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7 (월)

  • 맑음동두천 6.2℃
  • 맑음강릉 11.8℃
  • 맑음서울 7.8℃
  • 맑음대전 8.2℃
  • 맑음대구 10.7℃
  • 맑음울산 11.4℃
  • 맑음광주 8.7℃
  • 맑음부산 11.6℃
  • 맑음고창 2.9℃
  • 맑음제주 9.4℃
  • 맑음강화 6.0℃
  • 맑음보은 3.7℃
  • 맑음금산 4.3℃
  • 맑음강진군 4.7℃
  • 맑음경주시 6.0℃
  • 맑음거제 8.0℃
기상청 제공

中, PC·콘솔 시장 '요충지'로 부상…K-게임 수혜 기대감 '솔솔'

스팀 내 중국어 이용자 50% 돌파…中 콘솔 게임 시장 규모, 전년比 55.1% 급증
하나證 "검증된 트리플 A급 PC·콘솔 게임 및 개발력 보유 국내 게임사에 기회"

 

【 청년일보 】 중국이 글로벌 PC·콘솔 게임 시장의 핵심 요충지로 부상하고 있다.

 

6일 하나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밸브(Valve)의 글로벌 게임 플랫폼 스팀(Steam) 내 설정 언어 1위는 중국어(33.7%)로 나타났다.

 

아울러 올해 2월 기준 중국어 이용자 비율은 50.1%까지 치솟으며 사상 처음으로 과반을 돌파했다.

 

스팀은 PC와 콘솔을 아우르는 대표적인 글로벌 게임 플랫폼인 만큼 중국 유저 비중 확대는 시장 구조 변화를 시사한다는 평가다.

 

특히 지난해 8월 출시된 중국 게임 '검은 신화: 오공'이 트리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출시 직후 중국어 이용자 비율이 88%에 달하며 중국 내 PC·콘솔 게임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는 흐름을 이끌었다.

 

시장조사기관 Niko Partners에 따르면, 중국 PC 게이머의 79.5%가 글로벌 스팀을 사용 중이며, 대부분 별도의 VPN 없이 접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팬텀 블레이드 제로', '타이드 오브 어나힐레이션', '연운십육성', '김용군협전' 등 중국 개발사의 트리플A급 신작들이 대거 출시를 앞두고 있어 스팀 내 중국 유저의 영향력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지난해 중국 콘솔 게임 시장 규모는 44억8천800만위안으로, 전년 대비 55.1% 성장하며 고성장을 이어갔다. 모바일 게임 시장 대비 절대적인 규모는 작지만, 성장률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는 분석이다.

 

전통적으로 모바일은 중국, PC·콘솔은 북미 중심 시장이라는 인식이 강했지만, 최근 중국 PC·콘솔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하며 글로벌 게임 시장 내 입지가 변화하고 있다. 글로벌 유저들이 기존 게임 위주로 재플레이하는 경향이 강해진 반면, 중국 시장에서는 신작 게임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높게 나타나는 점이 차별화 요인이다.

 

이에 국내 게임사들의 기회도 커지고 있다. 크래프톤은 대표 PC게임 '배틀그라운드' 서비스를 8년 이상 유지하며 안정적인 유저층을 확보했고, 최근 출시한 '인조이'가 스팀 중국 매출 1위를 기록하며 빠르게 성장 중이다. 연내 '서브노티카2', '딩컴' 등 신작 출시와 PUBG IP 기반 콘솔 신작 'VALOR' 개발도 진행 중이다.

 

시프트업은 기대작 '스텔라 블레이드' PC 버전 출시를 오는 6월로 예고했으며, 차기작 '프로젝트 위치스'를 통해 '원신', '명조'와 같은 글로벌 서브컬처 게임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네오위즈는 'P의 거짓' 흥행을 기반으로 글로벌 팬덤을 확보했으며, 오는 여름 DLC 'P의 거짓: 서곡' 출시와 함께 후속작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준호 하나증권 리서치센터 연구원은 "검증된 트리플 A급 PC·콘솔 게임 및 개발력을 보유, 시퀄을 개발 중인 회사에 기회가 열려 있다"고 전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