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지난해 개인형 이동장치 교통사고 전년 대비 감소...치사율 5.6%로 상승

지난해 개인형 이동장치 교통사고 2천389건...치사율 전년 대비 4.3배

 

【 청년일보 】 지난해 개인형 이동장치(PM) 교통사고로 사고 및 부상 인원이 감소한 한편, 치사율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한국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 분석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형 이동장치 교통사고는 2천389건으로, 24명이 숨지고 2천622명이 다쳤다.

 

전년도인 2022년 2천386건의 사고로 사망 26명, 부상 2천684명보다 소폭 감소한 수치다.

 

다만 교통사고 100건당 사망자 수를 의미하는 치사율은 5.6%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 전체 교통사고 치사율 1.3%보다 4.3배 높다.

 

PM 사고 유형별로는 차대 사람 사고가 차지하는 비율이 46%를 차지했다. 이는 전체 차종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18.7%보다 2.5배 높은 수준이다.

 

PM 사고 사망자의 경우 공작물 충돌이나 전도, 도로 이탈 등 단독사고로 발생한 사망자 비율이 62.5%로 나타났다.

 

PM은 원동기장치자전거, 2종 소형, 1·2종 보통 등의 운전면허 소지자만 운행할 수 있다. 안전모를 반드시 착용해야 하고 자전거 도로 또는 차도 우측 가장자리를 이용해야 한다.

 

아울러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음주 후에는 이용해서는 안 되고, 음주운전 시 단속과 처벌을 받는다.

 

한국도로교통공단 관계자는 "PM은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이용 시 안전 수칙 준수가 가장 중요하다"며 "모든 운전자가 PM이 '차'라는 인식을 가지는 것이 안전한 교통문화 조성의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 청년일보=신정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