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06 (토)

  • 흐림동두천 20.7℃
  • 흐림강릉 27.2℃
  • 흐림서울 22.9℃
  • 흐림대전 24.2℃
  • 맑음대구 25.0℃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5.9℃
  • 박무부산 22.9℃
  • 구름많음고창 25.5℃
  • 박무제주 25.6℃
  • 흐림강화 20.8℃
  • 구름많음보은 21.5℃
  • 구름많음금산 22.7℃
  • 맑음강진군 25.2℃
  • 구름많음경주시 23.9℃
  • 맑음거제 24.7℃
기상청 제공

현대차그룹 매출액 比 R&D 투자 2.9% 뿐...13대 글로벌 車 그룹 중 '최하위'

현대차그룹, 매출 4위, R&D 투자 10위...투자액 36억7600만유로
KAMA, '2020년 주요 자동차그룹의 R&D 투자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
지난해 R&D 투자액, 테슬라 전년 比 11% 증가...나머지 모두 감소
정만기 “미래차주요기술 국가전략기술지정...R&D 투자, 세제지원 늘려야”

 

【 청년일보 】 현대자동차그룹의 지난해 매출액이 전세계 13대 글로벌 車 그룹 중 4위를 차지했다. 반면 연구개발(R&D)투자액은 최하위 수준인 10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7일 13개 자동차 그룹의 작년 R&D 투자 동향을 조사해 '2020년 주요 자동차그룹의 R&D 투자 동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주요 자동차그룹의 지난해 R&D 투자액은 테슬라만 전년 대비 11.0% 증가, 나머지는 모두 감소했다.

 

R&D 투자액 규모로는 폭스바겐이 138억8500만유로(전년比 2.9% 감소)로 1위를 기록했고, 토요타가 86억2천만유로(전년比 1.8% 감소), 다임러 86억1400만유로(전년比 10.6% 감소)로 뒤를 이었다.

 

그 뒤로 포드(63억2400만유로, -4.1%), BMW(62억7900만유로, -2.2%), 혼다(61억6700만유로, -5.0%) 등의 순을 보였다. 현대차그룹은 36억7600만유로로 10위에 그쳤다.

 

보고서는 테슬라를 제외한 다른 기업의 매출액과 R&D 투자액은 큰 폭으로 감소했으나, 현대차그룹의 경우 매출액은 전년 대비 0.4% 감소, R&D 투자액은 0.5% 감소해 예년 수준을 유지했다고 분석했다.

 

현대차그룹의 매출액은 폭스바겐, 토요타, 다임러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다만 매출액 대비 R&D 비중은 2.9%로 조사대상 13개 자동차그룹 중 최하위로, 닛산(6.4%), 르노·BMW(6.3%), 폭스바겐(6.2%) 등 다른 기업들과 큰 차이를 보였다.

 

 

KAMA는 보고서를 통해 R&D 투자가 고부가가치 제품력·전동화·자율주행 등 첨단기술 경쟁력을 좌우한다고 강조했다.

 

R&D 투자 규모가 1위인 폭스바겐 그룹의 경우 아우디·벤틀리·포르쉐 등 3개 프리미엄 브랜드의 그룹 내 판매대수 비중은 23.3%(130만대)에 불과하나 매출액 비중은 42.9%로 약 1.8배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반면 현대차는 제네시스 브랜드의 판매가 12만9천대로 전 세계 판매(374만대)의 2.9%에 불과하기 때문에 R&D 투자를 늘리면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전동화 역시 R&D 투자 비중이 높은 폭스바겐과 다임러 등이 본격 추진하며 3년 만에 중국 등을 제치고 시장주도권을 탈환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보고서는 현대차그룹 등 국내 기업이 상대적으로 R&D 투자가 미흡한 원인으로 매출액 대비 낮은 영업이익률과 정부의 대기업 차별적 정책 등을 꼽았다. 임금 등 비용부담으로 R&D 투자 여력이 부족하다며 외국 경쟁기업의 영업이익률은 토요타(8.1%), 테슬라(6.3%) 등 4~8%대지만 현대차그룹은 2.7%에 불과하다.

 

또 정부의 예산 배분이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대학, 중소기업 위주로 이뤄져 대기업이 오히려 소외되는 상황도 문제로 지적됐다.

 

2019년 국가연구개발비는 출연연 40.0%, 대학 24.4%, 중소기업 15.0%, 중견기업 6.9%, 국공립연 5.1%, 대기업 1.8% 순으로 배분됐다. 반면 R&D 성과를 나타내는 지표인 삼극특허(미국, 유럽, 일본에 모두 출원된 특허)의 경우 대기업은 전체 특허 중 6.8%지만 대학은 0.9%, 중소기업 1.5%, 중견기업 3.8%로 낮았다.

 

대기업의 R&D 세액 공제가 투자액 중 0∼2%에 불과해 프랑스(30%), 영국(13%), 캐나다(15%) 등 선진국보다 낮은 점도 지적했다.

 

정만기 KAMA 회장은 "기업은 R&D 투자여력 확보를 위해 노사화합, 임금안정 등을 통해 비용절감과 영업이익률 제고에 노력하고 정부는 글로벌 기업과 동등한 경쟁 환경을 조성하는 차원에서 장기적으로 대기업 차별적인 R&D 지원을 과감히 폐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 회장은 "특히 차량용반도체, 소프트웨어, 수소차 관련 부품소재기술, 배터리 등 미래차 관련 주요기술은 조속히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해 R&D 투자에 대한 세제지원을 늘려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 청년일보=정은택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