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맑음동두천 9.1℃
  • 구름많음강릉 8.7℃
  • 맑음서울 11.3℃
  • 맑음대전 10.7℃
  • 구름조금대구 9.5℃
  • 구름많음울산 10.1℃
  • 구름조금광주 11.3℃
  • 구름조금부산 12.3℃
  • 구름조금고창 10.1℃
  • 구름조금제주 12.0℃
  • 맑음강화 9.7℃
  • 맑음보은 7.2℃
  • 맑음금산 9.3℃
  • 구름많음강진군 10.7℃
  • 구름많음경주시 10.3℃
  • 맑음거제 10.5℃
기상청 제공

"1인 가구의 팍팍한 현실"…절반 이상 '부업' 뛰며 생활비 충당

KB금융지주 '2024년 1인 가구 보고서'
부수입 활동 54.8%…2년 새 12.8%p↑
활동 유형으로 '앱테크'가 42.1% '최다'

 

【 청년일보 】 고물가와 고금리의 여파로 1인 가구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부수입 활동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려는 움직임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발표한 '2024년 1인 가구 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과 광역시에 거주하며 독립적 경제활동을 하는 25~59세 1인 가구 2천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54.8%가 부수입 활동을 한다고 응답했다. 이는 2022년 같은 조사(42.0%)에 비해 12.8%p 상승한 수치다.


부업을 선택한 이유로는 ▲여유·비상 자금 마련(38.7%) ▲시간적 여유(18.7%) ▲생활비 부족(13.2%) 등이 꼽혔다. 특히 '앱테크'라고 불리는 앱 기반 광고 시청 및 임무 수행 활동이 42.1%로 부업 유형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어 ▲소셜 크리에이터·블로거(6.2%) ▲서비스직 아르바이트(3.8%) 순이었다.


1인 가구의 연평균 소득은 3천780만원으로 집계됐으며, 월 소득 중 약 40.8%가 주거비, 식비 등 생활비로 사용됐다. 이는 2022년보다 2.1%p 늘어난 수치다. 반면, 소득 대비 저축 비율은 30.3%로 변화가 없었으나, 여유자금 비율은 20.1%에서 16.2%로 3.9%p 감소했다.


대출 상환 부담 역시 커졌다. 조사 대상의 대출 보유율은 54.9%로 2년 전보다 7.2%p 늘었지만, 대출 잔액은 9천900만원에서 7천800만원으로 줄었다. 이는 1인 가구가 부채를 감축하려는 노력으로 분석된다.


1인 가구는 하루 평균 1.8끼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2년(2.2끼)보다 줄어든 수치로, 물가 상승에 따른 식비 부담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1인 가구의 거주 형태는 월세(45.1%)가 가장 많았으며, ▲전세(30.0%) ▲자가(21.8%) 순으로 조사됐다. 월세 비율은 2년 전보다 8.9%p 증가한 반면, 자가와 전세 비율은 각각 6.2%p, 2.1%p 감소했다.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1인 가구의 71.2%는 '1인 생활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이는 2022년 68.2%보다 소폭 증가한 수치다.


연령별·성별로는 2030대 여성의 만족도가 83.5%로 가장 높았으며, ▲4050대 여성(72.6%) ▲2030대 남성(70.2%) ▲4050대 남성(61.1%) 순이었다.


보고서는 "고금리와 고물가로 생활비 부담이 늘어 허리띠를 졸라매는 사람이 늘고 있다"고 분석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