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7 (월)

  • 맑음동두천 21.2℃
  • 맑음강릉 24.8℃
  • 맑음서울 22.2℃
  • 구름많음대전 22.1℃
  • 구름많음대구 25.8℃
  • 구름많음울산 21.7℃
  • 구름많음광주 21.4℃
  • 구름많음부산 22.7℃
  • 구름많음고창 19.3℃
  • 구름많음제주 22.6℃
  • 맑음강화 20.1℃
  • 구름많음보은 18.4℃
  • 구름많음금산 19.9℃
  • 구름조금강진군 21.0℃
  • 구름많음경주시 21.4℃
  • 구름조금거제 21.3℃
기상청 제공

"세계 최초로 열린다"...'세계습지도시 청년포럼' 제주서 개막

오는 24~26일 '습지 보전·지속가능 미래 위한 청년의 참여' 주제로 열려
4개국 12개 습지도시 청년들 참여...환경문제 해결 위한 실천방안 논의

 

【 청년일보 】 미래 환경문제의 해결을 주도할 청년들이 연대와 단합, 교류를 통한 행동 실천방안을 논의하는 '2024 세계습지도시 청년포럼'이 개최된다.


제주시는 24일~26일까지 사흘간 제주시 에코촌 유스호스텔 및 동백동산 습지 일원에서 '2024 세계습지도시 청년포럼'이 세계 최초로 열린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세계습지도시 청년포럼'에서는 국내외 람사르 습지도시 청년들간 국제 교류의 장을 마련해 청년들의 습지 보전 네트워크를 형성해 나갈 예정이다.


'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청년의 참여'를 주제로 총 4개국 12개 습지 도시와 1개 중앙기관이 참여하는 이번 포럼은 환경부와 제주시가 공동 주최한다. 아울러 동아시아람사르지역센터, 제주대학교, (사)제주생태관광협회 및 제주시 협약인증습지도시 등 지역관리위원회가 후원한다.


주요 참여 습지도시로는 중국 창더시 외 6개 도시, 일본 니가타시, 마다가스카르 미신조시, 한국 창녕군 외 2개 도시 등 총 60여명의 청년이 참여하며, 중앙기관으로는 중국국가임업국이 참석한다.


소노벨 제주에서 열리는 포럼 첫날에는 개막식, 기조강연, 청년과의 대담 등이 펼쳐진다. '습지와 함께 살아가는 우리'를 주제로 서승오 동아시아람사르지역센터장이 포럼 현장에서 기조강연하고, 이란 바자네시 하메드 아크가르(Hamed akhgar) 시장은 화상으로 기조강연을 진행된다.


'기후위기 시대, 습지가 주는 혜택'을 주제로 열리는 청년과의 대담에는 강병삼 제주시장, 중국국가임업국 조 주용(ZHOU Zuoyong), 일본 니가타시 소라 가와치(Sora Kawachi), 한국 고창군 김초은 청년연사가 참여해 주제토론 등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 오는 25일 제주시 에코촌 유스호스텔에서 열리는 포럼 2일차에는 우수사례 발표와 원탁토론, 그리고 현장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우수사례는 각 도시의 습지 보전 우수사례를 발표해 환경보전의 구체적 실천 방안을 논의하게 되며, 원탁토론은 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교육, 문화, 시민, 정책, 기술 등 5개 분야의 역할을 모색하면서 청년 선언문이 작성될 예정이다.


원탁토론 후에는 동백동산습지 탐방, 동백동산 가시나무 도토리로 만드는 칼국수 만들기 등 지역문화 체험 현장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포럼 마지막 날인 26일에는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리 습지를 탐방해 습지 및 환경보전을 위한 캠페인을 전개하고, 포럼의 성과 공유와 원탁토론에서 만들어진 청년 선언문을 발표한다.


한편, 청년포럼 기간에는 2025 APEC 제주유치 홍보관 등 다채로운 전시와 부대행사도 운영 된다.


에코촌 유스호스텔 로비에서는 APEC 정상회의 제주 유치 기원 홍보관이 운영되고, 동백동산 습지센터 전시실에서는 참가한 습지도시 홍보영상 및 습지 사진이 전시된다. 또, 에코촌 유스호스텔 야외무대에서 홍어밴드, ERA(이라) 등 지역 예술인이 출연하는 작은 음악회도 열릴 예정이다.


한지연 환경관리과장은 "국제사회에서 습지 보전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청년의 역할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 제주시에서 청년포럼을 개최하게 돼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참여한 청년들이 편안하고 안전한 프로그램 진행으로 국제행사를 성공리에 마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그 시너지 효과가 APEC 제주 유치에도 힘을 보탤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람사르 습지도시는 람사르습지 인근에 위치하고, 습지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에 지역사회가 모범적으로 참여하고 활동하는 도시나 마을이 람사르협약에 따라 인증을 받게 된다. 우리나라 7개 도시를 포함해 현재 17개국 43개 도시가 인증을 받았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