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구름조금동두천 29.3℃
  • 맑음강릉 28.2℃
  • 구름조금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27.8℃
  • 구름많음대구 28.3℃
  • 구름많음울산 27.3℃
  • 구름많음광주 28.4℃
  • 구름많음부산 26.3℃
  • 구름조금고창 28.3℃
  • 흐림제주 25.0℃
  • 맑음강화 27.4℃
  • 구름조금보은 27.2℃
  • 구름조금금산 27.5℃
  • 구름많음강진군 27.8℃
  • 구름많음경주시 29.6℃
  • 구름많음거제 26.0℃
기상청 제공

주요 산유국 추가감산에 유가 6% 급등...“1년 만에 최대 상승폭”

OPEC+ 추가 감산에 1년만에 최대폭 상승...인플레 자극 우려

 

【 청년일보 】 주요 산유국들의 전격적인 추가 감산 조치에 국제 유가가 급등했다. 이에 인플레이션을 잡는 데 최우선 초점을 맞춰온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등 각국 중앙은행들로서는 부담이 더욱 커진 셈이다.


3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5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보다 배럴당 6%(4.57달러) 치솟은 80.24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6월물 브렌트유도 배럴당 5.7%(4.56달러) 오른 84.45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다우존스 마켓데이터에 따르면 WTI는 지난해 4월12일 이후 거의 1년 만에 하루 최대폭 상승을 기록했다. 브렌트유는 지난해 3월21일 이후 1년여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보였다.


이날 오전 WTI는 장중 최대 8.0%, 브렌트유는 장중 최대 8.2% 각각 급등한 바 있다.


지난해 말 이후 안정세를 보이던 유가를 자극한 것은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非)OPEC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 소속 산유국들이 전날 발표한 하루 116만 배럴 규모의 자발적 추가 감산 예고였다.


러시아가 하루 50만 배럴의 감산 조치를 연말까지 연장한다고 발표한 것을 고려하면 실질적인 추가 감산 규모는 모두 합쳐 하루 160만 배럴이 넘는다.


주요 산유국들이 지난해 10월 200만 배럴 감산에 합의한 데 이어 추가로 기습적인 대규모 감산을 발표하면서 향후 원유 공급이 수요를 밑돌 수 있다는 우려를 자극, 유가를 밀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


골드만삭스는 이번 감산 결정에 따라 올해 말과 내년 말 브렌트유 가격 전망치를 종전보다 각각 5달러 상향 조정한 배럴당 95달러, 100달러로 제시했다.


유가 상승이 대체로 둔화세에 접어들었던 글로벌 인플레이션을 다시 끌어올릴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인플레이션을 잡는 데 최우선 초점을 맞춰온 연준 등 각국 중앙은행들로서는 부담이 더욱 커진 셈이라고 CNBC 방송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분석했다.


국제 금값은 미국 달러화 강세가 누그러진 영향으로 온스당 2천 달러를 돌파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6월 인도분 금은 온스당 0.8%(14.20달러) 오른 2,000.40달러에 거래를 마쳐 지난달 10일 이후 최고가를 찍었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