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24.7℃
  • 맑음강릉 25.5℃
  • 맑음서울 26.3℃
  • 맑음대전 25.8℃
  • 구름많음대구 26.5℃
  • 구름많음울산 22.2℃
  • 구름많음광주 25.4℃
  • 흐림부산 22.2℃
  • 구름많음고창 23.1℃
  • 흐림제주 22.5℃
  • 맑음강화 23.7℃
  • 맑음보은 23.6℃
  • 맑음금산 24.7℃
  • 구름많음강진군 23.3℃
  • 구름많음경주시 24.0℃
  • 흐림거제 21.4℃
기상청 제공

초·중·고 10명 중 8명 사교육 받는다…4명은 수업 외 공부 3시간↑

여가부, '2024 청소년 통계' 발표…초등학생 20%, 하루 4시간 이상 공부
전체 청소년 인구 감소세…다문화 학생 수, 최근 10년간 3배 이상 증가

 

【 청년일보 】 지난해 초·중·고등학생 10명 중 8명이 사교육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약 40%는 정규 수업 외에 하루 3시간 이상 공부하고 있으며, 특히 초등학생의 20%는 하루 4시간 이상 공부해 초등학교 시절부터 과도한 학습 부담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체 청소년 인구는 인구 감소와 함께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으나, 다문화 학생 수는 최근 10년간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여성가족부(여가부)는 교육부와 통계청 등의 각종 청소년 관련 조사 결과를 인용한 '2024 청소년 통계'에서 이같이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초·중·고교생의 사교육 참여율이 평균 78.5%로 나타났다. 이는 1년 전보다 0.2%포인트(p) 증가한 수치다.


학교급별로 살펴보면 초등학생의 사교육 참여율은 86.0%로 가장 높았고, 중학생은 75.4%, 고등학생은 66.4% 순이었다.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의 사교육 참여율은 각각 0.8%p, 0.4%p 상승했으나, 중학생은 0.8%p 감소했다.


학생들은 주당 평균 7.3시간을 사교육에 할애했다. 이는 전년 대비 0.1시간 늘어난 수치다.


과목별로는 일반교과 사교육 참여율이 62.9%, 예체능·취미·교양 분야가 46.4%였다. 일반교과 사교육 참여율은 전년 대비 0.3%p 감소한 반면, 예체능·취미·교양 분야는 1.1%p 증가했다.


초등학교 4∼6학년생과 중·고등학생의 40.2%는 평일 정규 수업시간 외에 하루 3시간 이상 공부한다고 응답했다. 이어 2∼3시간은 22.7%, 1∼2시간은 21.0%, 3∼4시간은 18.5%, 1시간 미만은 16.1%, 5시간 이상은 10.2%로 조사됐다.


초등학생들도 공부에 내몰리는 상황은 비슷했다. 초등학생의 하루 평균 학습시간은 1∼2시간이 24.8%, 2∼3시간이 23.9%, 3∼4시간이 16.9%, 1시간 미만이 14.8%, 4∼5시간이 10.1%, 5∼6시간이 5.8%, 6시간 이상이 3.7%였다. 이로 인해 약 20%의 초등학생이 정규수업 외에 하루 4시간 이상 공부하는 셈이다.


지난해 고등학교 졸업생 중 대학교 등 국내외 상급학교에 진학한 비율은 72.8%로, 전년 대비 0.5%p 감소했다. 반면, 2022년 대학교 졸업 후 취업률은 69.6%로, 전년 대비 1.9%p 증가했다. 특히 전문대학 졸업생의 취업률은 72.9%로, 일반대학 졸업생의 66.3%보다 높았다.


고등학교 졸업 후 취업률은 직업계 고교가 55.7%, 비직업계 고교가 6.6%였다.


초등학교 4∼6학년생과 중·고등학생의 73.6%는 '학교에 가는 것이 즐겁다'고 응답해 전년 대비 0.2%p 상승했다. 또한 94.0%는 '학교 친구들이 나를 존중하고 배려해 준다'고 생각했으며, 94.9%는 '선생님이 학생들을 존중한다'고 느꼈다.


2022년 기준 초·중·고등학생의 학업 중단율은 1.0%로, 전년 대비 0.2%p 상승했다.


저출산·고령화와 인구감소 현상에 따라 대한민국 청소년 인구는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올해 9∼24세 청소년 인구는 782만4천명으로, 전체 인구의 15.1%를 차지하고 있다.


성별로는 남자 51.8%, 여자 48.2%로, 남자가 여자보다 3.6%p 더 많다.


1984년에는 청소년 인구가 전체 인구의 34.9%(1천410만8천명)를 차지했으나, 2010년에는 20.9%(1천37만명), 2020년에는 16.7%(863만8천명)로 꾸준히 감소해왔다.


이러한 추세가 계속된다면, 2050년에는 청소년 인구가 전체 인구의 9.1%인 429만1천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통계청은 전망하고 있다.

 

 

전체 청소년 인구는 줄어드는 반면, 다문화 학생 수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다문화 학생은 18만1천178명으로, 전체 학생(521만8천명)의 3.5%를 차지했다.


다문화 학생 수는 2013년 5만5천780명에서 10년 만에 3배 이상 증가한 18만1천178명이었다. 이는 전체 학생(521만8천명)의 3.5% 수준이다.

 

지난해 기준 다문화 학생의 63.8%는 초등학생이며, 중학생은 24.1%, 고등학생은 11.7%였다.


한편 청소년 스스로 '신체적으로 건강하다'고 생각한 비율은 97.6%로, 2020년보다 0.2%p 높아졌다. 또, 스스로 '정신적으로 건강하다'고 인식한 비율은 96.8%로, 2020년보다 0.7%p 낮아졌다.


청소년의 평균 수면시간은 주중 8시간 12분, 주말 9시간 11분으로, 모두 2020년보다 소폭 줄었다. 연령별로는 9∼12세 청소년이 9시간 7분, 19∼24세 7시간 55분, 13∼18세 7시간 54분의 순이었다.


'지난 일주일 동안 운동이나 야외 신체활동을 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53.8%로, 2020년보다 14.7%p 높아졌다. 같은 기간 평균 신체 활동 시간은 2.1시간에서 4.2시간으로 늘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