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달러화가 쌓여있다 [사진=연합뉴스] ](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30205/art_16753830111708_2f6abd.jpg)
【 청년일보 】 최근 미국 달러 약세 등의 영향으로 외환보유액이 3개월 연속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한은이 3일 발표한 외환보유액 통계에 따르면 1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은 4천299억7천만달러(약 526조5천억원)로, 작년 12월 말(4천231억6천만 달러) 대비 68억1천만달러 증가했다.
외환보유액은 지난해 8·9·10월 연속 감소하다가 11월 4개월 만에 반등한 이후 석 달째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미국 달러 환산액, 금융기관 외화예수금 등이 증가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미국 달러화가 약 1.5%(미국 달러화 지수 기준) 평가 절하되면서 그만큼 미국 달러로 환산한 외화자산이 늘었다는 의미다.
외환보유액을 자산별로 나눠보면 국채·회사채 등 유가증권(3천714억2천만달러)이 한 달 전과 비교해 17억3천만달러 늘었다.
예치금(341억7천만달러), 특별인출권(SDR·150억5천만달러), IMF(국제통화기금)에 대한 교환성 통화 인출 권리인 'IMF 포지션'(45억4천만달러)도 각 48억2천만달러, 2억1천만달러, 5천만달러 증가했다.
금은 시세를 반영하지 않고 매입 당시 가격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전월과 같은 47억9천만달러로 집계됐다.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12월 말 기준(4천232억달러)으로 세계 9위 수준이다.
중국이 3조1천277억달러로 가장 많았고, 일본(1조2천276억달러)과 스위스(9천240억달러), 러시아(5천820억달러), 인도(5천627억달러), 대만(5천549억달러), 사우디아라비아(4천587억달러), 홍콩(4천240억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
【 청년일보=이나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