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2 (화)

  • 구름많음동두천 19.1℃
  • 맑음강릉 14.3℃
  • 구름많음서울 20.6℃
  • 구름많음대전 20.7℃
  • 구름많음대구 16.1℃
  • 구름많음울산 11.7℃
  • 구름많음광주 19.8℃
  • 구름많음부산 13.2℃
  • 구름많음고창 19.3℃
  • 흐림제주 19.2℃
  • 구름많음강화 17.9℃
  • 구름많음보은 16.5℃
  • 구름많음금산 17.5℃
  • 구름많음강진군 15.6℃
  • 구름많음경주시 12.3℃
  • 맑음거제 12.6℃
기상청 제공

"FTA 확대·할당관세에"…韓관세 수입 비중 0.6% '뚝'

美 보호무역주의 강화 기조 아래 관세 수입 비중↑

 

【 청년일보 】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총조세 대비 관세 수입 비중이 자유무역협정(FTA) 확대와 할당관세 운용 등으로 0.6%까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미국은 보호무역주의 강화 기조 아래 관세 수입 비중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21일 기획재정부와 국회예산정책처의 '2025 대한민국 조세'에 따르면 지난해 관세 수입액은 7조원으로, 전년(7조3천억원)보다 3천억원(4.3%) 줄었다.

 

수입액이 2023년 6천430억달러에서 지난해 6천320억달러로 1.7% 감소한 영향 등이다.

 

또 FTA 확대와 적극적인 할당관세 운용 등으로 관세 징수액은 지속해 감소하는 추세다.

 

관세 징수액 규모는 2015∼2021년 7조∼9조원 사이였다가 2022년 10조3천억원으로 늘었으나, 2023년 7조3천억원, 지난해 7조원 등으로 2년 연속 감소했다.

 

이에 따라 관세 징수액을 수입금액으로 나눈 실효 관세율도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실효 관세율은 2012년 1.7%였으나 이후 감소해 지난해 0.8%까지 낮아졌다.

 

한국은 지난해 기준 59개국과 22건의 FTA를 맺고 있다.

 

2004년 한-칠레 FTA를 시작으로 유럽연합(EU), 미국, 중국과의 협정을 맺었고 2022년 2월부터 한국,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15개국이 참여하는 역내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이 발효돼 일본과도 FTA를 체결하는 효과가 발생했다.

 

한국의 관세 수입 비중은 다른 나라와 비교해도 높지 않다.

 

한국의 총조세 대비 관세 비중은 2023년 기준 0.6% 수준으로 독일(0.6%), 영국·캐나다(0.7%) 등 주요 7개국(G7)과 비슷한 수준이다. 이탈리아와 프랑스는 각각 0.5%, 0.4%로 집계됐다.

 

한국의 총조세 대비 관세 비중은 2014년 1.1%에서 2023년 0.6%로 10년간 절반가량으로 축소됐다.

 

미국의 2023년 기준 총조세 대비 관세 수입 비중은 1.6%로 G7에서 가장 높으며, 한국의 두 배 이상이다.

 

2014년 1.1%였던 미국의 관세 비중은 '트럼프 1기' 출범 이후 2019년 1.9%까지 커졌고 이후에도 1.7∼1.8%대를 유지했다.

 

'트럼프 2기' 역시 무역수지 개선과 보호무역주의를 견지하며 앞으로도 미국의 관세 수입 비중은 늘어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