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의 한 전통시장.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727/art_17516127241896_a39135.jpg?iqs=0.385519413911945)
【 청년일보 】 정부가 30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을 확정하면서,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중심으로 유통·식음료 업종에 반등 기회가 찾아올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 소비·민생 중심 추경 단행…30조5천억원 편성
6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달 19일 국무회의에서 경기 진작과 민생 안정을 위한 2025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최근 경기 부진으로 민생 경제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재정을 마중물 삼아 경기 회복의 모멘텀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들이 중점적으로 반영됐다.
이번 추경예산안은 총 30조5천억원 규모로, ▲소비·투자 촉진 등 경기 진작 15조2천억원 ▲소상공인·취약계층 지원 등 민생 안정 5조원 ▲세입 경정 10조3천억원 등으로 구성됐다.
특히 소비 진작을 위해 전국민 대상 소비쿠폰이 차등 지급된다. 1차와 2차로 나눠 지급되며, 소득 구간별로는 ▲상위 10% 1인당 15만원 ▲일반 국민 25만원 ▲차상위계층 40만원 ▲기초수급자 50만원으로 책정됐다.
◆ 교보증권 “생활 소비재, 실질 수혜 기대”
정부가 추진하는 총 30조원 규모의 2차 추경 중 13조원 이상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내수 진작에 집중되면서, 하반기 유통·식음료 업종의 반등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권우정 교보증권 연구원은 “최근 10년 간 추경안을 살펴보면, 소비 경기 진작을 직접적으로 목표로 삼은 사례는 이례적”이라며 “과거 지원금 집행 후 소매판매액 지수가 상승한 전례를 고려할 때, 이번 추경도 소비 확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0년 재난지원금 사용처 비중은 마트·식료품이 27%로 1위, 2021년에도 마트·식료품 채널이 28.6%로 1위를 기록했다. 이에 이번 지원금도 음식료 업황에 우호적인 효과를 미칠 전망이다.
소비자심리지수도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6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08.7포인트로,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권 연구원은 “소비쿠폰 지급이 본격화되는 3분기부터 음식료 업종의 실적 회복이 가시화될 것”이라며 “특히 지난해 3분기 업황이 부진했던 점을 감안하면, 이번에는 바닥 통과 구간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 업계 “즉시 효과엔 기대…장기 지원책은 미지수”
정부의 추경 발표에 식음료업계는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나타냈다. 일부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지원금이 소비 심리를 자극해 실질적인 매출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내비쳤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금처럼 소비 심리가 얼어붙은 상황에서는 정부의 소비 진작 정책이 중요하다”며 “소비쿠폰은 참여율이 높아 실질적인 매출 증가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7~9월 여름 성수기와 업계의 대형 프로모션 시즌이 겹치는 만큼, 이번 추경의 정책 타이밍은 적절하다"고 평가했다.
반면 대기업이나 B2B 중심 업계에선 추경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반응도 나왔다. 또 다른 관계자는 “현재 중소기업 위주의 단기 지원책은 정책 파급력이 낮다”며 “글로벌 기업과 경쟁하는 대기업에도 맞는 맞춤형 수출·환율·원가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지금 필요한 건 단기적인 이벤트가 아니라 구조적인 환경 개선”이라며 “고정비와 원재료 부담, 수출입 관세 등 비용 리스크를 완화할 중장기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식품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현재 업계는 내수 부진에 원가 압박, 소비심리 위축이라는 삼중고를 겪고 있다”며 “이번 추경이 소비 활성화에 불씨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신현숙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