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휴엠앤씨는 올 2분기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134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수치다. 동 기간 영업이익은 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 감소했고, 당기순손실은 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3% 줄었다. 별도재무재표 기준 매출액은 13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 기간 영업이익은 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억원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1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줄었다. 사업 부문별로 실적은 글라스 사업 매출의 경우 9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했다. 의정 갈등 여파로 부진했던 수주 물량이 점차 회복세를 보이며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코스메틱 사업 부문 매출액은 4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2% 증가했다. 지난해 유일산업 화장품 부자재 사업부문 인수 이후 성공적으로 안착하며 실적에 반영된 결과다. 다만, 사업 인수로 인한 인건비 및 제조 경비가 늘어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휴엠앤씨는 재무구조 개선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6월 24일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5:1 무상감자를 결의하고, 지난 5일 감자 절차를 완료했다. 이에
【 청년일보 】 휴메딕스는 2분기 개별재무제표 기준 매출 430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한 실적이다. 동 기간 영업이익은 10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7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휴메딕스에 따르면 해외 필러 및 화장품 수출은 올 1분기 대비 증가했다. 반면에 필러와 보툴리눔 톡신을 기반으로 하는 국내 에스테틱은 국내 기업 간 경쟁 심화로 인해 성장이 둔화됐으며, 관절염 치료제를 비롯한 일부 전문의약품 판매량이 줄어들면서 2분기 매출이 소폭 줄었다. 영업이익 측면에서는 국내 에스테틱 매출 감소와 위탁생산(CMO) 수주 감소 등의 영향으로 공장 가동률과 수익성이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영업 수익성 감소와 환율 하락에 따른 외화환산손실이 반영되며 줄었다. 휴메딕스는 올 하반기 필러·화장품 해외 수출국 다변화, ‘엘라비에 리투오’ 신규 거래처 확대, 신제품 ‘올리핏주’ 등의 에스테틱 제품의 라인업 강화를 비롯해 전문의약품 품목 다변화를 통한 CMO 추가 수주 등을 기반으로 매출 성장을 이끌겠다는 목표다. 또 화장품 사업의 온오프라인 유통망 다각화와 해외 필러 수출
【 청년일보 】 SK바이오사이언스가 가을·겨울 본격 유행하는 RSV(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감염병 예방에 앞장선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8월 14~17일 4일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제48회 베이비페어’에 참가, RSV 질환 예방의 중요성을 알리는 홍보 부스를 운영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RSV가 유행하기 시작하는 가을을 앞두고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 및 임산부들에게 질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올바른 예방법을 알리고자 기획됐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행사 기간 동안 ▲RSV 질환에 대한 소개 및 예방 수칙이 담긴 안내 동영상 상영 ▲전문 간호사를 통한 1:1 현장 상담 ▲임산부 및 방문객을 대상으로 한 RSV 질환 인지도 설문조사 등을 실시한다. 베이비페어가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임신·출산·육아 박람회인 만큼 SK바이오사이언스는 적극적인 캠페인 전개를 통해 RSV 질환에 대한 대중의 인식 제고와 예방 문화 확산에 힘쓴다는 계획이다. RSV는 기침, 콧물, 발열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지만 중증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1세 미만 영아의 세기관지염과 폐렴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전 세계 영유아의 90%는 2세가 지나기 전 RSV에 감염
【 청년일보 】 셀트리온제약이 주력제품 및 신제품 동반 성장에 힘입어 역대 최대 2분기 매출을 달성했다. 셀트리온제약은 올해 2분기 기준 매출액 1천313억원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2.1%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64.8% 증가한 155억원을 달성했으며, 영업이익률도 4%p 이상 오른 11.8%를 기록했다. 올해 상반기 누적 매출액은 2천43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9% 늘었고, 영업이익은 26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0.3% 성장했다. 사업부문별로는 케미컬 사업 부문에서 663억원의 매출을 거뒀다. 기존 주력 제품인 간장용제 ‘고덱스’가 전년 동기 대비 6.9% 성장한 16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고혈압 치료제 ‘딜라트렌정’이 7% 늘어난 151억원의 매출을 거두며 성장세에 힘을 보탰다. 생산 내재화를 완료한 당뇨병 치료제 ‘네시나’는 전년 동기 대비 65.7% 오른 64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큰 폭의 매출 성장을 이뤘다. 이외에도 당뇨병 치료제 ‘액토스’, 고혈압 치료제 ‘이달비’가 각각 18억원, 27억원 대의 매출을 달성했다. 바이오시밀러 사업 부문에서는 전년 동기 대비 58.3% 증가한
【 청년일보 】 시지메드텍은 자사의 경추 유합 솔루션 ‘유니스페이스(UniSpace Stand-Alone C Cage)’를 멕시코와 트리니다드 토바고에서 성공적으로 론칭했다고 14일 밝혔다. 유니스페이스는 지난해 6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510(k) 승인을 획득하며 안전성과 효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기존 경추 유합 기기의 한계를 극복한 일체형 독립 구조(Stand-alone) 설계를 적용해 추가적인 경추용 플레이트 없이도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며, 수술 과정을 간소화해 절개 부위 축소와 빠른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골 유합을 극대화하는 설계도 적용됐다. 기기 중앙에는 뼈가 자랄 수 있는 공간(천공부)이 마련돼 있으며, 표면에는 골 형성을 촉진하는 격자 구조가 설계됐다. 특히 상하면과 중앙부에 각각 다른 형태의 격자 구조(격자 A, 격자 B)를 적용해 뼈 성장 환경을 최적화했으며, 기존 제품 대비 골 유합 속도가 향상돼 환자의 회복 기간 단축에도 기여한다. 적용 범위도 넓다. 본 제품은 척추뼈의 C2-C3부터 C7-T1까지 해당하는 부위의 경추 추간판 질환 환자에게 사용 가능하다. 기존 방식과 달리, 목 앞쪽(전방)에서 접근하는 독립형 고정
【 청년일보 】 한미약품이 임직원과 가족들이 함께 특별한 추억을 나눌 수 있는 뜻깊은 자리를 마련했다. 한미약품은 최근 경기도 화성 팔탄사업장에 국내사업본부 임직원 가족들을 초청해 ‘한미 패밀리데이(Family Day)’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작년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린 이번 행사는 가족들이 평소 쉽게 접할 수 없었던 한미약품의 최첨단 생산시설을 견학하고 부모님의 일터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등 함께 소중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활동으로 구성됐다. 행사에 참석한 가족들은 스마트 자동화 시스템이 적용된 생산라인을 직접 견학하며, 의약품이 탄생하는 전 과정을 눈으로 보고 체험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또 가족 단위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퀴즈 이벤트, 기념 포토존 등이 운영돼 행사의 재미와 의미를 더했다. 퀴즈 대회는 총 5개의 세션으로 구성돼 한미약품 및 제약 산업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는 동시에 유쾌한 분위기가 조성됐다. 모든 참가 가족에게는 한미약품 로고가 새겨진 기념품이 제공됐고, 현장에서 촬영한 가족 사진을 통해 특별한 추억을 간직할 수 있게 했다. 박재현 한미약품 대표는 “이번 패밀리데이는 임직원의 일터를 가족들에게 소개함으로써 회
【 청년일보 】 유한양행은 대한약사회, 서울남부보훈지청과 제80주년 광복절을 맞아 지난 12일 국가유공자의 건강 지원을 위한 나라사랑 안티푸라민 나눔상자 전달식을 가졌다고 14일 밝혔다. 2017년부터 진행된 ‘나라사랑 안티푸라민 나눔상자’ 기부는 8년 동안 총 6천361명의 국가유공자에게 전달됐다. 올해는 국가유공자 어르신 1천명을 대상으로 안티푸라민 나눔상자 전달과 건강 상담을 지원하고, 감사의 엽서도 함께 전달할 예정이다. 앞서 유한양행은 지난 6월 국가보훈부 주관 ‘코리아 메모리얼 페스타’에서 창업자 유일한 박사가 참여한 특수 작전 냅코 프로젝트를 주제로 기업부스를 운영했다. 당시 부스 이벤트로 참여자 대상 국가유공자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엽서쓰기를 진행했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대한약사회, 서울보훈지청과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어르신들께 실질적인 건강 지원을 해드릴 수 있어 기쁘다”며, “앞으로도 꾸준한 나눔과 봉사로 국가유공자분들의 헌신에 보답하고,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김민준 기자 】
【 청년일보 】 일라이 릴리의 비만치료제 ‘마운자로’가 국내 유통된다. 한국릴리는 비만치료제 ‘마운자로’를 국내 출시했다고 14일 밝혔다. 한국릴리는 오는 20일부터 릴리와 공급 계약을 체결한 도매 업체를 통해 마운자로의 유통을 시작할 예정으로, 빠르면 오는 21일부터 각 의료기관에서 환자분들께 처방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각 기관의 약사위원회(DC)를 통과해야 해 추가적인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마운자로’는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GIP(포도당 의존성 인슐린 분비 촉진 폴리펩티드)/GLP-1(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 수용체 이중효능제다. 주 1회 투여로 GIP 수용체 및 GLP-1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결합해 활성화하도록 설계된 단일분자 주사제로, ▲인슐린 분비 촉진 ▲인슐린 민감도 개선 ▲글루카곤 농도 감소를 통한 혈당 강하 ▲위 배출 지연을 통한 음식 섭취 감소 및 체중 감소에 도움을 준다. 국내외 진료 지침 및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러한 기전 및 SURPASS, SURMOUNT 3상 임상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마운자를 기존 GLP-1 수용체 작용제와 다른 계열의 치료제로 분류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성인 제2
【 청년일보 】 동아제약과 HK이노엔이 MZ세대를 비롯한 젊은층이 많이 이용하는 플랫폼 ‘게임’의 가능성에 주목하면서, 소비자 저변 확대 전략의 일환으로 게임과 자사 제품 간의 콜라보레이션(이하 ‘콜라보’)에 무게를 싣고 있다. 현재 동아제약과 HK이노엔 양사는 각각 두가지 형태의 게임과 연계한 콜라보를 진행 중이며, 이를 통해 제품 판매와 제품·브랜드 인지도 개선 등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 동아제약, ‘박카스맛 젤리 X 원신’·‘박카스F X 배틀그라운드’ 콜라보 진행 14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동아제약은 자사의 대표적인 제품인 ‘박카스’에 국내 대표적인 게임 ‘원신’ 및 ‘배틀그라운드’를 연계한 콜라보를 선보이고 있다. 동아제약은 지난 4월 전국 편의점과 ▲동아제약 공식 온라인 몰 ‘디몰(:Dmall)’ ▲박카스 네이버 브랜드 스토어 등을 통해 박카스맛 젤리와 게임 ‘원신’간 ‘치얼업(CHEER UP)’ 컨셉의 콜라보를 선보였다. 박카스맛 젤리 10종의 패키지에 원신의 인기 캐릭터를 담아냈으며, 패키지 내 ‘원신씰’을 동봉해 원신 캐릭터 씰 랜덤 증정 및 씰 후면에 삽입한 코드를 입력하면 게임 아이템을 랜덤으로 증정했다. 디몰
【 청년일보 】 휴온스그룹 팬젠이 올 2분기 전년동기 대비 매출 증가 및 흑자 전환을 이뤘다. 팬젠은 2분기 개별재무제표 기준 매출 34.9억원과 영업이익 8.3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53.7% 늘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했다고 13일 밝혔다. 주요 제품 및 사업부문별 매출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빈혈치료제인 바이오시밀러 에리트로포이에틴(EPO) 의약품 매출은 76% 늘었고, 경상기술사용료(로열티) 매출은 77% 증가했다. 위탁생산개발(CDMO) 매출은 2분기에 차백신연구소와 19억원 규모 위탁생산(CMO)을 체결한 것을 포함해 368% 급증했다. 6월말 기준 수주잔고는 53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EPO 수출 및 로열티 수입 증가 효과에 힘입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반기 기준 매출은 69.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6%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15.3억원 흑자 달성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기록한 0.4억원의 적자에서 크게 개선했다. EPO사업은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국가에 대한 판매 실적이 늘고 사우디아라비아, 튀르키예 등에서 수출을 본격적으로 전개하며 매출이 증가했다. 팬젠은 향후 중동 및 아프리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