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9 (토)

  • 흐림동두천 30.2℃
  • 구름많음강릉 28.3℃
  • 흐림서울 31.3℃
  • 대전 23.6℃
  • 대구 24.1℃
  • 울산 23.3℃
  • 광주 23.7℃
  • 부산 22.6℃
  • 흐림고창 23.6℃
  • 제주 28.2℃
  • 구름많음강화 29.3℃
  • 흐림보은 24.4℃
  • 흐림금산 22.8℃
  • 흐림강진군 24.0℃
  • 흐림경주시 24.2℃
  • 흐림거제 23.6℃
기상청 제공

국회입법조사처, "챗GPT 시대, 기업·정부·이용자 모두의 노력 필요"

'챗GPT 등장과 인공지능 분야의 과제' 보고서 발간

 

【 청년일보 】 국회입법조사처(처장직무대리 이신우)가 지난 3일 '챗GPT의 등장과 인공지능 분야의 과제'라는 제목의 ‘이슈와 논점’ 보고서를 발간했다.

 

챗GPT는 미국의 인공지능 기업인 오픈에이아이가 개발한 GPT-3.5를 사용하기 편리한 챗봇 방식으로 구현한 것으로, 이용자가 요청한 내용을 정리해 체계적 구성을 가진 문서 형태로 만들어 주는 '생성형 AI'다.

 

보고서에 따르면 챗GPT는 생성형 AI의 대중화 시대를 여는 계기가 되었으며, 구글 등 외국기업뿐만 아니라 네이버와 카카오 등 국내 기업도 생성형 AI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또한 생성형 AI는 기존의 자료 제공형 검색서비스를 분석보고서 제공형으로 전환하고, 인간이 직접 수행하던 지식과 정보의 조사・분석・정리의 많은 부분을 직・간접적으로 도와줄 것으로 예상된다.

 

정준화 입법조사관은 "생성형 AI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꾸준한 노력, 안정적인 AI 개발 및 이용환경 조성을 위한 정부 정책, 이용자의 적극적이고 현명한 AI 사용이 모두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특히 정부는 초거대 AI 모델 개발의 핵심자원인 컴퓨팅파워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공공부문 슈퍼컴퓨터를 확충하고, AI 반도체 기술개발을 지원해야 한다"며, "AI 관련 저작권 규정을 정비하고, 이용자의 정보보호 및 비판적 활용 역량과 함께 기업의 AI 윤리를 높이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청년일보=성기환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