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년일보 】 GS리테일의 3분기 매출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재확산과 함께 긴 장마가 겹친 탓으로 분석된다.
27일 GS리테일이 공시한 올해 3분기 매출은 2조3488억원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1% 줄어든 수준이다.
영업이익과 순이익 역시 감소했다.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지난해 동기 대비 12.8% 감소한 790억원으로 기록했으며, 순이익은 3.7% 감소한 661억원으로 나타났다.
사업별로 보면 주력 분야인 편의점 매출은 1조8786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3.3%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810억원으로 9.8% 줄었다. 즉석식품과 담배 매출이 늘었지만 코로나19 재확산에다 긴 장마로 유동 인구가 줄어든 것이 영업이익 하락의 원인으로 분석됐다.
슈퍼마켓 GS더프레시의 영업실적을 보여주는 슈퍼 사업부 매출은 3294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15.4%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작년 3분기 24억원에서 올해 3분기 154억원으로 130억원이 늘었다.
지난해 말 실적이 부진한 점포를 대거 정리한 이후 슈퍼 부문 실적은 개선세를 이어가고 있다. 슈퍼 부문은 지난 2분기에 92억원의 영업이익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판매 행위를 제외한 모든 권한을 본부가 주도함으로써 매장 내 작업을 최소화하는 ‘체인 오퍼레이션’으로 영업방식을 바꾼 것이 성과를 거두며 영업이익이 개선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호텔 사업부 매출은 405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45.8% 급감하며 18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지난달부터 투숙률이 다시 낮아지며 전체적으로 매출이 부진했고 임차료와 감가상각비 등 고정비가 가중돼서다. 오는 12월 다시 문을 여는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의 개보수 작업이 진행 중인 것도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
GS리테일 측은 “위기에 강한 편의점 사업을 기반으로 주력 사업 중 하나인 슈퍼 사업이 체질 개선을 이루고 있다”며 “편의점은 올해 연간 점포 출점이 목표한 수준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비대면 플랫폼 확대를 통한 고객 경험 혁신을 위해 점포 인프라를 강화해나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 청년일보=박정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