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이마트24는 말레이시아 점포 100호점을 돌파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마트24는 지난 2021년 6월 첫 해외 진출로 말레이시아 점포를 오픈한 이후, 4년 만에 말레이시아 내 매장을 100개까지 확대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마트24는 현재 쿠알라룸푸르가 있는 서말레이시아 지역 내에 슬랑오르, 클란탄, 트렝가누, 파항 등 11개 주 주요 도시에 진출해 있으며, 올해 말 130개, 2026년까지 200개 이상 개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100호점은 ‘이마트24 코타다만사라점’으로, 말레이시아 수도인 쿠알라룸푸르 중심부에서 서쪽으로 15km 떨어진 ‘코타다만사라’ 상업지구 내에 위치해 있으며, 해당 점포는 3층 규모의 오피스 건물 내 1층에 위치해 있으며, 32석의 취식 공간을 포함해 총 53평(175㎡) 규모다. 이마트24 말레이시아 100호점에는 ▲전 세계 유튜브 조회수 1위를 차지하며 K-콘텐츠의 신기록을 써온 더핑크퐁컴퍼니의 ‘핑크퐁 아기상어’와 콜라보 한 ‘카운터푸드’ ▲한국ICT(정보통신기술) 대표 기업인 ‘솔루엠’과 협업해 한국의 리테일 테크 기술 구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와 함께하는 ‘K-푸드 프로모션’ 등
【 청년일보 】 롯데마트∙슈퍼가 인기 게임 크리에이터 ‘악동 김블루’와 손잡고, 유튜버 팬덤을 겨냥한 협업 간식을 선보인다고 25일 밝혔다. 악동 김블루는 구독자 211만명을 보유한 게임 유튜버로, 유쾌한 게임 콘텐츠와 친근한 소통 방송으로 다양한 세대의 팬층을 확보하고 있다. 롯데마트∙슈퍼는 오는 26일, 악동 김블루와 협업 ‘해태 미니 자유시간 X 악동 김블루(500g)’를 단독 출시한다 게임 중에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미니바 여러 개를 담은 소포장 구성으로, 김블루 특유의 개성을 담은 디자인을 적용해 1만 980원에 판매한다. 패키지 전면에 ‘김블루’의 대표 캐릭터 일러스트를 삽입해 소장 가치를 높였고, 개별 포장에는 “파밍할 시간”, “치킨 먹을 시간” 등 게임 유저들이 공감할 수 있는 문구로 재미 요소를 더했다. 이번 협업을 기념해 온∙오프라인 채널을 아우르는 다채로운 행사도 마련했다. 먼저, 콜라보 상품 구매 시 ‘김블루’ 이미지가 담긴 키링 3종 중 1종을 한정 수량으로 랜덤 증정한다. 키링은 홀로그램과 사인이 포함된 스페셜 에디션 1종과 일반 일러스트 버전 2종으로 구성됐다. 26일부터는 롯데마트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을 팔로우한 뒤 프로모션
【 청년일보 】 CU가 호주 마카다미아 협회(Australian Macadamias)와 협업해 푸딩, 쿠키, 아이스크림 등 마카다미아 간식 시리즈를 선보인다고 25일 밝혔다. CU는 헬시플레져, 헬스 디깅 등 트렌드에 건강한 원물 간식과 이를 활용한 상품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맞춰 이번 컬래버레이션을 기획했다. CU가 협업한 호주 마카다미아 협회는 호주 마카다미아 생산량의 약 85%를 담당하는 농가, 가공업체, 유통업체 등을 회원사로 둔 대표기관이다. 호주는 마카다미아가 최초로 자생한 ‘마카다미아의 고향’으로 비옥한 화산토와 아열대성 기후로 마카다미아 재배에 최적화된 환경을 자랑하며, 마카다미아 생산지 중 최초로 엄격한 품질 기준과 심사 조건을 도입한 국가다. CU는 해당 협회와 협력하여 고품질의 호주산 마카다미아를 활용한 브레드 푸딩, 초코 쿠키, 브리틀 아이스크림바 간식 3종을 순차적으로 출시한다. 코코로 마카다미아 푸딩(4천500원)은 서울 연남동 디저트 맛집으로 유명한 코코로카라와 협업한 상품으로 고소한 마카다미아맛 브레드 푸딩에 초콜릿 코팅을 올려 깨먹는 재미를 더했다. 진한 초코맛 쿠키에 마카다미아를 듬뿍 얹은 마카다미아 초코 쿠키(2천
【 청년일보 】 GS샵은 오는 7월 1일까지 ‘인스파이어 엔터테인먼트 리조트 숙박 패키지’ 단독 구성 상품을 판매한다고 25일 밝혔다. 디럭스룸 또는 스위트룸 숙박과 함께 조식(2인), 실내 워터파크 ‘스플래시 베이’ 전일 이용권(투숙객 전원), 여름 시즌 한정 디저트인 망고빙수 1개를 포함해 가족 단위 여행에 최적으로 구성했다고 회사 측은 말한다. 가격은 투숙일에 따라 상이하나 방송 중 카드 할인까지 적용하면 디럭스룸 1박 패키지는 구성 상품 개별가격을 최대 75% 할인된 37만6천200원, 2박 패키지는 최대 80% 할인된 56만6천200원에 이용할 수 있다. 해당 상품은 행사 기간 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상시 구매할 수 있고 TV홈쇼핑 ‘샵라이브’와 라이브커머스 채널 ‘샤피라이브’에서 영상과 함께 자세한 상품 소개도 받을 수 있다. 샤피라이브는 26일 오후 8시, 28일 오전 11시, 7월 1일 오후 8시 등 3회에 걸쳐 진행하고, 샵라이브는 29일 오후 7시 25분부터 65분간 특집으로 진행한다. 샵라이브 방송 중에는 특별히 5명을 추첨해 ‘선 타워 선 스위트룸’으로 업그레이드 혜택을 제공한다. 투숙 가능 기간은 27월 1일부터 9월 30일까
【 청년일보 】 GS더프레시는 전통주 전문 브랜드 ‘압구정막걸리’와 아티스트 김재중이 협업한 ‘류’ 막걸리를 오프라인 단독으로 출시한다고 25일 밝혔다. 류 막걸리(용량 750ml, 도수 6도, 가격 3천800원)는 국내산 햅쌀(경기미)을 원료로 사용하고, 총 다섯 번의 발효 과정을 거쳐 완성된 전통주다. 묵직하면서도 깔끔한 풍미, 부드러운 목 넘김을 자랑하며 고급스러운 병 디자인까지 돋보이는 상품이라고 회사 측은 주장한다. GS더프레시는 지난해 출시한 ‘이균 막걸리(참외미나리주)’, 이번 김재중 ‘류 막걸리’에 이어 앞으로도 다양한 이색 상품들을 선보이며 전통주에 대한 관심과 대중화를 함께 이끌겠다는 계획이다. 전재혁 GS리테일 주류팀 상품기획자(MD)는 “전통주를 국내와 해외에 알라고 싶은 김재중씨의 취지에 공감하며 슈퍼마켓을 찾는 소비자들에게 차별화된 상품을 선보이고자 류 막걸리를 준비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시도와 협업을 통해 전통주 시장을 더욱 활기차게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 청년일보=김원빈 기자 】
【 청년일보 】 롯데홈쇼핑은 외형상 이유로 상품성이 낮은 '못난이 사과'를 브랜드화한 ‘아름아리’가 올해 상반기 누적 판매량 350톤(t), 과일 부문 주문건수 1위를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사례는 경상남도 거창군 소재 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 ‘농업회사법인 열매나무’와 협업해 못난이 사과를 성공적으로 상품화한 성과로 꼽힌다. 지난 2023년 폭염, 태풍 등으로 국내 사과 생산량이 2011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함에 따라 과수농가의 어려움을 함께 극복하자는 취지로 기획됐다. 롯데홈쇼핑은 전체 사과 생산량의 약 30%를 차지하는 못난이 사과를 ‘못생겼지만 달콤함은 그대로’라는 콘셉트로 재탄생시켰다. 외관상 흠집이 있어도, 12브릭스 이상 고당도 사과만을 엄선해 품질을 유지했다. 또한 단발성 판매를 넘어 지역 농가와의 지속적 거래·수익 안정·콘텐츠 제작까지 아우르는 구조를 설계했다. ▲월 1회 정기 편성 보장 ▲출하시기 대규모 직매입 통한 안정적인 수익 창출 지원 ▲쇼호스트 활용 ASMR 등 콘텐츠 제작으로 홍보 효과를 극대화했다. 롯데홈쇼핑은 향후 지역 특산물을 발굴하고 농가 직거래 상품 확대를 통해 지역 농가와 상생하는 유통 모델을 강화할 계획이다.
【 청년일보 】 이마트는 오는 26일 킨텍스점을 ‘스타필드 마켓’으로 업그레이드해 새롭게 선보인다고 25일 밝혔다. 스타필드 마켓은 장보기를 넘어 휴식과 문화를 아우르는 ‘신개념 공간 혁신 모델’을 적용,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쇼핑 경험을 제공한다고 회사 측은 말한다. 이번 리뉴얼은 지하 1층 트레이더스와 일렉트로마트를 제외한 지상 1, 2층 영업면적 4천445평(1만4천694㎡)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지상 1, 2층 핵심공간에 스타필드 마켓의 시그니처 특화존인 ‘북 그라운드’와 ‘키즈 그라운드’를 새롭게 조성, 고객들이 휴식과 문화를 즐길 수 있는 면적을 2배가량 확대해 200평(661㎡)으로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올리브영과 다이소처럼 고객 선호가 높았던 기존 브랜드들은 최대 3배가량 매장 면적을 확장해 쇼핑 편의와 만족도를 높였으며, ‘무신사 스탠다드’, ‘모던하우스’, ‘데카트론’ ‘신세계팩토리스토어’등 신규 인기 브랜드들도 대거 유치해 '몰' 경쟁력을 강화했다. 스타필드 마켓 킨텍스점은 가족 단위 고객이 많은 지역 특성을 반영해, 전반적인 공간 구성을 가족 친화적으로 개편했다. 이마트가 상권을 분석한 결과, 고양시의 3인 이상 가구 비중은 41
【 청년일보 】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집값이 급등하면서 주택시장 내 지역 간 양극화가 뚜렷해지고 있다. 특히 서울 아파트 가격은 임대료나 소득 대비로도 과도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나며, 주택시장 위험지수가 3년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는 분석이 나왔다. 25일 한국은행(이하 한은)이 발표한 '최근 주택시장의 특징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1월 이후 올해 4월까지 수도권 주택 매매가격은 9.6% 상승했다. 특히 서울은 같은 기간 16.1%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수도권은 오히려 1.7% 하락했다. 이 같은 차이는 거래량에서도 나타난다. 수도권은 장기 평균을 웃도는 수준으로 거래가 이뤄지고 있는 반면, 비수도권은 평균을 밑돌고 있다. 한은은 "금리 인하 기대가 커지면서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매입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며 "비수도권은 인구 감소와 실물 경기 부진 등으로 구조적인 수요 둔화가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서울 집값 상승세는 최근 더 강해지는 모습이다. 한은은 토지거래허가구역 일부 해제 등의 영향으로 올해 1월 말 이후 7주 만에 서울 주택가격 주간 상승률이 0.2%(연율 기준 약 10%)에 이르렀으며, 강남 일부 지역
【 청년일보 】 올해 5월 국내 주요 유통업체의 매출이 전년 동월 대비 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의 오프라인 매장 방문은 줄었지만, 1회 방문 시 소비 금액이 늘면서 전체 매출은 증가세를 보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월 국내 주요 23개 유통업체의 총매출이 16조1천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7.0% 증가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가운데 온라인 매출은 13.0% 늘어난 반면, 오프라인 매출은 0.9% 소폭 상승하는 데 그쳤다. 오프라인 매출 증가세는 지난 1월 이후 4개월 만이다. 오프라인 채널에서는 백화점(2.3%), 대형마트(0.2%), SSM(1.0%) 등 주요 업태에서 매출이 소폭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편의점 매출은 0.2% 감소했다. 방문 고객 수는 대체로 감소세를 보였다. 백화점(-2.0%), 대형마트(-2.5%), SSM(-3.1%) 등 주요 오프라인 매장의 구매 건수가 줄었지만, 구매단가는 백화점(4.4%), 대형마트(2.8%), 편의점(3.1%)에서 모두 상승했다. 물가 상승과 고가품 소비 확대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산업부는 올해 5월은 작년보다 휴일이 하루 더 늘어났지만, 대형마트와 백화점 방문 고객은 감소한 반면,
【 청년일보 】 삼성자산운용의 'KODEX 상장지수펀드(ETF) 순자산이 업계 최초로 80조원을 돌파했다. 신정부의 국내 증시 활성화 기조에 맞물려 개인의 ETF 투자가 빠르게 확대된 결과란 분석이다. 삼성자산운용은 지난 24일 기준 KODEX ETF의 순자산이 80조5천억원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올해 2월 순자산 70조원를 넘어선 이후 약 4개월 만에 10조원 이상 증가했다. KODEX의 빠른 성장세는 국내외 증시의 우호적인 환경과 더불어 파킹형 상품에 대한 투자자들의 수요 확대, 월배당 상품과 테마형 상품의 전반적인 증가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 주식형, 해외 주식형, 파킹형, 월배당 커버드콜 유형, 신규 테마형 등 약 30개에 달하는 다양한 ETF의 순자산이 1천억원 이상 고르게 증가했으며,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 또한 크게 늘었다. 특히 우리나라 최초의 ETF인 KODEX200이 80조원 돌파에 앞장섰단 분석이다. 새 정부 출범 이후 국내 증시 부양에 대한 기대감으로 코스피가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간 덕분이다. KODEX ETF가 70조원을 돌파한 2월부터 KODEX200의 순자산은 1조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파킹형 상품에 대한
【 청년일보 】 지난해 그룹 전체 매출을 비롯해 당기순이익(순익), 고용 3개 항목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이끄는 삼성그룹이 1위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 전체 영업이익에서는 최태원 회장이 수장으로 있는 SK그룹이 삼성을 근소한 차이로 앞서며 처음으로 최고 자리에 등극했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25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4년도 그룹 총수 경영 성적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그룹 총수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올해 발표한 공정자산 규모가 5조원이 넘는 92개 대기업 집단(그룹)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삼성이 올린 지난해 국내 계열사 그룹 전체 매출 규모는 399조 6천362억원으로, 조사 대상 92개 그룹 중 가장 높았다. 그룹 전체 당기순익도 41조 6천22억원으로 국내 그룹 중에서는 삼성이 가장 컸고, 국내 전체 고용 인원도 28만 4천761명으로 최상위에 이름을 올렸다. 3개 항목 이외에 이재용 회장은 2023년 대비 2024년 그룹 전체 영업이익 증가율이 846.5%를 보이며 그룹 총수 중에서는 세 번째로 좋은 성적을 거뒀다. 삼성의 재작년 대비 작년 그룹 전체 영업이익 규모는 2조 8564억원 수준에서 27조
【 청년일보 】 모던 베이식 캐주얼웨어 브랜드 '무신사 스탠다드(MUSINSA STANDARD)'는 올해 상반기 동안 오프라인 매장 방문객 1천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무신사 스탠다드가 올해 1월부터 지난 24일까지 기준으로 전국 오프라인 매장 방문객을 합산한 결과 누적 1천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전년 동기간과 비교해보면 매장 수는 11개에서 26개로 확대됐고, 방문객 규모는 147%(약 2.5배) 이상 늘었다. 특히 지난해는 연간 방문객 1천만명 돌파까지 11개월 이상이 걸렸는데 올해는 기간을 4개월 넘게 앞당긴 것으로 현재 추세라면 연내에 2천만명 돌파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상반기에 무신사 스탠다드 오프라인 매장을 다녀간 고객을 월 평균으로 계산해보면 매달 176만명에 달한다. 지난 5월에는 한달간 230만명 이상이 무신사 스탠다드 매장을 다녀가며 '월간 최대' 기록을 세웠다. 무신사 스탠다드 점포별 방문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단독 매장 중에서는 서울 성동구의 '무신사 스탠다드 성수'가 상반기 동안 누적 70만명을 기록하며 가장 많은 고객을 끌어모았다. 대형 쇼핑몰·백화점에 자리잡은 숍인숍 점포로는 지난 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