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새벽 폭우로 다수의 차량이 침수된 서울 강남구 대치사거리의 배수구가 뚜껑이 없어진 채 소용돌이치고 있다.[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20834/art_16612412866793_ebb5f5.jpg)
【 청년일보 】정부는 서울시가 추진 중인 도심 지하 저류시설에 2천250억원의 국비를 투입하기로 했다. 지하 저류시설과 지하 방수로 등 관련 사업에 대해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해 신속히 추진 할 계획이다.
환경부가 23일 서울 광화문과 강남역 일대에 많은 비가 내렸을 때 물을 임시로 저장하는 지하 저류시설, 서울 도림천과 대방천의 물을 한강으로 신속히 빼내는 지하 방수로 등에 국비를 투입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도시침수와 하천홍수 방지대책을 내놨다.
정부는 광화문과 강남역 일대에 건설될 대심도 저류시설(빗물터널)에 국비를 투입한다. 이들 시설은 비가 하수관로 처리용량을 넘어설 만큼 내렸을 때 빗물을 잠시 저장하는 대형 관이다.
광화문 저류시설은 서울 종로구 효자동에서 청계천까지 3.2㎞를 'ㄴ'자로 이으며 강남역 저류시설은 강남역과 한강 3.1㎞를 직선으로 연결한다. 사업비는 각각 2천500억원과 3천500억원으로 추산된다.
저류시설이 마련되면 광화문과 강남역 일대는 각각 시간당 100㎜와 시간당 110㎜ 폭우에도 견딜 수 있게 된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정부는 또 도림천과 대방천 지하 방수로 건설에도 국비를 투입한다. 각각 보라매공원과 장승배기역에서 샛강까지로 이어지는 지하 방수로로, 추산 사업비는 3천억원이다. 방수로가 건설되면 시간당 100㎜ 비에도 홍수가 발생하지 않으리라고 기대된다.
각각 사업비 4분의 1이 국비로 투입되는데, 이들 3개 사업을 합하면 투입되는 국비는 2천250억원에 이른다.
정부는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로 광화문·강남역 저류시설과 도림천·대방천 방수로 건설사업을 신속히 추진해 내년 설계를 시작하고 2027년 완공시킨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환경부는 하천수위·강우량·기상예측자료 등을 빅데이터로 삼고 AI를 활용한 'AI홍수예보'를 만들어 내년 홍수기 전까지 도림천에 시범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대피경보가 내려져도 대피하기 어려운 취약계층 맞춤 지원대책도 추진된다.
환경부는 도시침수지도와 하천범람지도를 행정안전부 '생활안전지도'를 통해 24시간 제공하겠다고도 밝혔다. 2016년부터 제작하기 시작해 현재 181개 읍면동에 대해 제공되는 도시침수지도를 2025년까지 완성키로도 했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