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다음 주(31일∼4월4일)에는 에이유브랜즈와 한국피아이엠이 코스닥시장에 상장한다. 29일 금융투자업계 등에 따르면 에이유브랜즈는 다음 달 3일, 한국피아이엠은 4일 코스닥시장에 상장돼 매매거래를 개시한다. 에이유브랜즈는 잡화류로 유명한 '락피쉬웨더웨어'를 브랜드로 갖고 있는 패션기업이다. 기존 기능성 레인부츠 브랜드였던 '락피쉬'를 락피쉬웨더웨어로 리브랜딩했다. 공모가는 희망범위 상단인 1만6천원으로 정해졌으며, 한국투자증권이 상장을 주관했다. 한국피아이엠은 코넥스 시장에서 코스닥으로 이전 상장한다. 공모가는 희망 범위 상단인 1만1천200원으로 확정됐다. 이 회사는 자동차 신품 부품 제조업체로 자동차용 변속기 등을 제조한다. 상장 주관사는 IBK투자증권이다. 수요예측에 돌입하는 기업은 이뮨온시아 1곳이다. 유한양행의 면역항암제 개발 전문 자회사인 이 회사는 면역 세포인 T세포, 대식세포를 타깃으로 하는 면역항암제를 주력으로 개발하고 있다. 공모주식 914만482주는 100% 구주매출이지만 구주매출 주식 전량은 이뮨온시아 자기주식이기 때문에 신주모집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희망 공모가액은 3천∼3천600원이며 이에 따른
【 청년일보 】 오는 31일 공매도 전면 재개를 앞두고 대차거래가 급증했다. 직전 영업일인 28일에만 약 3억주의 주식 대차거래가 체결되며 공매도 재개에 대한 투자자들의 반응이 주목된다. 29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28일 대차거래 체결 주식 수는 2억9천104만4천294주로 집계됐다. 이는 공매도 재개를 앞두고 사실상 '사전준비'가 이뤄진 것으로 해석된다. 대차거래는 투자자가 주식을 빌려 매도한 후 낮은 가격에 되사 차익을 얻는 공매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차거래 잔고 자체가 공매도 예정 물량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공매도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대차거래 잔고 역시 공매도 금지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28일 기준 대차거래 잔고 주수는 20억4천361만주로, 2023년 11월 공매도 전면 금지 이후 처음으로 20억주를 돌파했다. 잔고 금액도 66조6천401억원을 기록하며 2023년 12월 수준을 회복했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대차거래 체결량이 가장 많았던 종목은 ▲삼성중공업(421만주) ▲티웨이홀딩스(308만주) ▲삼성전자(299만주) ▲삼부토건(246만주) ▲두산에너빌리티(240만주) 등이었다. 대차거래 잔고 규모에서는 삼
【 청년일보 】 크래프톤이 신작 시뮬레이션 게임 '인조이'의 글로벌 흥행 조짐에 힘입어 28일 주가가 급등했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크래프톤은 전 거래일 대비 6.06% 오른 35만9천원에 장을 마감했다. 장 초반 0.15% 하락 출발했던 크래프톤 주가는 이후 반등하며 한때 7.83% 상승한 36만5천원까지 치솟기도 했다. 이는 '인조이'가 글로벌 게임 플랫폼 스팀(Steam)에서 좋은 성과를 거둔 영향으로 분석된다. 스팀 통계에 따르면 '인조이'는 출시 직후 판매 수익 기준 글로벌 매출 1위를 기록하며 기대 이상의 흥행을 보였다. 이러한 성과는 크래프톤의 주가 상승을 견인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편, 같은 날 게임업종 전반이 강세를 보였다. 최근 일본 시장에 신작 '프로야구 라이징'을 출시한 컴투스는 4.31% 상승하며 장중 최고가를 기록했고, 시프트업도 1.46%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시장이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도 크래프톤의 신작이 상승세를 타면서 게임업종이 강세를 보였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 청년일보 】 코스피가 하락 출발했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2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장 보다 25.40포인트(0.96%) 내린 2,618.54을 나타냈다다. 지수는 전장보다 23.66포인트(0.89%) 내린 2,620.28로 개장했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도 전장보다 7.46포인트(1.04%) 하락한 709.02을 나타냈따. 한편, 원·달러 환율은 서울 외환시장에서 전 거래일 보다 2.7원 오른 1,469.0원에 개장했다. 【 청년일보=이이나 기자 】
【 청년일보 】 지난해 말 60개 신탁사의 총수탁고가 1천378조1천억원으로 1년 전보다 67조4천억원이나 늘었다. 다만 보수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신탁업 영업실적(잠정)'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신탁회사 60곳의 총 수탁고는 1천378조1천억원으로 전년대비 5.1% 증가했다. 업권별로 보면 46개 겸영 신탁회사(은행·증권·보험)의 수탁고는 951조1천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4.7% 증가했다. 은행이 648조1천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2.5%, 증권사는 275조1천억원으로 8.8%, 보험사는 27조9천억원으로 17.2% 증가했다. 14개 전업 부동산신탁사 수탁고는 427조원으로 전년 말 대비 6.2% 증가했다. 수탁고 기준으로 업권별 점유율은 은행 47.0%, 부동산신탁사 31.0%, 증권 20.0%, 보험 2.0% 순이다. 신탁 재산별로 보면 금전신탁(632조8천억원)이 퇴직연금, 수시입출금신탁 등을 중심으로 5.2% 증가했다. 다만 채권형 랩·신탁에 대한 불법 자전거래 적발 등 영향으로 증권사의 채권형 수탁고가 전년 대비 8조7천억원 감소했고, 주가연계신탁도 은행의 홍콩H지수를 포함한 지수형 주가연계신탁 판매
【 청년일보 】 코스피가 반도체주 강세에 1% 넘게 오르며 2,640대를 회복했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장 보다 28.13포인트(1.08%) 오른 2,643.94에 장을 마치며 3거래일 만에 반등했다. 지수는 전장보다 12.28포인트(0.47%) 오른 2,628.09로 출발해 상승세를 이어갔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천501억원, 2천605억원 순매수하며 지수를 끌어 올렸다. 개인은 6천827억원 매도 우위를 보였다. 이날 국내 증시는 최근 반도체, 이차전지 등 업황 개선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4월 2일 미국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관세 범위가 기존 발언과 위협 대비 강하지 않을 것이라는 낙관론에 시장 심리가 안정적인 상황"이라며 "국내 증시는 새로운 이슈가 시장을 주도하기보다는 최근 반도체, 이차전지 등 업황 개선 기대감, 현대차의 미국 투자로 인한 관세 회피 기대감 등 최근 긍정적 모멘텀이 지속되면서 전날의 하락을 만회했다"고 분석했다. 업종별로 보면 전기전자(3.00%), 의료정밀(1.69%), 화학(1.43%) 등이 올랐으며 제약(-0.44%), 통신(-0.45%) 등은 내렸
【 청년일보 】 코스피가 장 초반 2,620대에서 상승 중이다.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2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장 보다 9.95포인트(0.38%) 상승한 2,625.76이다. 지수는 전장보다 12.28포인트(0.47%) 오른 2,628.09로 출발했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도 전장보다 2.24포인트(0.31%) 오른 713.50이다. 한편, 원/달러 환율은 서울 외환시장에서 전 거래일 보다 2.2원 내린 1,467.0원에 개장했다. 【 청년일보=이이나 기자 】
【 청년일보 】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이 최근 유가증권시장(코스피) 먹통을 일으킨 한국거래소의 전산장애와 관련해 검사에 착수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날부터 한국거래소의 전산장애와 관련한 검사를 진행한다. 지난 18일 한국거래소 거래 시스템 오류로 코스피 주식매매거래 체결이 약 7분간 멈추는 사고가 발생했다. 거래소는 전산장애에 대해 "최근 대체거래소인 넥스트레이드 출범과 함께 도입된 '중간가 호가'와 기존 로직의 충돌 때문"이라며 "동양철관 종목의 자전거래방지 조건 호가의 매매체결 수량 계산시 중간가 호가 수량이 누락되면서 매매체결 지연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코스피 전 종목 거래가 정지된 것은 한국 자본시장의 대외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심각한 문제라는 지적이 나온다. 그간 전산장애로 개장 전후 일부 종목의 거래가 멈추는 일은 있었으나 정규장에서 코스피 종목 전체 거래가 멈춘 것은 2005년 한국거래소 통합 출범 이후 처음이다. 금감원은 검사를 통해 유가증권과 코스닥 시장의 매매거래 시스템 등을 살펴보고 넥스트레이드 출범 이후 시스템 안전성을 전반적으로 들여다볼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거래소에서 재발방지책도 제출받을 것으로 보인다. 한
【 청년일보 】 코스피가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불안 완화에도 달러 강세와 지속되는 국내 정치의 불확실성에 하락했다. 거래 부진이 이어진 가운데 이날 외국인 투자자는 7거래일 만에 코스피 시장을 떠나는 흐름을 보였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장보다 16.26포인트(0.62%) 내린 2,615.81에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20.97포인트(0.80%) 오른 2,653.04로 출발해 잠시 하락 전환한 뒤 오름세로 돌아섰으나 오후 들어 다시 하락 전환했다.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0.46% 올랐으며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12% 하락했다. 주요 아시아 증시 대비 코스피 낙폭이 컸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638억원, 746억원 순매도했으며 기관은 682억원 순매수했다. 외국인은 7거래일 만에 '팔자'로 돌아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부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 면제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관세 우려가 완화되고, 시장 예상치를 웃돈 미국 3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에 경기 개선 기대감이 커지면서 뉴욕증시가 일제히 상승했지만, 이날 국내 증시는 하방 압력을 받았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 지연에 따라 투자심리가
【 청년일보 】 코스피가 상승 출발해 장 초반 2,640대를 회복했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21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장 보다 3.17포인트(0.12%) 오른 2,635.24 다. 지수는 전장보다 20.97포인트(0.80%) 오른 2,653.04로 출발했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도 전장보다 1.24포인트 (0.17%) 오른 721.46이다. 한편, 원/달러 환율은 서울 외환시장에서 전 거래일 보다 0.1원 내린 1,467.6원에 장을 개장했다. 【 청년일보=이이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