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국민 10명 중 7명은 일본이 우리나라를 상대로 한 수출 규제를 완화하더라도 일본 제품 불매를 이어갈 뜻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8일 한국방송광고공사(코바코)가 여론조사 업체 마크로밀엠브레인에 의뢰한 온라인 여론 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출 규제가 완화되더라도 일본 제품 구매를 자제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71.8%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이 조사는 이달 8~9일 전국 만 20~49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이뤄졌다.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 ±4.4%포인트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80.4%는 일본 제품 불매 운동에 찬성했다. 47.2%는 '꼭 필요한 물품이 아니면 일본 제품을 구매하지 않는다'고 했고, '일본 제품은 절대 구매하지 않는다'는 응답자는 45.6%였다. 7.2%는 '기존에 구매하던 제품은 계속 구매한다'고 응답했다. 일본 여행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48%였으나, 앞으로 일본 여행을 갈 의향이 있다는 답변은 12.4%로 나타났다. 또 수출 규제 이전 일본에 대한 호감도는 48.5점(100점 만점)이었으나 수출 규제 이후에는 22.2점으로 조사됐다. 일본 수출 규제와 관련해 우리 정부
【 청년일보】국민 네 명 중 3명 이상은 일본 경제보복 철회가 없는 한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계속될 것이라 전망했다. 16일 리얼미터에 따르면지난 15일 tbs의뢰로 조사해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언제까지 계속될 것인지에 대해 질문한 결과 '일본 경제보복 철회 시점'이 34.9%, '일본 침략 사죄·배상 시점'이 28.1%, ‘일본 침략 사죄·배상 이후도 지속’이 13.2%를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이 경제보복을 철회하지 않는 한 불매운동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 응답을 모두 합하면 76.2%로 집계됐다. 국민 넷 중 세 명 이상이 적어도 일본 경제보복 철회가 없으면 일제 불매운동이 지속될 것으로 본 셈이다. 일본이 경제보복을 철회하기 전에 중단될 것이라는 응답은 13%에 그쳤다. 모름이나 무응답은 10.8%를 기록했다. 조사는 14일 전국 성인남녀 501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4.4%포인트였다. 【 청년일보=길나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