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자의 마이너스통장 잔액. [이미지=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10416/art_16188950656003_aa4c8d.jpg)
【 청년일보 】 국내 20대 10명 중 4명은 주식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0대 주식 투자자의 작년 마이너스통장 부채는 전년보다 75%가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신한은행은 20일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 2021'로 이같이 밝혔다.
◆ "지난해 20대 주식투자 급증"...자산구성서 주식 비중 증가
신한은행이 전국 만 20∼64세 취업자 1만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해 20대 주식투자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대는 2019년에는 주식투자를 한다는 응답자 비율이 23.9%로 다른 연령 대비 가장 낮았지만, 작년에는 39.2%로 가장 높아졌다. 이 외에 30대 38.8%, 40대 38.5%, 50대 이상 27.0%가 주식에 투자한다고 응답했다.
20대의 월평균 주식 투자금액은 2019년 33만원에서 작년 43만원으로 늘어났다. 20대의 자산 구성을 보면 2019년에는 적금·청약 비중이 52.2%로 절반을 넘었지만 작년에는 이 비중이 45.0%로 낮아졌다. 대신 주식 비중이 10.4%에서 19.9%로 높아졌다.
20대 투자자들이 주식 투자금을 마련한 방법(복수응답)은 '그 동안 모아둔 자금을 활용해서'가 54.5%, '소득의 일부를 할애해서'가 42.5%로 높았다.
'금융상품을 해지 또는 보유자산을 처분해서'는 24.8%, '대출을 받거나 가족·지인에게 빌려서는 15.6%였다.
20대 주식투자자의 마이너스통장 부채 잔액이 2019년 75만원에서 작년 131만원으로 75%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식에 투자하지 않는 20대(36만원)의 3.6배다.
◆ 코로나 대응, 지출 축소 최다..."자영업자의 39.3%가 소득 감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타격에 따른 대응은 소득구간에 따라 상이했다. 신한은행이 가구소득 구간별로 작년 소득 감소에 따른 대응 방안을 물었더니 모든 구간에서 '소비·저축 등 지출 축소'로 대응했다는 대답 비중이 44∼51%로 가장 높았다.
다만 '부업·재취업 등 부가소득 창출'로 대응했다는 비중이 소득 상위 20% 가구에서는 7.2%에 불과했지만 하위 20% 가구에서는 12.7%, 21∼40% 가구에서는 11.5%로 높은 편이었다.
![2020 소득 감소에 따른 대응 방안. [이미지=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10416/art_16188952802219_d9feca.jpg)
경제활동 형태별로 보면 자영업자가 임금근로자보다 코로나19 타격을 훨씬 크게 받았다. 2019년 대비 작년 가구소득이 어떻게 변화했느냐는 질문에 자영업자의 39.3%가 감소했다고 한 반면 임금근로자는 19.1%만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자영업자 전체의 월평균 매출액은 2019년 3천394만원에서 작년 2천711만원으로 약 700만원(20.1%) 감소했다. 오락·여가 관련 서비스업은 월평균 매출액이 2019년 1천803만원에서 작년 833만원으로 53.8% 급감했다. 무역업은 47.6%, 요식업은 44.4% 각각 월평균 매출이 줄었다.
반면 학원 등 교육서비스업은 5.1%, 도매·소매업은 9.5%, 전문직 자영업은 28.1% 각각 월평균 매출이 늘었다.
◆ 1년 내 자가 주택 구입금액 증가...자가 구입자 월평균 소득 558만원
최근 1년 내 자가 주택을 산 응답자의 구입 금액을 조사해 보니 2019년에는 3억1천704만원이 들었지만, 작년에는 3억9천163만원이 소요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비중은 낮아졌다. 2019년 자가 주택 구입자는 집값의 49%인 1억5천377만원을 대출로 충당했다. 작년에는 집값의 41.3%인 1억6천169만원을 대출받았다.
작년 자가 구입자와 자가 미보유자의 가구 소득을 비교해보면, 자가 구입자의 월평균 소득은 558만원으로 미보유자 소득 375만원의 1.5배에 달했다.
작년 기혼 가구의 77.7%는 맞벌이로 집계됐다. 월평균 근로소득은 맞벌이 가구는 579만원, 외벌이 가구는 450만원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 이하 자녀를 둔 가구의 월평균 자녀 교육비는 공교육비 17만원, 사교육비 52만원 등 총 69만원으로 조사됐다.
![지역별 월평균 자녀 사교육비. [이미지=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10416/art_16188953269852_2dd665.jpg)
작년 강남3구의 월평균 자녀 사교육비는 미취학자녀는 34만원으로 수도권 평균(19만원)의 1.8배였다. 중고등학생 자녀 월평균 사교육비는 강남3구는 99만원, 수도권 평균은 76만원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액 증감 항목을 물었더니(복수응답) 증가한 부문은 음식 주문 배달(50.7%), 식료품 구매·구독비(40.0%), 가정 내 여가·운동·취미활동 비용(33.8%), 콘텐츠 월정액 이용료(23.8%), 영양제·건강보조식품 구매비(19.1%)로 나타났다.
반면 해외여행 비용(82.7%), 의류·패션잡화 구매비(70.8%), 레저용품 구매비(69.8%), 운동비용(68.2%), 국내여행 비용(66.7%)은 줄었다는 응답이 많았다.
전체 응답자 중 온라인에서 장보기를 한다는 비중이 2019년에는 34.9%였지만 작년에는 52.6%로 절반을 넘어섰다. 40대 응답자의 54.0%, 50대 이상 응답자의 46.9%도 온라인으로 장보기를 한다고 밝혔다.
【 청년일보=강정욱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