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24.7℃
  • 맑음강릉 25.5℃
  • 맑음서울 26.3℃
  • 맑음대전 25.8℃
  • 구름많음대구 26.5℃
  • 구름많음울산 22.2℃
  • 구름많음광주 25.4℃
  • 흐림부산 22.2℃
  • 구름많음고창 23.1℃
  • 흐림제주 22.5℃
  • 맑음강화 23.7℃
  • 맑음보은 23.6℃
  • 맑음금산 24.7℃
  • 구름많음강진군 23.3℃
  • 구름많음경주시 24.0℃
  • 흐림거제 21.4℃
기상청 제공

'국가성평등지수' 소폭 상승…교육·돌봄 분야 큰 격차 여전

여성가족부 '2022년 국가성평등지수' 발표
성평등 상위 지역...서울·광주·대전·세종·제주

 

【 청년일보 】 우리나라의 양성평등 수준을 가늠해볼 수 있는 '국가성평등지수'가 전년 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2022년 국가성평등지수'가 65.7점으로 전년도 65.5점에서 0.2점 상승했다고 7일 밝혔다.


성평등지수는 3대 목표, 7개 영역, 23개 지표를 통해 남녀 간 격차를 측정하며, 100점이 완전한 평등, 0점이 완전 불평등을 의미한다.


영역별로 보면 교육(95.4점), 건강(92.4점), 양성평등의식(80.0점), 소득(78.5점), 고용(74.0점) 순으로 높았으며, 돌봄(31.4점)과 의사결정(30.7점) 영역에서는 큰 격차를 보였다.


세부 지표를 살펴보면, 평균 교육연수 성비는 90.6점에서 90.9점으로, 여성 인권에 대한 인식은 82.7점에서 84.6점으로 상승했다. 


고용률도 76.7점에서 78.0점으로, 경력 단절 여성 비율은 82.6점에서 82.8점으로, 정규직 비율은 76.2점에서 77.8점으로 개선됐다.


반면, 의사결정 영역의 장관 비율은 38.5점에서 20.0점으로 크게 하락했고, 관리자 비율도 25.8점에서 22.5점으로 떨어졌다. 가사노동 시간, 육아휴직 사용, 노인 돌봄 분담은 각각 30.7점, 31.7점으로 낮은 수준에서 변동이 없었다.


여가부는 이번 조사부터 대폭 개편된 지표를 반영했다.


기존의 '셋째(아) 이상 출생성비'나 '가족관계 만족도' 등의 지표는 삭제됐고, '노동시장 직종분리', '국민연금 수급률', '노인 돌봄 분담' 등 새로운 지표가 추가됐다.


지역성평등지수도 새롭게 개편된 측정체계에 따라 조사됐다.


지역별 성평등 수준은 17개 지역을 상위·중상위·중하위·하위 4등급으로 구분해 조사한 결과, 상위 지역에는 서울·광주·대전·세종·제주시가 포함됐고, 하위 지역에는 충북·전남·경북·경남이 포함됐다. 


중상위 지역은 부산·대구·경기·충남이, 중하위에는 인천·울산·강원·전북이 분류됐다.


개편 전 지표로도 국가성평등지수를 산출한 결과, 지난 2022년 지수는 76.0점으로 전년 75.4점에서 0.6점 상승했다. 


영역별로는 여성 인권·복지 영역(83.4점)이 가장 높았고, 성평등의식·문화(76.7점), 사회참여(69.8점) 순으로 나타났다.


분야별로는 보건 분야(97.7점)가 최고점을 기록했다. 반면 국회의원·4급이상 공무원 성비 등 의사결정 분야(37.1점)는 최저점을 나타났다.


연도별 국가성평등지수는 지난 2017년 72.0점에서 매년 상승해 2022년에는 76.0점에 도달했다. 


기존 지표에 따른 지역별 성평등 수준은 상위에 서울·광주·대전·세종·제주가 포함됐고, 하위에는 울산·전남·경북·경남이 포함됐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