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1천300명대 후반을 나타냈다.확진자 수가 줄기는 했으나 이는 광복절 사흘 연휴(8.14∼16) 검사 건수가 대폭 줄어든 영향이 반영된 결과로 보여진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17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1천373명 늘어 누적 22만6천854명이라고 밝혔다. 전날(1천556명)보다 183명 줄면서 지난 3일(1천200명) 이후 2주 만에 1천400명 아래로 내려왔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 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1천323명, 해외유입이 50명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372명, 서울 361명, 인천 77명 등 수도권이 총 810명(61.2%)이다. 수도권 지역발생 확진자는 지난 11일부터 닷새 연속 1천명대를 나타냈으나 연휴를 거치면서 800명대로 낮아졌다. 비수도권은 경남 103명, 부산 65명, 대구 45명, 충북 43명, 충남 42명, 경북·제주 각 37명, 대전 33명, 강원 23명, 전북·전남 각 22명, 울산 21명, 광주 17명, 세종 3명 등 총 513명(38.8%)이다. 비수도권 확진자는 최근 연휴 사흘간 670명→636명→513명 등을 기록하며 감소하는 흐
【 청년일보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제76주년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국민 70%에 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접종 완료 시점을 당초 11월에서 10월로 한 달 앞당기겠다고 밝힘에 따라 향후 접종 일정에 관심이 집중된다.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자는 지난 14일 하루 14만여명 늘었다. 15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전날 신규 1차 접종자는 14만972명이다. 1차 신규 접종자 수는 주말을 맞아 백신 접종을 위탁받은 의료기관과 지역 접종센터가 문을 닫거나 운영시간을 단축하면서 평일보다는 줄었다. 앞서 평일인 지난 9∼13일에는 1차 신규 접종자가 일별로 43만3천768명, 26만1천380명, 17만5천763명, 16만6천325명, 24만1천514명이었다. 백신 종류별 신규 1차 접종자는 화이자 12만1천593명, 아스트라제네카(AZ) 1만6천348명, 모더나 3천31명이다. 방역당국과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15일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전국에서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신규 확진자는 총 1천429명으로 집계됐다. 전날 같은 시간에 집계된 1천722명보다 293명
【 청년일보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이어지면서 14일 신규 확진자 수는 1천900명대 초반을 나타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1천930명 늘어 누적 22만2천111명이라고 밝혔다. 전날(1천990명)보다 60명 줄었으나 사흘 연속 1천900명대로 집계됐다. 지난달 초 수도권을 중심으로 본격화한 4차 대유행은 최근 비수도권으로 확산하면서 전국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전국적으로 확산세가 거센 상황에서 이날부터 시작되는 광복절 연휴(8.14∼16)를 맞아 대규모 이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돼 추가 확산 우려도 큰 상황이다. 정부는 이번 광복절 연휴 기간 이동과 모임 자제를 당부하는 동시에 현행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수도권 4단계, 비수도권 3단계)에 더해 추가 방역 강화 대책까지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1천860명, 해외유입이 70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는 지난 11일 2천144명까지 치솟은 이후 12∼13일 1천900명대를 나타내다가 이날 1천800명대로 내려왔다. 하루 확진자는 지난달 7일(1천212명)부터 39일 연속 네 자릿수를 이어갔다.
【 청년일보 】정부는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감염 재생산지수가 1 아래로 내려왔으며, 수도권에서는 확산세가 한풀 꺾인 상태라고 진단했다. 여전히 수도권에서는 하루 1천명에 육박한 수준의 확진 사례가 나오면서 재유행 가능성이 남아있지만, 현행 방역 통제를 유지하고 상황을 호전시키면 추적 전까지는 수도권의 단계 하향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당국은 내다봤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8일 정례 브리핑에서 "지난주 감염 재생산지수는 0.99로, 그 전주의 1.04와 유사한 수준"이라며 "유행 중심지역인 수도권의 급격한 환자 증가 추이는 꺾였으나, 매우 완만하게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감염 재생산지수는 확진자 한 명이 주변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 보여주는 지표로 이 수치가 1을 넘으면 유행이 확산하는 국면, 1 아래로 떨어지면 유행이 억제되는 상황임을 뜻한다. 다만 손 반장은 "(수도권의) 하루 평균 환자 수는 지난 3주간 990명→960명→937명으로 줄었다"면서도 "여전히 1천명에 가까운 수준으로 유행 규모가 크고, 환자 감소가 매우 완만한 상황으로 재유행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비수도권의
【 청년일보 】 최근 수도권·비수도권의을 가리지 않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확산세가 거센 가운데 비수도권 신규 환자 수가 처음으로 700명대를 넘어섰다. 이에 부산시는 10일 0시부터 22일 24시까지 사회적 거리두기를 4단계로 격상한다고 8일 밝혔다. 이는 당초 부산시가 거리두기 3단계를 오는 22일까지 2주 더 연장하겠다고 발표한 6일로부터 이틀 만의 일이다. 부산시는 최근 코로나 19 확진자 폭증에 따른 조치라고 설명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거리두기 3단계 유지 발표 전까지 확진자 현황은 4단계 격상 기준에 맞지 않았지만, 최근 3일간 확진자 수가 대폭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 확산세가 계속되면 지역사회 보건의료 시스템이 심각한 붕괴 위험을 맞을뿐더러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4단계 격상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모였다"고 말했다. 거리두기 4단계 격상과 관련해 부산시는 오후 6시 이후 3인 이상 모임을 금지한 것이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2명까지만 모임을 허용하는 조치는 가급적 모이지 말고 집에 머물러 달라는 메시지"라며 "꼭 필요한 모임만 하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오후 6시 이후 식사를 위해 음
【 청년일보 】서울 동작구에 위치한 노량진수산시장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이 또 발생했다. 지난 4월 말 이후 약 3개월만이다. 7일 서울시에 따르면 이 시장에서 종사자 1명이 3일 확진된 후 시장 상인과 가족 등 10명이 5일까지 추가로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어 6일에는 추가 확진자가 12명 나왔다. 이번 집단감염의 누적 확진자 수는 서울 외 지역에서 검사를 받아 확진된 1명을 포함해 총 23명이다. 이 중 종사자가 17명, 그 가족이 6명이다. 방역당국은 첫 확진자를 제외하고 총 2천224명을 검사했으며, 이 중 양성이 22명, 음성이 1천511명 나왔고 691명은 검사 결과가 아직 나오지 않았다. 서울시는 노량진수산시장 전체를 방역소독했으며 일부 시설은 폐쇄했다. 종사자 전원에게 검사를 받도록 안내하고 심층역학조사를 통해 감염 경로 및 접촉자 파악을 하고 있다. 노량진수산시장에서는 4월말부터 5월초까지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해 종사자와 그 가족 등 접촉자를 포함해 19명 이상이 확진됐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
【 청년일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에 따라 비수도권 전국 자치단체가 방역을 강화하고 있으나 확산세가 좀체 꺾이지 않고 있다. 4일 비수도권 지역 발생 확진자는 4차 대유행 이후 최다인 628명을 기록했다.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일부 광역자치단체는 오후 10시 이후 대중교통 운행을 절반으로 줄이고, 유흥시설·노래방 영업을 24시간 금지하는 등 보다 강화된 대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비수도권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유일하게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를 적용 중인 대전에서는 하루 평균 70명 넘는 확진자가 쏟아지고 있다. 지난달 27일 거리두기를 4단계로 격상한 뒤 오후 6시 이후 사적 모임 인원을 2명으로 제한하고 있음에도 8일간 확진자는 총 585명이 나왔다. 하루 73.1명꼴이다. 시는 시민들의 이동을 최소화하는 차원에서 5일부터 오후 10시 이후 대중교통 운행을 절반으로 줄일 예정이다. 방역당국과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4일 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국에서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신규 확진자는 총 1천475명으로 집계됐다. 전날 같은 시간에 집계된 1천425명보다 50명 많다. 1주일 전인 지난주 수요일(28일)
【 청년일보 】올해 5~6월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가운데 96.7%는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경우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은경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장(질병관리청장)은 2일 정례 브리핑에서 올해 5~6월 발생한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사망자의 백신접종 여부를 분석한 결과를 설명했다. 정 단장은 "확진자 가운데 확진 후 관찰 기간 28일이 경과한 3만4천954명의 접종력을 확인한 결과 미접종자는 96.7%(3만3천797명)였다"며 "1차 접종 완료자는 3%(1천58명), 2차 접종을 완료한 사람은 0.3%(99명)였다"고 밝혔다. 그는 "위중증 및 사망자 중 93.5%(779명 중 728명)가 백신 미접종자"라며 "연령별로는 60세 미만에서 99.2%(258명 중 256명)가, 60세 이상에서는 90.6%(521명 중 472명)가 백신 미접종자였다"고 말했다. 정 단장은 "코로나19에 감염되더라도 예방접종은 위중증과 사망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국민들께서는 예방접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주실 것을 요청한다"고 강조했다. 방역당국과 서울시 등 각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이날 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전국에서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은
【 청년일보 】신종코로나바이러스전염병(이하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접종을 시작한 이래 1차 접종을 마친 국민이 조만간 2000만명에 달할 전망이다. 또한 2차 접종까지 완료한 국민은 700만명을 넘어섰다. 2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이하 추진단)에 따르면 전날 신규 1차 접종자 수는 2만7천892명으로 집계됐다. 이날 백신 종류별 신규 접종자 수는 화이자 1만9천634명, 모더나 8천258명이다. 이에 따라 금일 0시 기준 누적 기준 국내 1차 접종자 수는 총 1947만 2376명이다. 이는 전체 인구(작년 12월 기준 5134만 9116명)의 37.9%다. 백신 종류별로는 아스트라제네카 접종자가 1040만9294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화이자 707만5946명, 얀센 112만9762명, 모더나 85만7374명 등의 순이었다. 1차 접종자의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80세 이상의 경우 77.1%가 백신 접종을 완료했고, 70대와 60대는 각각 89.5%, 86.9%가 접종을 마쳤다. 2차 접종까지 모두 마친 국민은 전날 480명 늘어 총 714만 6409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인구 대비 13.9%다. 접종 대상 및 기관별 현황을 살펴보면 요양병원과 요양
【 청년일보 】정부는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한 명이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 보여주는 감염 재생산지수가 전국적으로 1을 웃돌면서 여전히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고 진단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1일 정례브리핑에서 "지난주 감염재생산지수는 1.04이지만, 수도권은 1에 약간 못 미치고, 비수도권은 모두 1을 상회하고 있다"며 "여전히 유행 규모가 크고, 감소세로는 전환되지 않고 있는 아슬아슬한 국면"이라고 말했다. 감염 재생산지수는 확진자 1명이 다른 사람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 나타내는 지표다. 이 지수가 1 미만이면 '유행 억제', 1 이상이면 '유행 확산'을 뜻한다. 다만 지역적으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다소 편차를 보였다. 손 반장은 "유행의 중심인 수도권은 최근 3주간 하루 평균 환자 수가 990명→996명→960명으로 유행이 확산하지 않고 정체하는 양상이 분명해지고 있다"면서도 "여전히 재확산의 위험이 존재한다"고 판단했다. 또 "비수도권의 경우, 지난주까지 최근 3주간 358명→499명→546명을 나타내 확산 규모는 줄어들고 있지만, 유행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양상"이라며 "특히, 대전·경남·강
【 청년일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지속 중인 가운데 20대 확진자 1명이 또 사망했다. 31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전날 사망한 코로나19 확진자는 총 6명이다. 이 가운데 80대와 60대가 각 2명, 70대가 1명, 20대가 1명이다. 방대본은 "20대 사망자는 작년 12월 해외에서 입국한 분으로, 자가격리 중이던 올해 1월 12일에 확진된 후 격리 치료를 받다가 3월 5일 퇴원했으나 3월 15일 바이러스 재검출로 다시 입원 치료를 받다가 어제 사망했다"고 밝혔다. 이 사망자는 기저질환(지병)이 있었다고 방대본은 전했다. 국내 20대 확진자의 치명률은 0.01%로 낮은 편이다. 누적 사망자 2천95명 가운데 20대는 5명이다. 하지만 지난 27일에 이어 이번 주에만 2명의 20대 사망자가 나왔다. 4차 대유행 확산세 속에 하루 1천300∼1천800명대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젊은 층에서도 사망자가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국내 전체 코로나19 치명률은 1.06%다. 연령대별로는 80세 이상이 18.25%로 가장 높고 이어 70대 5.37%, 60대 1.02%, 50대 0.23%, 40대 0.05%, 30대 0
【 청년일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에서도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을 맞아 수도권에서 강원 동해안으로 향하는 주요 고속도로에서 오전부터 지정체 구간이 빠르게 늘고 있다. 오전 9시 기준 영동고속도로는 신갈JC→마성IC, 용인IC→양지IC 등에서 지정체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지정체 구간이 늘면서 차량 속도도 시간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서울에서 강릉까지 예상 소요 시간은 이날 오전 11시 요금소 출발 기준 5시간 50분이다. 앞서 이날 오전 9시 기준 서울에서 강릉까지 예상 소요 시간은 3시간 49분이다. 이는 3시간 전인 이날 오전 6시 기준 2시간 21분과 비교하면 1시간 28분이 늘어난 것이고, 1시간 전인 이날 오전 8시 기준 3시간 21분에 비해서도 28분 증가한 것이다. 서울양양고속도로 상황도 마찬가지다. 이날 오전 9시 기준 서울양양고속도로는 덕소삼패IC→서종IC, 남춘천IC→조양IC 등 구간에서 차들이 가다 서기를 반복하고 있다. 서울에서 양양까지 예상 소요 시간도 오전 6시 기준 1시간 36분, 오전 7시 기준 1시간 58분, 오전 8시 기준 2시간 27분, 오전 9시 기준 2시간 38분 등으로 빠르게 늘고 있다. 【 청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