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미국 자동차업체 제너럴모터스(GM)는 29일(현지시간) 성명에서 "단기적인 전기차(EV) 보급 속도 둔화와 규제 환경 변화에 대응해 전기차 생산능력을 조정하고 있다"며 내년 1월부터 미시간, 오하이오, 테네시주의 공장들에서 3천300명 이상을 해고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 가운데 1천700명 이상은 무기한 해고되며, 1천500명 이상은 내년 중반께 복귀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GM과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합작법인인 얼티엄셀즈가 내년 1월 5일부터 오하이오주 워런과 테네시주 스프링힐에 있는 배터리 공장을 가동 중단한 뒤 내년 중반 생산을 재개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워런 공장에서 1천400명이 무기한 해고되고 스프링힐 공장에서 710명이 일시 해고된다.
케빈 켈리 GM 대변인은 "워런 공장의 경우 850명은 내년 5월 복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550명은 무기한 해고 대상"이라고 말했다.
또한 디트로이트의 전기차 전용 조립공장 '팩토리제로'가 지난 여름 가동 중단에 들어가면서 3천400명이 일시 해고된 상태인데 이 중 1천200명은 무기한 해고될 예정이다.
GM은 "필요한 생산량을 평가한 뒤 내년 1월 1교대 체제로 다시 가동될 때 2천200명은 복귀시키고 나머지 1천200명은 무기한 일시 해고 상태로 남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공장은 가동 중단 이전에 2교대 체제로 운영됐다.
이외 미시간주의 프레스 공장과 부품공장에서도 총 120명이 일시 해고된다.
블룸버그는 이번 감원을 전기차 시장의 급격한 둔화 속에서 전기차 생산을 축소하는 광범위한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해석했다.
미국 내 전기차 판매 성장세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9월 최대 7천500달러의 소비자 세액공제를 끝내기 이전부터 둔화하는 추세를 보였다.
GM은 테슬라에 이어 미국에서 배터리 전기차를 많이 판매한다.
GM은 최근 전기차 공장의 가치 하락을 반영하고, 해고와 공급업체 계약 해지에 따른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16억달러(약 2조3천억원)의 특별비용을 계상했다.
【 청년일보=안정훈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