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3 (일)

  • 구름많음동두천 25.1℃
  • 흐림강릉 22.8℃
  • 흐림서울 25.0℃
  • 흐림대전 23.4℃
  • 흐림대구 26.3℃
  • 흐림울산 23.8℃
  • 흐림광주 23.1℃
  • 흐림부산 22.9℃
  • 흐림고창 23.0℃
  • 흐림제주 22.6℃
  • 구름많음강화 25.5℃
  • 흐림보은 22.9℃
  • 흐림금산 22.3℃
  • 흐림강진군 23.8℃
  • 흐림경주시 25.4℃
  • 흐림거제 22.7℃
기상청 제공

"올여름 폭염, 평년보다 많아…7월 '많은 비' 변수"

이명인 UNIST 폭염연구센터장 기상강좌
6월·8월, 평년보다 기온 높을 확률 50%
엘니뇨 쇠퇴 시기 동아시아 강수량 늘어

 

【 청년일보 】 올여름 폭염일수가 평년(10.2일)보다 더 많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명인 울산과학기술원(UNIST) 폭염연구센터장은 7일 기상청 기상강좌에서 "LSTM(Long Short-Term Memory) 통계모형을 이용해 예측한 결과"라고 밝히며, 이같은 내용을 전했다.


폭염일은 일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날을 의미하며, 지난해 여름에는 폭염일수가 13.9일이었다. 기상청의 3개월 전망에 따르면, 올해 6월과 8월은 평년기온보다 높을 확률이 50%, 비슷할 확률이 30%, 낮을 확률이 20%로 예측됐고, 7월은 평년기온보다 높을 확률과 비슷할 확률이 각각 40%, 낮을 확률이 20%로 제시됐다.


즉, 올여름이 전반적으로 덥지만, 특히 6월과 8월이 유달리 더울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7월은 그나마 나을 것으로 전망된다는 의미다.


7월 기온이 상대적으로 낮을 가능성의 근거는 '많은 비' 때문이다. 지난해 여름 시작된 엘니뇨가 끝나고, 올여름에는 중립 또는 라니냐 상태로 전환될 전망이다. 엘니뇨가 쇠퇴하는 여름에는 동아시아 강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명인 센터장은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인도양-서태평양 축전기 이론'을 제시했다. 엘니뇨로 인해 인도양 해수면 온도가 상승한 뒤, 엘니뇨가 끝나도 온도가 식지 않아 여름 동아시아 강수량이 늘어난다는 것이 이 이론의 핵심이다.


봄철 인도양 해수면 온도가 얼마나 높은지를 보여주는 '인도양 쌍극자 지수'(IOD)는 현재 평년보다 비가 많이 내린 1998년이나 2020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엘니뇨로 인해 북대서양에 '삼극자 패턴'이 형성되면서 열대 북대서양 해수면 온도가 높은 점도 7월에 많은 비를 예상케 하는 요소로 작용한다는게 이 센터장의 설명이다.


이 센터장은 "전 지구 배경온도가 높아지는 등의 영향으로 6월 장마 전에 폭염일이 늘어날 수 있다"면서 "8월의 경우 (지금처럼) 겨울철 엘니뇨가 여름철 이후 라니냐로 전환될 때 기온이 오르는 경향이 나타난다"고 말했다.


이어 "7월은 동아시아 강수량이 늘어나며 폭염일은 적겠지만, 비가 내리는 날 사이에 '습윤한 폭염'과 열대야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7월 하순부터 8월 중순까지 폭염 극성기엔 지속적이고 강한 폭염이 발생할 수 있다"며 "폭염과 호우가 동시에 나타나는 복합재해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