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진행한 서울시의 청년 마음건강 심층상담 포스터. [사진=서울특별시]](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20835/art_16619203963858_b46f3e.png)
【 청년일보 】 서울시가 청년들이 스마트폰 앱으로 불안증 등을 자가진단하고, 진단결과에 따라 게임, 미술, 신체활동 같은 맞춤형 콘텐츠로 마음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마음건강 앱 서비스’를 9월부터 시범도입한다.
31일 서울시에 따르면, ‘마음건강 앱’은 정신건강의학 전문의의 임상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발한 검사도구와 콘텐츠를 통해 마음건강 상태를 진단, 회복을 위해 노력할 수 있도록 돕는다. 남의 시선을 신경쓰지 않고, 병원이나 상담센터에 방문하지 않고도 마음건강 관리를 할 수 있어 특히 모바일 환경에 익숙한 청년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마음건강 앱'은 한양대 한양디지털헬스케어센터가 개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수행 중인 ‘포스트 코로나 시대 비대면 정서장애 예방 및 관리 플랫폼 기술 개발’ 사업의 하나다.
서울시는 ‘청년 마음건강 관리’ 지원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청년 500명을 대상으로 ‘마음건강 앱 서비스’를 시범도입한다.
‘마음건강 앱 서비스’는 서울시 ‘청년 마음건강 관리’ 지원 사업의 하나다. 서울시는 ‘청년 마음건강 관리’ 지원 사업을 통해 지난 2019년부터 지금까지 서울청년 5천여명을 관리한 바 있다. 타 지자체는 물론 중앙정부에서도 벤치마킹하는 등 청년의 사회안전망을 지키기 위한 필수 지원사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것이 서울시의 설명이다.
이 앱의 주요 구성 내용을 보면 ▲이모티콘과 소리를 넣어 쉽고 간편하게 검진하는 ‘디지털 우울척도 검사’ ▲정신건강의학 전문의가 만든 검증된 ‘챗봇’(진단설문지) ▲인지조절능력, 자유연상력, 사회적 반응성 등 심리적인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인지·정서 스크리닝 게임’이다.
검사도구는 그간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서면으로 이뤄진 우울(PHQ-9, CES-D-10), 불안(GAD7), 수면 장애(ISI-K) 척도를 디지털화해 개발됐다.
진단을 마치면 가벼움(경미한 우울), 보통(중증도 우울), 심각(고도 우울) 등으로 마음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진단결과에 따라 3가지의 맞춤형 치료 콘텐츠가 추천된다. 사용자의 우울감 검사결과와 활동 수행 데이터가 쌓일수록 맞춤형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이 고도화된다.
![마음건강 진단에 따른 추천 프로그램 [사진=서울특별시]](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20835/art_16619202974232_04a7f6.png)
'가벼움(경미한 우울)'으로 진단된 청년들에게는 디지털 만다라, 신체활동게임과 함께 우울감이 개인의 인지적 조절능력 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할 수 있는 게임 형태의 ‘인지·정서 스크리닝’ 콘텐츠를 함께 제공한다.
‘보통(중증도 우울)’ 상태의 청년들에게는 우울감 개선에 도움을 주는 근력과 심폐능력 향상을 위한 ‘근심타파 신체활동게임’을 추천한다.
‘심각(고도 우울)’ 상태의 청년들에게는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디지털 만다라’ 프로그램을 추천한다. ‘디지털 만다라’는 원 안에 다양한 형태의 무늬를 색칠하면서 마음을 편안하게 가라앉히는 미술치료기법인 만다라를 디지털화한 프로그램이다.
서울시는 ‘마음건강 앱’ 활용 효과를 높이기 위해 참여 청년들이 지속적으로 앱을 사용할 수 있도록 ‘청년 마음건강 관리’ 지원 사업 전담 상담사를 통해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또 참여 청년의 앱 사용 데이터를 상담 보조자료로 활용해 효과적인 상담이 이뤄지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축적된 진단 데이터 분석으로 사용자에게 높은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콘텐츠를 추천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 알고리즘도 고도화할 계획이다.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단장은 “마음건강도 신체건강처럼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하지만, 신체건강과 달리 눈에 잘 보이지 않아 쉽게 간과하기 쉽다. 자신의 마음건강 상태를 잘 모르는 경우도 많다”고 짚었다. 아울러 “모바일 환경에 익숙한 청년들이 ‘마음건강 앱’을 통해 간편하게 스스로 마음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때를 놓치지 않고 관리해 마음건강을 회복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김원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