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프집.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834/art_17554741091237_de1f3d.jpg)
【 청년일보 】 소비 위축이 이어지면서 2분기 술집 매출이 1년 전보다 10%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신용데이터(KCD)의 '2025년 2분기 소상공인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소상공인 사업장당 매출 평균은 약 4천507만원으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인 지난 1분기보다 7.9% 늘었지만, 1년 전인 지난해 2분기보다는 0.8% 줄었다.
업종별로 보면, 외식업은 세부 업종 대부분에서 매출이 쪼그라들었다. 1년 전과 비교해 술집(-9.2%)의 타격이 가장 컸다. 분식(-3.7%), 아시아음식(-3.6%), 패스트푸드(-3.0%), 카페(-2.4%) 등도 매출이 줄었다.
서비스업에서는 노래방, 피시방, 스포츠시설 등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업종(-8.3%)의 부진이 두드러졌으며 숙박·여행서비스업 매출도 3.2% 감소했다.
빚을 남긴 채 폐업한 사업장도 약 49만개에 달했다. KCD 보고서에 따르면 2분기 말 기준 개인사업자 대출이 있는 사업장은 모두 360만개로 추정됐다.
이 가운데 86.3%(310만8천개)는 정상 영업 중이지만, 13.7%(49만2천개)는 폐업(국세청 신고 기준) 상태였다.
폐업한 사업장의 평균 연체액은 673만원, 평균 대출 잔액은 6천304만원이다.
전체 개인사업자의 대출 잔액은 올해 2분기 말 기준 723조5천억원으로 1년 새 16조원가량 불어났다. 금융권별 비중은 은행 대출이 432조8천억원으로 59.8%, 상호금융 등 2금융권이 290조7천억원으로 40.2%를 차지했다.
이 중 연체된 개인사업자 대출 원리금 규모는 모두 13조4천억원으로, 1년 전(10조1천억원)보다 3조3천억원 증가했다.
KCD는 보고서 작성을 위해 개인사업자 경영관리 서비스 '캐시노트' 가입 사업장 16만개를 표본조사하고, 소상공인 실태조사 등 비중을 적용해 전체 개인사업자 현황을 추정했다.
캐시노트를 통해 수집된 사업장별 여신금융협회·홈택스 연동 데이터가 사용됐고, 대출 등 금융 현황의 경우 한국신용정보원으로부터 받은 개인사업자 대출 현황 자료도 활용됐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