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원자력 발전 활용이 필수적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주요국의 온실가스 감축 정책 등을 분석한 결과 한국은 다른 국가에 비해 탄소중립 목표 달성 기간이 짧아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원자력 발전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27일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주요 선진국은 한국과 달리 온실가스 감축을 장기간에 걸쳐 진행 중이다. 영국과 프랑스는 1990년부터 2050년까지 60년간, 독일은 1990년부터 2045년까지 55년간 탄소중립 달성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과 일본도 각각 43년(2007~2050년), 37년(2013~2050년)을 탄소 중립 소요 기간으로 정했다. 반면 한국은 2018년부터 2050년까지 32년간 탄소중립을 달성할 계획으로, 기간이 선진국보다 짧았다. 한국은 2030년까지의 중기 감축목표(2017년 대비 24.4% 감축)를 UN 기후변화사무국에 제출했지만 미흡하다는 판정을 받았다. 이에 올해 내 목표가 상향 조정될 전망이다. 전경련은 기업들의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석유화학, 정유 등 에너지 집약형 고탄소배출 제조업이 한국 산업을 주도하는 것도 탄소중립 달성
【 청년일보 】 최근 4년간 30대 그룹 상장사의 1인당 인건비는 연평균 2.4%씩 증가했으나, 1인당 영업이익은 연평균 1.0%씩 감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기업을 중심으로 임금체계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2016∼2020년 30대 그룹 코스피·코스닥 상장사(금융업 제외) 184곳의 재무 실적·인건비를 분석해 24일 밝혔다. 분석 대상 기업의 작년 전체 매출액은 838조5천억원으로 2016년(154곳, 773조7천억원)보다 연평균 2.0% 늘어났고, 영업이익도 2016년의 52조5천억원에서 연평균 0.1% 증가한 52조6천억원으로 나타났다. 당기순이익은 연평균 1.1% 줄어들었다. 이 기간 인건비는 59조1천억원에서 67조7천억원으로 매년 3.5%씩 늘어났다. 전체 종업원수는 80만9000명에서 84만4000명으로 연평균 1.1% 증가했다. 1인당 인건비는 8천26만원, 1인당 영업이익은 6천235만원으로 나타났다. 1인당 매출액은 9억9천382만원으로 집계됐다. 2016년과 비교하면 1인당 인건비는 719만원 상승했다. 연평균 상승치는 2.4%다. 1인당 매출액은 연평균 1.0% 상승했다. 증가치는
【 청년일보 】 국민순자산(국부) 대비 대기업 자산 비중이 주요국보다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대기업 집중 억제 정책의 수정을 촉구하는 의견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주요 7개국(G7) 중 국부 데이터가 나오는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 4개국과 한국을 대상으로 자산 상위 100대 기업의 경제력집중도를 분석한 결과를 20일 공개했다. 2019년 국민순자산 대비 상위 100대 기업의 자산총액 비중에서 한국은 17.7%를 기록, 비교 대상국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영국(44.9%)·독일(27.7%)·프랑스(23.1%)·이탈리아(19.5%) 순으로 상위권을 형성했다. 또한 10년 전 국부 대비 100대 기업의 자산비중보다 2.5%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교 대상국 중 최대 하락폭이다. 같은 기간 이탈리아와 프랑스는 각각 1.5%포인트, 0.3%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영국과 독일은 각각 11%포인트와 1.3%포인트 증가했다. 한국의 대기업 자산 비중을 장기시계열로 분석했을 때 전체 기업 자산총액에서 100대 기업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1985년 47.5%에서 2019년 31.6%로 15.9%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2019년
【 청년일보 】 글로벌 기관투자자들이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 기업을 대상으로 주주권을 행사하는 등의 개입 빈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선제적으로 경영 개입에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7일 글로벌 자산운용사인 블랙록과 뱅가드, SSGA의 주주 활동을 분석한 '글로벌 자산운용사 주주권 행사 추이' 보고서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블랙록이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국가에서 주주권을 행사한 건수는 2019년 238건에서 2020년 458건으로 92.4%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전체 주주권행사는 2050건에서 3043건으로 48.4% 느는 데 그쳤다. 또 블랙록과 뱅가드, SSGA순으로 아시아 지역에서 주주권을 행사하는 등의 개입이 잦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블랙록은 한국기업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보였다. 2018년 엘리엇의 현대차 지배구조개선안에 대한 반대, 2020년 한전의 해외 석탄발전소 투자와 관련한 서한 발송, LG화학의 인도공장 가스누출사건에 대한 개선 요구 등이 대표적인 사례로 거론된다. 블랙록이 주주제안 표결에 참여한 한국 기업도 2019년 12개사에서 2020년 27개사로 2.3배 증가했
【 청년일보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국내 상장사 영업이익은 25% 증가한 반면 상장사 4곳 중 1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낸 것으로 드러났다. 반도체와 가전 등 일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수혜 업종과 상위 기업의 영업이익 증가가 두드러진 가운데 기업 간 양극화가 심화됐다는 분석이다. 5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코스피·코스닥 비금융 상장기업 1017곳의 별도(개별)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작년 국내 상장기업 매출액은 1천76조1천억원으로 2019년(1천93조원)보다 1.5%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2019년 53조9천억원보다 24.9% 증가한 67조3천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2019년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한 데 따른 기저 효과와 코로나 반사이익을 누렸던 반도체, 가전 등 주력 산업의 이익률 개선 때문이라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한경연은 특히 기업간 K자형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상장사 매출액 최상위 20%와 최하위 20%간 평균 매출액 비율은 2019년 266.6배에서 2020년 304.9배로 확대됐다. 매출액 상·하위 20% 기업 간 평균 영업
【 청년일보 】 전국경제인연합회는 허창수 회장과 권태신 부회장이 올해 주요7개국(G7) 정상회의를 앞두고 열리는 경제계 회의인 B7 서밋에 한국을 대표해 허창수 회장과 권태신 부회장이 참석하기로 했다고 17일 밝혔다. B7 서밋은 G7의 의장국인 영국의 경제단체 영국경제인연합회(CBI)의 주관 아래 오는 5월 10~12일 화상회의로 열린다. 전경련은 대공황에 버금가는 글로벌 경제위기 타개를 위해 주요국간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참석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전경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제자문기구인 BIAC((Business at OECD)와 주요 16개국 민간 경제단체들로 구성된 세계경제단체연합(GBC), 아시아 경제단체 연합인 아시아 비즈니스 서밋(ABS) 등에서 한국 경제계를 대표해 활동 중이다. 특히 BIAC는 삼양홀딩스 김윤 회장이 이사로 활동 중이며 ABS는 오는 11월 한국에서 총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전경련은 31개국과 32개의 양자 합동회의를 추진하고 있고, 오는 11월 한미재계회의와 한일재계회의를 연다. 전경련 김봉만 국제협력실장은 "한국을 둘러싼 국제사회 상황이 시시각각 변하고 있어 그 어느 때보다도 민간 차원의 교류와 네트워킹이
【 청년일보 】 전 세계 연구개발(R&D) 투자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기술 굴기의 여파라는 분석이 나온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유럽집행위원회의 R&D 기업 보고서를 2011년부터 분석한 결과 세계 2500대 R&D 기업 중 한국기업 수는 2014년 80개에서 2019년 56개로 24개 줄었다고 2일 밝혔다. 전 세계 R&D 금액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4년 3.9%에서 2019년 3.6%로 0.3%포인트 감소했다. 한국은 2014년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R&D 투자 비율이 세계 1위인 4.29%를 기록하며 글로벌 R&D 투자를 이끈 바 있다. 전경련은 'R&D 코리아' 자리가 위협받고 있는 것은 중국이 2015년 '중국제조 2025'이라는 국가전략 수립 후 기술 굴기(우뚝 섬)를 추진 중인 중국 기업들이 약진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세계 2500대 R&D 투자기업 중 중국 기업 수는 2011년 56개에서 2019년 536개로 480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국 기업들의 R&D 투자액은 연평균 30.8% 증가해 2019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일본을
【 청년일보 】 지난해 주요국(미국·일본·중국·홍콩·한국)증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도 각국의 통화확대, 금리인하 등의 유동성 증가 정책을 발판으로 동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성장률, 기업실적은 하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은 2일 ’2020년 주요거래소의 증시 동향과 한국 주식시장의 특징을 분석해 이같이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지난해 3월 저점을 기록한 주요국(미국·일본·중국·홍콩) 주가지수는 이후 풍부한 유동성을 발판으로 급격히 회복했다. 특히 코스피는 지난해 전년 대비 상승폭이 30.7%로 조사대상 중 가장 큰 상승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S&P500은 16.2% 상승했고 니케이225지수와 상해종합주가지수, 항셍지수는 각각 16.0% 상승, 13.9% 상승, 3.4% 하락했다. 주가 상승의 배경으로는 각국 정부의 유동성 증가 정책이 꼽힌다. 실제 조사대상국 중 미국·일본·중국·한국의 월별 M2(협의통화에 저축성예금을 합한 것)와 주가지수 상승은 비례했다. 반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기업실적과 경제성장률은 크게 하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 청년일보 】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이 내년 신년사를 통해 선진국을 리드하는 경제로 탈바꿈하는데 힘을 보태겠다고 확언했다. 허 회장은 30일 신년사에서 "내년 전경련이 창립 60주년을 맞는다"면서 "선진국을 따라가던 경제에서 선진국을 리드하는 경제로 탈바꿈하는 데 힘을 보태고, 세계 각국으로부터 '한강의 기적 2.0 시대'가 열렸다는 찬사를 듣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허 회장은 "코로나19 이후에는 우리의 생각과 기술, 산업이 모두 변화해 과거의 성공방정식이 더는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면서 "절박한 심정으로 산업구조를 혁신하지 않으면 잃어버린 10년, 20년을 맞이할지 모른다"고 강조했다. 또한 "올해 우리는 방역과 경제살리기에 매진해 코로나19 충격에 선방할 수 있었지만, 내년은 생사의 기로에 서는 한 해가 될 수 있다"면서 "국민과 기업, 정부가 삼위일체로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기업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허 회장은 "우리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외국기업과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정부는 기업에 족쇄를 채우는 규제나 비용 부담을 늘리는 정책은 거두고, 더 많은 기업인이 기업가 정신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 청년일보 】 국내 주요 경제단체들이 내년 경제에 대해 다소 낙관했다. 다만 경제단체들은 규제강화에 따른 기업 환경 악화는 우려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17일 배포한 내년 경제정책 방향에 대한 코멘트에서 "올해 경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상당한 피해를 보았지만, 국내외 기관들은 내년 경제의 완만한 회복을 전망하고 있다"면서도 코로나19 재확산과 보호무역, 기업규제 중심의 입법이 기업환경을 불확실하게 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경총은 "최근 국회를 통과한 상법·공정거래법·노동조합법과 논의 중인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은 기업 활력을 위축할 뿐만 아니라 경제를 회복시키고 미래성장동력을 추진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다"라고 예고했다. 이어 "국회를 통과한 법들에 대해선 경제계 요구를 보완 입법으로 반영하고, 내년 정책 기조는 기업하기 좋은 경영환경을 조성하는 방향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도 "내년 경제는 올해 마이너스 성장에 따른 기저효과, 세계 교역량 증가 기대로 다소 회복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민간소비 부진, 반도체를 제외한 수출경쟁력 약화, 저출산고령화 등 경제 하방 요인이 있어 지나친
【 청년일보 】 우리나라 상속세 과세체계가 20년 전 수준에서 고착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지난 20년간(2000~2019년) 우리나라 소득수준이 2.7배 높아졌지만, 상속세 과표구간과 세율이 한 번도 조정되지 않아 피상속인 수와 신고세액은 급증했다고 17일 밝혔다. 한경연에 따르면 지난해 상속세 신고세액은 3조6천723억원으로 지난 2000년 5천137억원 대비 7.1배 증가했다. 지난 2000~2019년 소득수준(1인당 GNI)은 2.7배 커졌지만 과표구간과 세율, 공제 규모 등 과세체계가 20년 전 수준에 머무르면서 상속세 부담이 커졌다는 것이 한경연의 설명이다. 같은 기간 상속세가 발생하는 피상속인 수는 1389명에서 9555명으로 6.9배 증가했다. 또 과세 대상인총 상속재산가액도 3조4천134억원에서 21조5천380억원으로 6.3배, 과세표준은 1조8천653억원에서 12조2천619억원으로 6.6배 늘었다. 기초공제(2억원), 배우자 상속공제(최대 30억원), 일괄공제(5억원) 등 주요 공제 한도도 국제통화기금(IMF) 사태 이전 수준에 머물렀다. 경제성장과 물가상승에 따른 조세체계의 왜곡을 방지하기
【 청년일보 】 지난해 주요 기업들의 평균 이익이 감소했음에도 사회공헌 지출액은 늘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지난해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 중 설문에 응답하고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한 220개사를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지난해 사회공헌활동 총지출은 2조 9천928억원으로 전년 대비 14.8% 증가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들 기업의 지난해 평균 이익은 전년보다 48.1% 증발했지만, 기업 1개사 당 평균 지출액은 136억원으로 7.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34개사(15.5%)는 세전이익이 적자였는데도 사회공헌 활동을 추진했다. 지난해 이들 기업의 세전이익 대비 사회공헌 지출 비율은 4.0%로, 지난 2009년(4.8%)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매출에서 사회공헌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0.2%로 지난 2011년(0.26%)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전경련은 최근 기업들의 사회공헌 활동 특징을 '뉴(New) 5W1H'로 정리하고, 기업 사회공헌의 주체·시기·대상·내용·방법·목적 등이 전통적 프로그램과 다른 경향을 보였다고 밝혔다. 특히 임직원이 직접 기획하는 프로그램이 늘었고, 임직원 참여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