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노년기 돌봄, 국민 10명 중 4명 '요양보호사' 선호…자녀 기대는 4%

40세 이상 돌봄인식 조사…35%는 '배우자'·21%는 '스스로'
"가족보다 전문가 돌봄"…'요양보호사'에 대한 의존 높아져
노인복지주택·요양원 보다 '내집'…돌봄 책인 주체는 '국가'

 

【 청년일보 】 우리나라 40세 이상 성인 10명 중 4명은 노화나 질병 등으로 돌봄이 필요할 때 요양보호사에 의존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반면, 자녀에게 기대를 거는 비율은 4%에 그쳤다.

 

재단법인 돌봄과미래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40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실시한 '지역사회 돌봄 인식과 수요 조사' 결과, 응답자의 39%가 '요양보호사가 돌볼 것'이라고 답했다. '배우자가 돌볼 것'이라는 응답은 35%, '스스로 돌봐야 한다'는 응답은 21%였다.

 

다만, '자녀가 돌볼 것'이라는 응답은 4%에 불과해 전통적 가족 돌봄 구조가 급격히 약화된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성별 간 배우자 돌봄 기대에는 큰 격차가 있었다. 남성의 49%는 '아내가 돌볼 것'이라 답한 반면, 여성은 '남편이 돌볼 것'이라는 응답이 22%에 그쳐 절반에도 못 미쳤다.

 

돌봄의 사각지대에 대한 우려도 컸다. 전체 응답자의 58%가 '고독사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했고, 이 중 10%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느끼고 있었다. 가족 외에 긴급 상황 시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고 답한 비율도 40%에 달했다.

 

노년기 돌봄을 원하는 장소로는 '현재 거주 중인 집'(47%)이나 '살던 지역 내 돌봄 적합 주택'(32%) 등 지역사회 내 거주지 중심의 응답 비율이 높았다. 반면, 노인복지주택과 요양원을 선호하는 비율은 각각 7%에 그쳤다.

 

임종 장소로는 자택을 원하는 응답자가 48%로 가장 많았으며, 종합병원(31%), 요양병원(12%)이 뒤를 이었다. 하지만 실제 임종 장소로는 종합병원(29%)과 요양병원(25%)을 가장 많이 예상해 현실과 이상 간 괴리가 드러났다.

 

요양시설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다. 전체 응답자의 58%는 '긍정적'이라고 응답했으며, '친구를 사귈 수 있다'(74%)는 기대도 있었지만, '학대가 빈번하다'(53%)는 부정적 인식도 적지 않았다.

 

가장 필요한 돌봄 서비스(복수응답)로는 건강관리·의료(61%)가, 최우선적으로 갖춰야 할 서비스로는 가정방문 돌봄(71%)이 각각 1순위로 꼽혔다. 가장 시급한 노인돌봄 정책 과제로는 '자부담 경감'(42%)이 가장 많이 언급됐다.

 

노인돌봄 서비스의 책임 주체로는 국가(85%)를 압도적으로 지지했으며, 돌봄 정책의 핵심 가치로는 공공성(51%)이 가장 중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세금 지출 확대를 통한 돌봄 강화에도 85%가 찬성했다.

 

병원 접근성에 대한 불편도 도출됐다. 전체의 41%는 거주지 내 병원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다고 밝혔으며, 거주지 개선이 필요한 시설로도 병원(36%)이 1순위로 꼽혔다.

 

한편, 연명의료에 대해선 93%가 '원하지 않는다'고 밝혔으며, 임종 결정은 '스스로 하겠다'(44%)와 '가족과 상의하겠다'(44%)는 응답이 동률을 이뤘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