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글로벌 3위 규모인 인도 완성차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여전히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24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이 발간한 '인도 완성차 시장 현황 및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는 지난 2022년 일본을 제치고 중국과 미국에 이은 세계 3위 완성차 시장으로 자리매김했다.
보고서는 인도가 여전히 인구 대비 자동차 보급율이 낮은 국가로, 향후 성장 여력이 매우 큰 것으로 평가했다.
2022년 기준 인도의 승용차 보급률은 인구 1천명당 34대에 그쳤다. 미국(772대), 유럽연합(560대), 한국(455대) 등을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보고서는 14억5천명에 달하는 인구와 연간 6% 이상의 경제성장률을 고려하면 인도 자동차 시장은 세계 최고 수준의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인도는 이륜차 보급률(1천명당 185대)이 높다는 점에서 향후 경제발전에 따라 이륜차 수요가 승용차 수요로 전환될 가능성도 있다.
지난해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인도에서 자동차(사륜차)는 525만9천대 팔렸고 이륜차, 삼륜차 등은 총 2천34만9천대 판매됐다.
인도 사회구조가 지역, 사회계층, 성별, 종교별로 분절화돼있다는 점도 모빌리티 서비스 시장의 기회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
인도는 주(州)별 경제력 격차가 최대 10배이고 성별 노동참여율 차이는 40%포인트가 넘는 등 집단별 생활 양식이 상이하다. 이에 따라 모빌리티 서비스도 택시, 오토릭샤(삼륜차), 바이크, 자전거 등으로 분화돼있다.
보고서는 "대개 플랫폼 기반 서비스는 네트워크 효과에 의해 특정 기업의 과점 체제로 귀결되지만, 인도 특유의 계층화·분절화된 사회가 모빌리티 서비스의 분화와 병존을 가능케 한다"면서 "많은 인구 덕분에 각 서비스가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있다는 점은 인도 모빌리티 서비스 시장의 기회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선진국 시장보다 전동화 규제가 강하지 않은 점도 글로벌 완성차업계의 주목을 끌 수 있다. 내연기관차, 하이브리드차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기회가 되기 때문이다. 인도 승용차 시장의 전기차 침투율은 2.7%에 불과하다.
보고서는 "인도는 파워트레인 전동화 규제의 완충지대이자 새로운 제품 시장으로서의 가치를 보유한다"면서 "향후 전기차 보급 본격화에 맞춰 수익성 증대가 가능한 점, 글로벌사우스 전반에 통용될 수 있는 제품 특성 등은 인도 시장의 전략적 가치를 배가한다"고 설명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