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최근 인공지능 (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술을 활용한 시스템이 전자·보험·의료 분야를 넘어 은행권까지 확산되고 있다. 금융권의 이 같은 변화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환경속에서 직원 디지털 역량도 길러야 생존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인공지능은 인간이 지닌 지적 능력을 모방해 실현하는 시스템을 뜻한다. 프로그램에 학습·추론 기능을 주입해 우리 일상을 보다 편리하고 윤택하게 만드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이 하나 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소비자 보호 시스템 구축에 본격 나섰다. 먼저, 신한은행은 지난해 말부터 기계가 고객에게 상품 약관과 주요 고지 사항을 읽어주고 고객이 이에 답하게끔 하는 TTS(Text To Speech) 시스템을 도입했다.
'TTS 시스템'은 고의 또는 실수로 빠뜨릴 수 있는 설명이 없게 하되 고객에게 추가 설명이 필요할 때는 직원이 추가로 설명을 해주는 방식이다.
여기에 곧 개발될 AI 시스템을 접목하면 금융사가 고객 반응과 대답을 토대로 판매 적정성을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은행 측은 기대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빅데이터·인공지능·블록체인을 전면에 내세우고 적용 범위를 확대하며 디지털 뱅크(Digital Bank)로 탈바꿈하고 있다. 또 올해 상반기 영업점 직원 인사를 인공지능(AI) 기반의 알고리즘을 통해 실시 나섰다.
이어 인공지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업무에 적용하기 위해 'AI 혁신센터'를 신설하기도 했다. 인공지능 기반 대(對)고객 서비스 혁신과 중장기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담조직을 신설한 것으로 풀이된다.
'AI 혁신센터'는 인공지능 전략을 수립하고 관련 업무를 총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AI 기반 혁신서비스 개발, 사업화 추진, 업무효율화 지원, 플랫폼 구축·운영, 신기술 연구·전파 등이 대표적이다.
허인 KB국민은행장은 지난달 신년사를 통해 "상반기 인사부터 ‘사람 손’이 아닌 'AI기반의 알고리즘'에 의한 영업점 이동∙배치가 시도되고 상반기 중으로 클라우드 기반 '신 HR 플랫폼' 구축과 연계해 인사 제도상의 혁신적 변화와 함께 쌍방향의 직원 소통 노력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밖에도 우리은행이 지난달 22일 시중은행 최초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제재법규 심사 시스템을 구축하고 새 시스템을 수출입 선적서류 심사업무에 도입한다고 밝혔다.
해당시스템에는 이미지 인식 기술과 머신러닝(기계학습) 기반의 인공지능 기술이 도입됐으며, 우리은행은 이를 통해 수출입 서류 분류와 텍스트 추출, 데이터 축적, 심사 프로세스 등을 자동화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해외 금리연계형 파생결합펀드(DLF) 사태로 한 차례 홍역을 치른 하나은행 역시 고객 신뢰 회복을 위해 AI카드를 꺼냈다.
하나은행도 AI를 활용해 고객 필체를 인식하는 '인공지능 필체 인식 시스템'을 시범 운영 중이다. 올해 상반기 중 전 지점에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시스템은 고객이 계약서에 자필로 기재하는 '듣고 이해하였음' 등의 글자를 분석해 빠뜨리거나 잘못 기재한 부분은 없는지 등을 확인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인공지능 도입으로 대부분 작업을 기술이 대신하기 때문에 인력은 추가 검증이나 심층심사가 필요한 부분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면서 "그만큼 심사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인공지능 시스템을 통해 심사항목 자동추출 및 필터링, 통계적 분석을 통한 위험요소 자체점검, 심사정보의 데이터베이스(DB)화로 체계적인 사후관리도 가능해졌다"고 덧붙였다.
【 청년일보=길나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