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시중은행의 창구 전경. [사진=연합뉴스] ](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40417/art_17139158546499_4fd9ef.jpg)
【 청년일보 】 은행 연체율이 지난 2월에 0.5%대로 오르면서 4년 9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51%로, 전월 말(0.45%) 대비 0.06%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지난 2019년 5월(0.51%)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다만 금감원은 "은행 연체율은 2022년 하반기 이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코로나19 이전 장기평균(0.78%)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2월 중 신규 연체 발생액은 2조9천억원,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1조3천억원으로 전월(각각 2조9천억원, 1조3천억원)과 유사했다.
2월 중 신규 연체율(신규연체 발생액/전월 말 대출잔액)은 0.13%로 전월과 동일했다.
부문별로 보면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월 말(0.38%)보다 0.04%p 오른 0.42%였다. 이 중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7%로 0.02%p 올랐으며,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은 0.84%로 0.10%p 상승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전월 말(0.50%) 대비 0.09%p 오른 0.59%였다. 대기업대출 연체율(0.18%)과 중소기업대출 연체율(0.70%)이 각각 0.06%p, 0.10%p 올랐다.
금감원은 통상 분기 말에는 은행의 연체채권 정리 강화로 연체율이 큰 폭으로 하락하는 경향이 있어 3월 말 연체율은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금감원은 "취약차주에 대한 채무조정 활성화를 유도하고, 부실채권 상·매각 등을 통한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하겠다"며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 등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유도하겠다"고 전했다.
【 청년일보=이나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