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년일보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간접투자는 줄고 언택트 방식의 직접투자가 늘어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돼 주목된다. 즉 코로나19 사태의 여파가 투자전략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칠 것이란 전망이다.
18일 한국증권학회와 자본시장연구원 공동 주최로 열린 '코로나19와 금융' 정책 심포지엄에서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선임 연구위원은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혁신이 가속하면서 공·사모펀드 등 간접투자는 줄고 비대면 직접투자가 빠르게 확산할 전망"이라고 발언했다.
이후 "금융사는 상품 판매 대신 비대면 자산관리 서비스 중심으로 지속 가능한 생존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며 "재무적 투자 대신 임팩트 투자 위험이 높은 자기매매 대신 모험자본 중개·투자로 전략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아울러 "금융사는 운용·판매·고객관리·내부통제 등 사업 전 부문에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인력 및 플랫폼 투자를 확대해 ICT 회사로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날 주제발표를 한 김창수 연세대학교 교수는 "코로나19에 따른 실물 부문 부진이 금융위기로 전염되지 않도록 예방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이어 "부채 감축(디레버리징) 과정의 위험을 차단하고 부동산 금융 관리·자산관리 다양화 등을 통해 쏠림 현상에 대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용어정리
임팩트 투자 : 수익을 창출하면서 사회적·환경적 성과도 달성하는 투자방식을 일컫는 말.
【 청년일보=강정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