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하요구권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30312/art_16798083655974_bd85a6.jpg)
【 청년일보 】 인터넷전문은행의 금리인하요구권 신청률이나 수용률이 시중은행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5대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신한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금리인하요구권을 신청할 수 있는 대출 계좌 870만여개 중 실제 신청이 이루어진 계좌는 55만여개로 평균 신청률은 6.33%였다. 실제 금리가 인하된 계좌는 20만여개(2.38%)에 불과했다.
특히 NH농협은행은 전체 신청 가능 계좌 160만여개 중 2만5천여개(1.56%)만 금리인하 신청이 이뤄졌다. 전체 신청 가능 계좌 대비 수용률은 NH농협은행이 1.01%를 비롯해 5대 시중은행이 평균 2.38%에 그쳤다.
반면 인터넷전문은행의 금리인하요구권을 신청할 수 있는 대출 계좌 570만여개 중 실제 신청이 이루어진 계좌는 142만여개, 실제 금리가 낮아진 계좌는 27만여개로 신청률과 수용률이 각각 24.96%, 4.71%였다. 이는 시중은행(6.33%, 2.38%)보다 각각 4배, 2배 정도 높았다.
금리인하요구권 수용에 따른 금리 인하 폭을 살펴보면 시중은행은 0.13%포인트(우리은행)~0.42%포인트(NH농협은행)지만, 인터넷전문은행은 0.38%포인트(카카오뱅크)~0.76%포인트(토스뱅크)에 분포돼 시중은행보다 금리 인하 폭도 높았다.
윤창현 의원은 "금리인하요구권은 법률로 보장되고 있는 금융소비자의 권리"라고 평가하며, "시중은행들도 인터넷전문은행을 벤치마킹해 신청 절차는 더 편하게 개편하고 고객 입장에서 금리인하 수용률은 높이고 인하 폭도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성기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