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어제의 특징주] "1조 규모 주식 확보 소식에" F&F홀딩스, 상승세…크래프톤, 상장이래 장중 50만원 돌파 '처음' 外

 

【 청년일보 】 기업 상장 이후 공모가를 하회했던 크래프톤의 주가가 실적 호소에 힘입어 장 초반 한때 50만원을 돌파하는 등 이목을 끌었다.

 

또한 F&F홀딩스가 계열사인 F&F의 1조원 규모의 주식을 확보했다는 소식이 호재로 작용하면서 상한가를 기록했으며, 아주스틸의 주가가 유가증권 시장 상장 첫날인 20일 장 초반 강세를 보이면서 증권가의 관심을 끌었다.

 

이밖에도 푸드나무가 라온피플과 '인공지능(AI) 메타버스 헬스·피트니스' 사업을 위한 합작법인을 설립핶ㅆ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이로 인한 영향으로 주가가 상승세를 기록했다.

 

◆ 1조 규모 주식 확보 소식 '호재'...F&F홀딩스 주가 '상승세'

 

F&F홀딩스가 계열사인 F&F의 주식 1조원 규모를 확보했다는 소식에 상한가를 기록.

 

20일 오후 2시 6분 기준 F&F홀딩스는 전 거래일 대비 1만1800원(29.87%) 상승한 5만1300원에 거래됨.

 

F&F홀딩스는 전일 F&F 주주들로부터 F&F 주식 230만265주를 받고 신주 3137만5782주를 발행하는 현물출자 방식의 유상증자를 진행. F&F 주식 매수가격은 주당 52만6957원, F&F홀딩스 신주 발행가격은 주당 3만8633원.

 

F&F홀딩스는 이번 공개매수를 통해 F&F 주식 1조2121억원어치를 확보. F&F홀딩스를 통해 F&F를 비롯한 계열사들을 지배하는 지주회사 체제가 완성됐다는 평가. 앞서 F&F홀딩스는 지난 5월 F&F 인적분할을 시작으로 지주회사 전환 작업을 진행.

 

◆ 자회사 필터사이언스 흡수합병 소식에 솔루에타 주가 급등…이후 하락세

 

솔루에타가 MB (Melt Blown 멜트블로운)필터를 만드는 자회사 필터사이언스를 흡수합병한다는 소식에 주가가 급등.

 

20일 오전 11시 29분 기준 솔루에타는 전 거래일 대비 495원(15.37%) 상승한 3715원에 거래됨.

 

그러나 이후 하락세를 겪고 225원(6.99%) 하락한 2995원에 거래 종료

 

솔루에타는 지분 100%를 보유한 필터사이언스를 흡수합병한다고 전날 공시. 이미 솔루에타가 필터사이언스 지분 전량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합병은 신주를 발행하지 않는 무증자 방식으로 진행됨.

 

합병기일은 10월 25일이며, 주주 확정 기준일은 9월 3일.

 

회사 관계자는 "합병 이후 필터사이언스는 적극적인 영업 활동 및 활발한 연구개발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코로나19로 급성장 중인 항바이러스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 이어 "솔루에타의 소재·부품 사업과도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 기업가치를 높이겠다"고 덧붙임.

 

◆ 푸드나무, ‘AI 메타버스 헬스·피트니스’ 합작법인 설립에 급등세

 

푸드나무 주가가 상승. 푸드나무가 라온피플과 '인공지능(AI) 메타버스 헬스·피트니스' 사업을 위한 합작법인 설립 소식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

 

20일 오전 10시 51분 기준 푸드나무는 전 거래일 대비 4800원(13.37%) 상승한 4만700원에 거래됨.

 

푸드나무는 지난 19일 AI 전문기업 라온피플과 합작법인 설립 계약을 체결하고, AI 메타버스 퍼스널 트레이닝(PT) 콘텐츠와 건강, 식단 서비스 등 국내외 헬스·피트니스 시장에 신규 진출한다고 밝힘.

 

이에 따라 양사는 데이터 기반의 AI알고리즘에 메타버스가 적용된 비전 PT 앱을 통해 가상공간에서 유명 트레이너의 PT는 물론 맞춤형 코칭 및 가이드를 제공하게 되며 사용자 중심의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간편건강식단과 운동프로그램, 국내 인플루언서 및 연예인 운동법 따라하기 등 K 헬스 미디어 콘텐츠를 추가해 사업을 확대한다는 방침.

 

합작법인 관계자는 “라온피플의 AI 기술에 푸드나무의 웰니스 기반 헬스 데이터를 결합한 앱과 메타버스 PT콘텐츠를 선보이는 등 헬스&피트니스 합작법인을 설립한다”며 “랭킹닭컴과 피트니스 플랫폼 등 180만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는 푸드나무와 시너지를 통해 디지털 K 헬스 사업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밝힘.

 

◆ 아주스틸, 상장 첫날 급등

 

아주스틸의 주가가 유가증권 시장 상장 첫날인 20일 장 초반 강세를 보임 

 

20일 오전 10시19분 기준 아주스틸은 시초가 대비 7200원(23.84%) 상승한 3만7400원에 거래됨. 시초가는 공모가(1만5100원)의 2배인 3만200원으로 형성.

 

아주스틸은 지난 9~10일 일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공모주 청약에서 1419.73대 1의 경쟁률을 기록.

 

공모가는 희망범위 상단인 1만5100원으로 확정됐으며,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은 3994억원.

 

박종선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프리미엄 가전시장에서 아주스틸의 주요고객인 삼성전자, LG전자의 시장점유율이 확대 중"이라면서 "건자재, 자동차, 태양광 등으로의 포트폴리오 확대로 실적 성장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

 

 

◆ 크래프톤 장중 첫 50만원 돌파...상장이후 처음

 

기업 상장 이후 공모가를 하회했던 크래프톤의 주가가 장 초반 50만원을 넘음.

 

20일 오전 9시 52분 기준 유가증권시장에서 크래프톤은 전 거래일보다 0.41% 오른 49만 4500원에 거래됨. 개장 직후인 9시 초반 51만원까지 오르며 기업 상장 이후 처음으로 50만원선을 돌파하기도 함. 이는 지난 10일 상장한 이후 처음.

 

크래프톤 주가는 고평가 논란이 제기되면서 상장 직후 공모가를 밑돌았으나, 올 2분기 실적 호조 등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임.

 

한편 이날 유안타증권은 크래프톤의 신작 게임 '뉴 스테이트(NEW STATE)'가 미국 시장 등에서 흥행할 가능성이 있다며 목표주가 62만원과 투자의견 '매수'를 제시.

 

◆ 상장 첫 날 '엔피' 상승 후 급락

 

삼성스팩2호와 합병을 통해 20일 코스닥시장에 입성한 엔피가 개장 직후 오름세였다가 하락함.

 

20일 엔피는 전 거래일보다 1800원(17.14%) 하락한 8700원에 거래 종료. 삼성스팩2호의 상장일 전일(19일) 종가는 1만500원.

 

엔피는 개장 직후 8% 상승한 1만1350원까지 올랐다가 하락 반전해 하락함.

 

2006년 설립된 엔피는 위지윅스튜디오 자회사. XR(확장현실) 콘텐츠 사업과 기업의 제품 및 브랜드, 서비스 등을 온·오프라인에서 직·간접적으로 체험하게 하는 ‘브랜드 익스피리언스(BE)’사업을 영위.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은 226억원, 영업이익은 37억원.

 

◆ 약발 끝났나···'따상' 브레인즈컴퍼니 주가 급락

 

지능형 IT인프라 통합관리솔루션 전문기업 브레인즈컴퍼니가 상장 이튿날째 고전.

 

20일 브레인즈컴퍼니는 전 거래일 대비 1만1800원(18.15%) 하락한 5만3200원으로 거래 종료. 9시 4분경 7만4100원까지 치솟기도 했으나 9시 10분경 다시 6만 원대로 내려갔고, 9시 27분부터는 5만 원 선에서 거래가격이 움직임.

 

코스닥 상장 첫날인 지난 19일 브레인즈컴퍼니는 '따상'(공모가 2배로 시초가 형성 후 상한가 도달)에 성공. 이날 브레인즈컴퍼니는 시초가(5만 원) 대비 1만5000원(30%) 상승한 6만5000원에 거래를 종료. 공모가(2만5000원)와 견주면 4만 원 뛴 셈.

 

◆ 시노펙스,  액체필터용 MB소재 국산화 성공 소식에 급등세

 

시노펙스가 일본에서 수입되고 있는 고성능 액체(필터용 폴리프로필렌 MB(멤브레인 필터, membrane filter) 소재 국산화에 성공했다는 소식에 급등세.

 

20일 시노펙스는 전 거래일 대비 490원(15.61%) 상승한 3630원에 거래 종료.

 

시노펙스는 멜트브로운(Melt Brown) 방식을 적용한 앱솔루트 MB가 반도체, 제약, 바이오, 의료 산업의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고가 수입 필터 소재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시노펙스 관계자는 "이번에 개발한 앱솔루트 MB는 2차 전지용 멤브레인에 적용된 트윈스크류(Twin Screw) 기술을 적용했으며 공기용 앱솔루트 MB는 원스텝 하이드로 차징 기술을 적용했다"며 "앱솔루트 MB는 국내 MB 필터 기술을 한 차원 높인 것으로 이를 통해 일본 등 해외에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반도체 화학적기계연마(CMP) 정제용 필터 소재의 국산화가 기대된다"고 설명.

 

【 청년일보=나재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