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LA롱비치항에서 하역 중인 우리나라 선박. [사진=HMM]](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20624/art_16554449411297_62726a.jpg)
【 청년일보 】 정부에서 매달 발간하는 경제동향 보고서인 그린북에 우리 경기 둔화가 우려된다는 비관론이 등장했다.
급격한 물가 상승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 경제여건 악화가 좀처럼 개선되지 못한 가운데, 경제 전망 역시 어두워지는 양상이다. 둔화 우려 표현은 올 들어 처음이다.
기획재정부는 17일 펴낸 ‘6월 최근 경제동향’에서 우리 경제에 대해 “투자 부진 및 수출회복세 약화 등 경기둔화가 우려된다”고 진단했다. 고용회복이 지속되고 대면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내수가 완만하게 개선되고 있지만, 대외여건 악화 및 높은 물가 상승세로 인해 경제가 둔화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다는 진단이다. 앞서 정부는 우리 경제에 대해 ‘회복세 제약’ 정도의 표현을 사용했지만 이번에는 ‘경기둔화’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올 들어 처음 둔화 표현을 쓸 정도로 위기감을 강조한 것이다.
글로벌 시장 불안에 대한 진단 또한 점점 더 비관적인 상황이다. 그린북에서 기재부는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및 글로벌 경기 하방 위험이 ‘더욱 확대됐다’고 짚었다. 글로벌 인플레 압력이 지속 확대되는 가운데, 미국의 큰 폭 금리 인상 등 주요국 통화정책 전환 본격 가속화, 공급망 차질 지속 등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 기재부의 설명이다.
불안한 대외 여건으로 물가가 급등하고 있다. 고물가는 경기 불안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 5월 소비자물가는 개인서비스 등이 크게 올랐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5.4% 상승했다. 전월(4.8%)보다도 0.6%포인트(p) 상승 폭을 확대했으며, 2008년 리먼 사태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4년여 만에 등장한 5% 대 상승률이다.
【 청년일보=임혜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