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47회 베페 베이비페어'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209/art_17405396728997_b97d37.jpg)
【 청년일보 】 지난해 우리나라 출생아 수가 9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합계출산율 역시 소폭 반등하며, 극심한 저출산 현상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4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8천300명으로 전년 대비 8천300명(3.6%) 증가했다. 이는 2015년 이후 처음으로 출생아 수가 증가한 사례다.
출생아 수는 2015년 43만8천420명에서 2016년 40만6천243명으로 급감한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2017년 30만명대로 떨어진 후, 2020년부터는 20만명대를 유지하며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합계출산율은 2023년 0.75명으로, 전년 대비 0.03명 증가했다. 이는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 수를 의미하며, 인구 구조를 전망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비록 출산율이 반등했지만, 국제적으로는 여전히 최저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평균 합계출산율(2022년 기준)은 1.51명으로, 한국의 두 배에 달한다. 저출산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본조차 1.26명을 기록하고 있다.
출생아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는 '2차 에코붐 세대'(1991~1995년 출생)의 결혼·출산 진입이 꼽힌다. 1990년대 초반 출생아 수가 일시적으로 증가했던 영향이 현재 출생률에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미뤄졌던 혼인 수요가 엔데믹 전환과 함께 증가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혼인 건수는 22만2천422건으로, 2019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올해 출생아 수도 소폭 증가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반면, 출생아 증가에도 불구하고 인구 자연감소는 5년 연속 이어졌다. 지난해 사망자 수는 35만8천400명으로, 출생아보다 12만명 많았다. 이에 따라 자연증가율(인구 1천명당 자연증가)은 -2.4명을 기록하며, 전년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한편, 통계청은 이번 출생아 증가와 관련해 일시적인 현상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박현정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브리핑에서 "30대 초반 여성 인구가 늘어났고, 코로나19로 지연됐던 혼인도 연속해서 증가했다"며 "결혼·자녀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으로 바뀌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