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주식시장이 '블랙먼데이' 이후 마땅한 모멘텀을 찾지 못한 채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면서 증시 대기자금인 투자자 예탁금이 눈에 띄게 줄었다. 31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29일 기준 투자자예탁금은 53조605억원으로 3주 이상 52조~53조원대에서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 주가가 폭락한 지난 5일 59조4천876억원고 비교하면 약 한 달 사이 6조4천억원 이상 급감했다. 투자자예탁금은 투자자가 증권사 계좌에 넣어 둔 잔금의 총합으로, 주식을 사기 위해 계좌에 넣어두거나 주식을 팔고서 되찾지 않은 돈이다. 대표적인 투자 대기성 자금인 투자자예탁금이 줄어든 것은 국내 증시의 활기가 떨어진 결과라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지난 5일 블랙먼데이 당일 투자자예탁금이 전 거래일(2일) 대비 5조6천억원 넘게 급증하자 시장 일각에서는 개인 투자자들이 '저가 매수'를 위한 준비에 나섰다는 분석이 제기됐는데, 이후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예상보다 약했다는 평가다. 김지현 키움증권 연구원은 "금융투자소득세 관련 불확실성도 있고, 최근 시장을 이끄는 주도주가 뚜렷하지 않은 상황이라 투자자들이 주식 포지션을 줄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황준호 상상
【 청년일보 】 수그러들지 않는 'AI(인공지능) 거품론'과 높아질 대로 높아진 시장 눈높이에 발목이 잡힌 미국 엔비디아에 대한 국내 투자자들의 투자 열기가 주춤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는 지난 1∼29일 엔비디아 주식을 2억1천338만1천667달러(약 2천847억원) 순매도 결제했다. 이 기간 국내 투자자들은 엔비디아 주식 25억440만4천933달러(약 3조3천436억원)어치를 사들였지만, 반대로 27억1천778만6천600달러(약 3조6천293억원)어치를 팔아치우면서 매도 우위를 보였다. 엔비디아는 그간 국내 투자자의 애정을 듬뿍 받았던 종목이지만, 최근 분기 실적 발표를 전후해 경계감과 실망감이 확산하면서 투자심리가 약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엔비디아가 지난 28일(현지시간) 발표한 2분기(5∼7월) 실적은 월스트리트의 예상치를 웃돌았다. 그러나 시장은 실적이 예상치를 상회한 수준이 최근 6분기 중에 가장 낮은 데다, 3분기(8∼10월) 매출 가이던스(예상치)의 상승폭이 지난해 동기보다 줄어든 점에 주목했다. AI 붐을 타고 엔비디아가 최근 몇 년간 보기 드문 성장세를 보이면서 투자자들의 눈높이도 한껏 높아졌지만, 실
【 청년일보 】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증권사 최고경영자(CEO)에게 종합금융투자사업자(이하 종투사) 제도의 재정비를 예고했다. 아울러 NH투자증권과 삼성증권, KB증권이 투자자에게 미국 주식 주간거래 서비스 중단 사태와 관련해 보상 책임이 없다고 안내했다. 이 외에 증권업계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착륙 지원을 위해 2년간 약 3조3천억원 규모의 개별 펀드를 조성하기로 했다. ◆ 김병환 금융위원장 "대형 증권사, 모범 자본 공급 미미...종투사 제도개선 예고"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지난 29일 오전 종합금융투자사업자(이하 종투사) 5곳, 중소형사 3곳, 외국계 2곳과 함께 증권업권 간담회를 열고 종투사 제도의 재정비를 예고. 종투사 제도 도입 10년이 지났지만 대형 증권사들의 혁신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모험 자본공급이 미미하고 이들이 부동산 금융에 편중하기 때문이라고. 아울러 김 위원장은 투자자 신뢰 회복을 위한 공매도 전산 시스템 구축에도 증권사가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고 요청. 이날 김 위원장은 증권업계에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할 것을 주문. 이에 대해 증권사 CEO들은 정부의 기업 밸류업 정책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자본시장 활성화
【 청년일보 】 코스피가 기관 투자자 매수세에 상승 마감했다.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일보다 12.03포인트(0.45%) 오른 2,674.31로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13.11포인트(0.49%) 오른 2,675.39로 개장 후 장 중 상승폭을 줄였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기관은 4천758억원 순매수했다. 반면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3천813억원, 1천92억원 순매도했다. 코스닥지수는 전 일보다 11.62포인트(1.54%) 오른 767.66에 장을 마쳤다. 코스닥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천889억원, 98억원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은 1천895억원 순매도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보다 2.8원 오른 1,336.0원에 장을 마감했다. 【 청년일보=신한나 기자 】
【 청년일보 】 삼양식품이 '저가매수 기회'라는 증권가의 분석이 나오자 장 초반 상승세다.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1시 16분 기준 삼양식품은 전 거래일보다 2만1천500원(4.56%) 오른 49만3천원에 거래되고 있다. 박상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최근 주가 조정은 삼양식품의 펀더멘탈 대비 과도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유럽 현지 판매 법인 설립과 내륙 운반비 비중 증가 등의 영향으로 과거 대비 원·달러 환율에 대한 민감도가 축소될 것으로 기대되고, 8월 수출 약세는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박 연구원은 "환율 하락에 따른 실적 눈높이 조정은 필요하겠다"면서도 "내년 생산능력(Capa) 증설 계획과 수요의 계절적 움직임을 고려한다면, 최근 주가 조정을 저가 매수의 기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
【 청년일보 】 LG가 총 5천억 규모의 LG전자와 LG화학 주식을 장내 매수한다는 소식에 관련 종목의 주가가 상승세다.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1시 00분 기준 LG전자는 전 거래일보다 3천300원(3.29%) 오른 10만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간 LG화학은 0.47% 오른 32만2천원에 거래 중이다. LG는 2천억원 규모의 LG전자 주식(203만4천587주)과 3천억원 규모의 LG화학 주식(95만6천937주)를 각각 장내매수 방식으로 취득한다고 전날 공시했다. 장내매수는 오는 11월부터 시작된다. LG가 주식 매입을 마치면 LG전자 보유 지분율은 종전 30.47%에서 31.59%로, LG화학 지분율은 30.06%에서 31.29%로 늘어날 전망이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
【 청년일보 】 코스피가 30일 상승 출발해 2,670대에서 등락 중이다. 이날 오전 9시 2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 일보다 12.69포인트(0.48%) 상승한 2,674.97을 나타냈다. 지수는 전장 보다 14.44포인트(0.54%) 오른 2,676.72에 개장했다. 같은 시각 코스닥 지수는 전 일보다 2.34포인트(0.31%) 상승한 758.38을 나타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서 원·달러 환율은 전장 보다 0.5원 오른 1,333.0원으로 개장했다. 【 청년일보=신한나 기자 】
【 청년일보 】 한화자산운용이 15년간 사용하던 상장지수펀드(ETF) 브랜드명을 기존 'ARIRANG(아리랑)'에서 'PLUS(플러스)'로 변경했지만 시장 점유율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자산운용업계에 따르면 한화자산운용은 지난달 'PLUS ETF' 브랜드 출범식을 열고 ETF 브랜드명을 기존 'ARIRANG(아리랑)'에서 'PLUS(플러스)'로 변경한다고 발표했다. 새 브랜드인 'PLUS'는 한화그룹 6개 금융계열사의 공동브랜드 'LIFE PLUS'에서 따왔다고 전했다. 한화자산운용은 지난 2010년 1월 회사 첫 ETF인 'ARIRANG 코스피50'을 상장한 후 15년 간 'ARIRANG' 브랜드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최근 국내 ETF 시장의 활황세로 점유율 경쟁이 치열해지자 경쟁력 제고 차원에서 리브랜딩을 단행했다. ETF 리브랜딩은 그간의 사례로 미뤄볼 때 효과가 높은 마케팅으로 평가받는다. 지난 2022년 말 점유율이 3.9%였던 한국투자신탁운용은 ETF 브랜드명을 'ACE'로 바꾸면서 7%까지 점유율이 상승했고, 같은 시기 신한자산운용 역시 브랜드명을 'SOL'로 바꾸면서 0.9%에서 3%로 점유율을 끌어올렸다. 자산운용업계 관계
【 청년일보 】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투자자 매도세에 하락 마감했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일보다 6.46포인트(0.85%) 내린 756.04로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32.65포인트(1.21%) 내린 2,657.18로 개장 후 장 중 낙폭을 줄였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4천194억원, 2천676억원 순매도했다. 반면 개인은 6천274억원 순매수했다. 코스닥지수는 전 일보다 6.46포인트(0.85%) 내린 756.04에 장을 마쳤다. 코스닥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522억원, 1천163억원 순매도했다. 반면 개인은 1천949억원 순매수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보다 5.8원 내린 1,333.2원에 장을 마감했다. 【 청년일보=신한나 기자 】
【 청년일보 】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증권사 최고경영자(CEO)에게 종합금융투자사업자(이하 종투사) 제도의 재정비를 예고했다. 종투사 제도를 도입한 지 1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대형 증권회사가 부동산 금융에 편중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김병환 위원장은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금융투자협회에서 종투사 5곳, 중소형사 3곳, 외국계 2곳과 함께 증권업권 간담회를 열고 "증권사의 외형은 상당부분 성장해왔지만 혁신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모험 자본 공급이 미미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기업과 함께 성장해나가는 금융회사라는 측면에서 증권사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기 위한 재정비를 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투자자 신뢰 회복을 위한 공매도 전산 시스템 구축에도 증권사가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투자자 신뢰 회복 노력에도 불구하고 불완전 판매와 불법 공매도 등 소비자 신뢰를 저해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있다"며 "정부는 불법·불공정 문제에 대해서 무관용 원칙하에 엄정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전날 불법 공매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법률 개정안이 정무위원회 전체회의를 통과한 만큼 증권사들도 공
【 청년일보 】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폐암 치료제 '렉라자'의 승인을 받은 유한양행이 52주 신고가를 기록했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1시 15분 기준 유한양행은 전 거래일보다 7천300원(5.39%) 오른 14만2천8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주가는 장중 14만5천500원까지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새로 썼다. 유한양행은 지난 20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의 허가를 받으면서 주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국산 항암제가 미 FDA의 승인을 받은 것은 처음이다. 이번 FDA 승인으로 미국에서 투약이 시작되면 추가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도 수령하게 된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
【 청년일보 】 엔비디아 주가가 급락하자 장 초반 국내 반도체 종목도 줄줄이 하락세다. 2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1시 00분 기준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보다 2천300원(3.01%) 내린 7만4천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간 엔비디아에 고대역폭 메모리(HBM)을 납품하는 SK하이닉스는와 '엔비디아 수혜주'로 꼽히는 한미반도체도 전장 대비 각각 5.80%, 8.79% 급락하고 있다. HBM 관련 종목인 피에스케이홀딩스(-11.88%), 에스티아이(-10.06%), 테크윙(9.44%), 디아이(-8.16%), 미래반도체(-5.15%) 등 중소형주도 일제히 하락세다. 엔비디아는 간밤 뉴욕증시 장 마감 후 지난 2분기 300억4천만달러(40조1천785억원)의 매출과 0.68달러(909원)의 주당 순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월가 예상치를 웃도는 수준으로, 엔비디아의 분기 매출이 300억달러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실적 호조에도 엔비디아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6% 안팎으로 하락했다. 앞서 정규장에서도 선제 매도세가 나타나면서 2.10% 하락 마감했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