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대한장애인체육회가 15일 발표한 '2023년 장애인 생활체육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율은 33.9%로 2007년 조사 시작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조사는 한국갤럽조사연구소에 의뢰해 지난해 9월에서 11월 두 달간 전국 만 10세 이상 69세 이하 등록 장애인 1만명을 대상으로 면접·전화 방식을 병행했다. 생활체육 장소를 살펴보면 근처 야외 등산로나 공원이 47.3%로 가장 많았다. 체육시설 이용률은 15.3%에 머물렀다. 체육시설 이용률이 여전히 낮은 주요 이유는 '혼자 운동하기 어려워서'(29.9%), '시간이 부족해서'(19.0%), '체육시설과 거리가 멀어서'(12.9%) 순으로 나타났다. 문체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장애인 생활체육 환경을 개선할 방침이다. 생활밀착형 체육시설인 '반다비 체육센터' 확충을 위해 15곳을 건립한다. '장애인 스포츠 강좌 이용권' 수혜 대상과 지원금을 확대해 월 지원금을 지난해 9만5000원에서 올해 11만 원으로 하고 지원 대상도 19~64세에서 5~69세로 확대했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
【 청년일보 】 대기업의 노동조합 설립률이 중소기업보다 3배 가량 높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3일 한국노동연구원의 '대·중소기업 사업체의 노사관계 현황 및 추세' 보고서에 따르면 대기업의 노조 설립 비율은 연도별로 33.7∼36.6%를 기록, 중소기업의 12.2∼12.9% 보다 약 3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한국노동연구원이 격년 단위로 사업체의 고용, 인사관리, 노사관계, 기업복지, 산업재해 등을 파악하는 추적 조사인 '사업체패널조사'를 통해 작성됐다. 전체 사업체의 노동조합 설립 비율은 2015년 18.6%, 2017년 19.5%, 2019년 19.1%, 2021년 19.4%를 기록했다. 한편 30인 이상 사업체에서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노사협의회도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에서 더 실질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노사협이회의 내실 있는 운영을 살펴볼 수 있는 사업주 직접 참여 횟수도 2021년 기준 대기업 3.99회, 중소기업 3.61회로 대기업이 조금 더 많았다. 김정우 한국노동연구원 전문위원은 보고서에서 "대기업에 속한 사업체에서 노동조합의 힘이나 교섭력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
【 청년일보 】 올해 대졸 구직자들의 희망 연봉이 평균 3천610만원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취업 목표로는 중견기업을 원하는 구직자가 가장 많았다. 잡코리아는 올해 신입직 취업을 준비하는 4년제 대학 졸업 구직자 739명을 대상으로 희망 연봉 수준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3천610만원은 지난해 같은 조사에서 나온 평균 3천540만원보다 2.0% 높다. 목표 기업별로는 대기업 취업을 준비하는 구직자의 희망 연봉이 평균 4천30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외국계 기업 평균 3천830만원, 중견기업 평균 3천520만원, 중소기업 평균 3천70만원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전공계열별로는 이공계열 평균 3천850만원, 상경계열 평균 3천700만원, 인문계열 평균 3천410만원, 예체능계열 평균 3천370만원 등이었다. 성별로는 남성 구직자의 희망 연봉이 3천860만원으로 여성 구직자의 희망 연봉 평균 3천490만원보다 높았다. 취업 목표 기업은 중견기업이라는 구직자가 41.1%로 가장 많았다. 이어 대기업 27.1%, 중소기업 21.0%, 공기업 7.3% 순이었다. 대기업과 중견기업 취업을 준비하는 구직자들은 그 이유로 '연봉과 복지제도가 우
【 청년일보 】 자산순위 상위 30대 그룹에서 겸직 사외이사 경력을 조사한 결과 교수 출신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자산순위 상위 30대 그룹의 겸직 사외이사 경력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교수직인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스인덱스는 상위 30대 그룹에서 사외이사를 둔 237개 계열사의 사외이사 827명의 이력을 분석했다. 이 중 177명(21.4%)이 2곳 이상 기업의 사외이사를 겸직했고, 겸직 사외이사를 경력별로 분석 결과 현직 교수가 72명(40.7%)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관료 출신이 56명(31.6%)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료 출신 사외이사의 출신 부처를 살펴보면 국세청·검찰 각 10명, 산업통상자원부 9명, 기획재정부 7명, 사법부·공정거래위원회 각 5명 순이었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
【 청년일보 】 국민 10명 중 5명은 자율주행 대중교통 이용 의사가 있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7일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이 설문조사 플랫폼 엠브레인을 활용해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조사 대상은 전국 14∼79세 남녀 3천명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율주행 대중교통을 이용할 의사를 묻는 항목에 전체 응답자의 47.5%는 '있다'고 대답했다. '낮다'는 22.2%, '보통'은 30.3%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낮은 연령대에서 이용 의사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10대에서는 66.4%가 자율주행 대중교통 의사가 있다고 답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어 20대는 52.5%, 30대는 40.5%, 40대는 41.9%, 50대는 46.3%, 60대는 44.6%를 기록했다. 70대는 39.1%를 기록해 가장 낮은 응답률을 나타냈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
【 청년일보 】 웹툰 창작자 2명 중 1명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웹툰 제작이 창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6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지난해 8월 웹툰 플랫폼 연재 작가 23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웹툰산업 제작 구조 변화에 따른 정책방안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웹툰 작가 대상 설문 조사에서 응답자의 56.0%는 AI 기술 활용이 향후 창작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했다. AI 기술이 웹툰 작업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본 응답은 23.7%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웹툰 작가들이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가하는 이유에 대해 작가에게 있어서는 AI 기술 활용이 창작에 대한 위협으로 여겨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응답 결과를 웹툰 작가의 경력별로 살펴보면 부정적 인식은 5∼10년 차 작가에서 69.3%를 기록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경력 1년 미만에서 38.5%, 경력 10년 이상에서 38.6%를 기록했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
【 청년일보 】 정보통신기술(ICT)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은 재작년 신규 채용을 하지 않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3 ICT 중소기업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ICT 중소기업들의 2022년 평균 신규 채용자 수는 3.6명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4.5명보다 1명가량이 줄어든 셈이다. 실태조사 결과 2022년 '신규 채용이 있었다'고 답한 ICT 중소기업은 12.6%에 그쳤다. 나머지 87.4%는 '신규 채용이 없었다'고 밝혀 10곳 중 대략 9곳 가량의 기업에서 채용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ICT 중소기업이 내수 부진에 직면하면서 매출이 줄고 신규 채용을 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매출이 감소한 기업들 10곳 중 6곳(61.9%)은 '내수 부진'을 이유로 들었다. 이어 업계 경쟁 심화가 22.3%를 차지해 매출 감소의 주 요인으로 선택됐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
【 청년일보 】 지난해 서민 음식으로 분류되는 자장면을 비롯해 외식 물가 상승률이 전체 물가 상승률을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외식 물가 상승률은 6.0%를 기록했다. 이는 전체 물가상승률 3.6%의 1.7배 가량으로 외식 물가 부담이 다른 품목들에 비해 높았다는 뜻이다. 2013년부터 11년 연속 외식 물가는 전체 물가 상승률을 상회했다. 지난해 외식 세부 품목 39개 중 36개가 전체 물가 상승률(3.6%)을 웃돌았다. 품목별로 대표적인 서민음식으로 분류되는 자장면의 경우 7.2%의 상승률을 보였다.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인 것은 피자로 11.2%를 기록했다. 이어 햄버거(9.8%), 김밥(8.6%), 라면(외식)(8.0%)이 뒤를 이었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
【 청년일보 】 판교테크노밸리의 2022년 총 매출액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 167조 7천억 원으로 2021년 매출 120조 8천억 원에 비해 38.8%가량 상승했다. 상시 근무하는 노동자 수는 7만8천751명이며 주요 연령대는 30~40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31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경기주택도시공사가 지난 5월부터 10월까지 제1·2 판교테크노밸리 입주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먼저 제1·2판교테크노밸리 입주기업의 2022년 매출은 약 167조7천억 원을 기록했다. 제1판교가 157조 5천억 원으로 93.9%를, 2판교는 10조2천억 원의 매출액을 각각 기록했다. 2판교테크노밸리의 경우 최근 입주 기업 증가로 2021년 1조1천억 원 대비 828% 상승한 실적을 나타냈다. 판교테크노밸리 입주 기업은 1천622개로 이 중 중소기업이 86.4%를 차지했다. 중견기업은 7.8%, 대기업은 3.8%를 기록했다. 제1판교는 중소기업 83.2%, 중견기업 10.0%, 대기업 5.0%가 입주했다. 지난해 수치와 비교해보면 중소기업은 1.2%, 대기업은 0.3% 감소하고, 중견기업은 0.7%
【 청년일보 】 무소속 김남국 의원의 암호화폐 보유 논란을 계기로 21대 국회 의원 가사자산(코인) 거래 내역을 조사한 결과 3년새 거래액이 600억원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국민권익위원회(이하 권익위)가 발표한 '국회의원 가상자산 특별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국회의원들이 거래한 가상자산 규모가 600억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권익위는 국회의원의 개인정보 동의를 거쳐 21대 국회 임기 개시일인 2020년 5월 30일부터 2023년 5월 31일까지 3년간 가상자산 거래 내역 자료를 확보, 분석했다. 조사 결과 전체 국회의원 298명 중 가상자산 보유 내역이 있는 의원은 18명(6%)으로 나타났다. 가상자산을 매수한 누적 금액은 625억원, 전체 매도 누적 금액은 631억원을 기록했다. 이들이 3년 사이 가장 많이 거래한 가상자산은 비트코인이었다. 권익위는 22대 국회의원 임기 시작 전에 가상자산 등록 금액과 비율을 국회 규칙으로 정하고, 비상장 자산 누락 방지 대책을 마련하라고 국회에 권고했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