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의대 입학정원 증원에 이어 간호대도 입학정원이 증원된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8일 2025년도 간호대 입학정원 1천명을 늘려 2만4천883명으로 증원한다고 밝혔다. 간호대 정원은 지난 2008년 1만1천686명에서 2023년 2만3천183명으로 2배 가까이 증원하였다. 하지만 국내 간호사 면허를 보유한 사람 50만 9천명 중 26만9천명(52.9%)만이 실제 임상에서 일하고 있다. 절반 가량의 간호사들이 병원 현장을 벗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2023년 보건의료 노동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간호사가 이직을 고려한 이유로 열악한 근무조건과 노동강도가 3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 70.4%가 '나는 육체적으로 지쳐 있다', 64.4%가 '나는 정신적으로 지쳐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간호대 입학정원 증원은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간호사들의 업무 환경을 개선하는 것에 더 큰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간호사들이 더욱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부담을 줄이는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간호대 증원은 단기적인 해결책으로 보일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문제의 해결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
【 청년일보 】 현대 사회에서 공황장애는 점점 더 두드러지는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스트레스, 사회 압박, 그리고 환경 변화 등이 이러한 심리적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최근 방영된 드라마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에서는 공황장애 관련 에피소드가 등장한다. 회사에서의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로 인한 공황발작을 실감나게 표현해 많은 이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청년층의 공황장애 발생률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30대 공황발작 환자 수는 2019년 6만1천401명에서 2021년 7만5천778명으로 23% 늘었다. 전체 환자에서 20~30대가 차지하는 비율도 33.6%에서 34.2%로 증가했다. 공황장애를 겪는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심한 불안과 초조감, 죽을 것 같은 공포를 느끼고, 이와 함께 가슴 뜀, 호흡 곤란, 흉통이나 가슴 답답함, 어지러움, 손발 저림, 열감 등의 다양한 신체 증상을 경험한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사회적인 상황이나 일상생활에서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어, 그들의 삶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 공황장애의 치료로 먼저 약물치료는 공황발작의 횟수와 불안증상을 줄일 수 있다. 인지행동치료는 공황장
【 청년일보 】 저출산 문제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로 인해 소아 의료인프라가 감소하고 있다. 저출산은 대한민국이 해결해야 하는 큰 문제 중 하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78명, 신생아 수는 24만9천명으로 역대 최저수준이다. 출산율 하락으로 비롯된 소아 환자 수 급감, 진료비 수가 문제 등으로 인해 지난 3월 대한소아청소년과의사회는 '소아청소년과 폐과'를 선언했다. 문을 닫는 소아과들도 증가하는 추세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소아청소년과 병·의원 662곳이 폐업했다. 출생아가 줄어들면서 소아청소년과도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소아청소년과가 줄어들게 되면서, 새벽부터 소아 환자와 보호자가 병원에서 줄을 서서 대기하는 일명 '오픈런'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보호자들은 장기간 대기하지 않기 위해 병원 진료 예약 플랫폼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진료 예약 또한 경쟁률이 치열하여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소아‧청소년의 열악한 의료환경에 서울시는 지난 4일 '서울특별시 소아청소년과 의료 개선 지원에 관한 조례'를 공포·시행했다. 최기찬 의원은 "진료공백을 막고 아픈 아이들이 적시에 필요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함과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