 명에 달하는 필진은 KB국
【 청년일보 】 교보라이프플래닛생명(이하 교보라플)은 지난 1일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기업 GC케어와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고객맞춤형 심사제도 ‘DDUW(Data Driven Underwriting)’ 고도화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협력을 통해 교보라플은 AI 기반 디지털 역량을 기반으로 자체 DDUW 시스템에 GC케어에서 보유한 건강검진 분석 데이터를 결합해, 개인별 바이오 지표를 정밀하게 반영한 고객중심의 맞춤형 보험심사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교보라플이 보험 심사과정에서 고객이 이탈하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지난 6월부터 적용한 고객맞춤형 심사제도 DDUW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HIRA) 데이터와 AI를 활용해 심사 단계에서 가입 가능성을 즉시 제시하는 보험인수 심사 프로세스다. 이를 통해 고객은 불필요한 문답이나 반복 거절 경험 없이 쉽고 빠르게 가입 가능한 상품과 담보를 먼저 확인할 수 있다. 시스템 적용 이후 일반사망 담보 4배, 입원·수술 담보 15배 등 자동승인 지표가 단기간에 크게 개선됐으며 고객이탈률과 민원 리스크까지 대폭 완화됐다. 교보라플은 이러한 성과를 기반으로 이번 GC케어와의 협력을 통해 AI 기
【 청년일보 】 동양생명은 소액으로 일상생활에서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상해 위험인 골절·깁스를 보장하는‘(무)우리WON미니상해보험’을 출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상품은 등산, 캠핑, 라이딩 등 야외 활동은 물론 겨울철 빙판길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미끄럼 사고로 인한 골절 및 깁스 치료까지 보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20세부터 최대 70세까지 가입 가능하며 보험기간 중 재해로 인한 골절 진단 시 발생 1회당 10만원을, 질병 또는 재해로 깁스 치료 시 깁스 치료 1회당 10만원을 보장한다. 1년 만기 일시납 상품으로 보험료는 40세 기준 남성은 3천660원, 여성은 3천450원 수준이다. 인당 3천원 수준의 저렴한 보험료로 가입할 수 있어, 4인 가족도 1만 원 대로 온 가족이 보장을 받아 생활 속 안전망을 소액으로 마련할 수 있다. 동양생명 관계자는 “작은 사고에도 생활에 큰 불편이 따르는 만큼, 고객들이 레저 활동은 물론 일상 속 예상치 못한 사고에도 안심하고 보장받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며 “앞으로도 소액으로 가입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보장부터 든든한 보장까지 다양한 상품을 선보이며 고객의 일상을 지키는 든든한 지킴이가 되겠다”고 말했다. 【 청년일
【 청년일보 】 삼성전자가 어닝 서프라이즈에 힘입어 상승세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21분 기준 거래소에서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2.79% 오른 9만5천900원에 거래 중이다. 이날 삼성전자는 올 3분기 매출액 86조원, 영업이익 12조1천억원을 기록했다며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액은 역대 분기 최고치를 경신했고, 영업이익은 당초 전망치인 10조1천923억원을 2조원 가까이 웃돌며 어닝 서프라이즈(깜짝실적)를 기록했다. 【 청년일보=신정아 기자 】
【 청년일보 】 코스피가 상승으로 장을 시작했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장 보다 19.57포인트(0.55%) 상승한 3,604.12에 개장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장 대비 4.88포인트(0.57%) 오른 865.37에 거래를 시작했다. 한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보다 0.7원 오른 1,426.5원에 개장했다. 【 청년일보=신정아 기자 】
【 청년일보 】 프라임에셋은 자사의 종합 보험상품 비교 플랫폼인 ‘픽앤플랜(Pick’n Plan)’을 통해 네이버페이 5천 포인트를 지급하는 고객 참여형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이벤트는 ‘픽앤플랜(Pick’n Plan)’ 모바일 앱과 웹사이트 메인 화면의 이벤트 안내 팝업을 통해 상담 요청만 해도 참여할 수 있다. 해당 화면을 통해 프라임에셋의 플래너와 상담 시 이벤트 참가 자격을 얻게 되며 상담은 전화, 채팅을 통해 진행 가능하다. 이벤트는 기간 중 최초 1회에 한해 네이버 페이 5천 포인트를 받을 수 있고 1인 1회에 한해 참여 가능하다. 이번 이벤트 관련 상세 내용은 ‘픽앤플랜’ 모바일 앱 및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프라임에셋 관계자는 “개인정보 제공 없이 다양한 보험 상품을 쉽고 편리하게 검색, 비교, 선택할 수 있는 ‘픽앤플랜’을 더 많은 고객이 경험할 수 있도록 이번 이벤트를 기획했다”며 “향후 지속적인 상품 확장과 기능 고도화, 다양한 이벤트 등을 통해 고객의 모든 보험 니즈를 해소시키는 종합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청년일보=박상섭 기자 】
【 청년일보 】 원·달러 환율이 고공행진하면서 달러 선물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 수익률이 상승 중이지만, 개인 투자자들은 달러 약세에 대거 베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KODEX 미국달러선물레버리지' ETF 종가는 1만6천685원으로 한 달 전(1만5천750원) 대비 5.94% 올랐다. 같은 기간 'TIGER 미국달러선물레버리지'(5.90%), 'KIWOOM 미국달러선물레버리지'(5.65%) ETF 등도 일제히 올랐다. 레버리지가 아닌 일반 달러 선물 ETF인 'KODEX 미국달러선물'(2.96%), 'KIWOOM 미국달러선물'(2.98%) 등도 상승했다. 이 ETF들은 미국 달러 선물 지수를 기초로 삼아, 달러화 가치의 상승에 따라 수익을 내는 구조를 갖는다. 최근 '아베노믹스'를 지지하며 금리 인상에 반대 입장을 보인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자민당 총재 당선으로 엔화 가치가 하락한 데다, 프랑스에서도 세바스티앵 르코르뉘 총리 사임에 따른 정치 불확실성에 유로화가 약세를 보이면서 달러화 강세 기조가 강해졌다. 아울러 한미 관세 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이어진 가운데 국내 개인 투자자들이 해외 주식을
【 청년일보 】 반도체 대형주의 주가 강세에 국민연금의 올해 3분기 주식 평가액이 34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올해 3분기에 해당하는 기간(7월 1일∼10월 10일) 보유 지분율이 5% 이상이라고 공시한 기업은 293개로 집계됐다. 국민연금의 주식 평가액은 지난 6월 말 174조4천10억원에서 208조1천100억원으로 약 33조7천90억원 증가했다. 국민연금의 보유 주식 평가액 증가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건 대형 반도체주였다. 삼성전자의 주가는 지난 6월 말 종가 기준 5만9천800원에서 지난 10일 9만4천400원으로 57.9% 올랐고, SK하이닉스는 같은 기간 29만2천원에서 42만8천원으로 46.6% 상승했다. 국민연금의 삼성전자 및 SK하이닉스 보유 지분율은 각각 7.75%, 7.35%이다. 이에 따른 주식 평가액 증가 폭은 삼성전자가 약 15조8천690억원, SK하이닉스가 7조2천730억원으로 집계됐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다음으로 주식 평가액 증가분이 큰 종목은 방산 대장주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같은 기간 1조70억원이 증가했다. 그 뒤를 이어 고려아연(지분율 5.18%)이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