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17 국감] 적격 재대혈 중 20% 부적격 재대혈로 드러나

권미혁 의원 "부적격 제대혈로 밝혀진 1만개 연구용으로 사용해야"

권미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2일 국정감사에서 "정부가 적격 기준에 미달하는 제대혈을 적격으로 분류해 관리하고 있었다"며 주장했다. 사진은 권 의원이 작년 9월21일 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는 모습. <뉴스1>

정부가 적격 기준에 미달하는 제대혈을 적격으로 분류해 관리하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제대혈은 분만 후 태아의 탯줄에서 나온 혈액으로 조혈모세포·간엽줄기세포가 풍부해 신체의 일부 세포를 재생산하는 데 쓰인다.

1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권미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2월부터 6월까지 제대혈 은행과 연구기관 등 총 40곳을 대상으로 연구용으로 제공된 부적격 제대혈의 사용 실태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은 실태가 드러난 것이다.

조사 결과, '적격 제대혈'로 보관된 5만1291유닛(Unit·제대혈 줄기세포 단위) 중 1만941유닛은 유핵세포수가 8억개 미만인 '부적격 제대혈'로 드러났고, 복지부는 이를 여전히 적격 제대혈로 기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2011년 제정된 '제대혈 관리 및 연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유핵세포 수 8억개 미만이면 부적격 제대혈이다. 

권 의원은 질병관리본부 조사 이후에도 보건복지부가 보도자료 등을 통해 여전히 적격 제대혈을 5만2258유닛으로 기재하는 등 관리가 소홀했다고 지적했다.

또 해당 기준 마련 전 보관돼 있던 '부적격 제대혈'이 법 제정 이후에도 '적격'으로 보관됐다는 점도 문제 삼았다. 다만 제대혈 은행이 자체적으로 구분해 보관하고 있었다고 봤다.

권 의원은 "복지부가 제대혈 관리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했는데, 개선할 의지를 보이는 것이 맞느냐"며 "법이 제정된 지 한참이 지났는데도 계속 부적격 제대혈을 적격 제대혈로 분류·관리하는 것은 큰 문제"라며 지적했다.

아울러 "부적격 제대혈로 밝혀진 1만개를 연구용으로 사용하는 등 관리의 실효성을 높여라"라고 주문했다.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