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콜 포비아란 전화통화를 기피하는 현상으로 통화보다는 문자나 모바일 메신저, 이메일로 소통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불안장애의 일종으로 전화 통화를 하는 데에 어려움, 두려움 등을 느끼는 상태를 의미하며, 심한 경우 전화가 오기만 해도 심장이 뛰거나 식은 땀을 흘리는 등 신체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구인·구직 전문 플랫폼 '알바천국'이 진행한 설문 결과에 따르면 MZ세대 1496명 중 약 36%에 해당하는 인원이 콜 포비아 증상을 겪는다고 한다. 주로 겪는 증상으로는 전화를 받기 전 느끼는 높은 긴장감과 불안(64%), 전화가 오면 받지 않고 시간을 끔(51.2%),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식은땀이 남(22%)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대처법이 나오고 있다. 제일 많이 취하는 대처법은 모르는 번호로 온 전화는 받지 않음(38.3%)였다. 이외에도 전화 통화 전 대본을 작성하거나, 전화가 아닌 이메일과 문자 위주로만 소통하는 것을 대처법으로 삼고 있다. 그렇다면 MZ세대에게 콜 포비아가 주로 나타나는 까닭은 무엇일까? 대면보다 비대면이 익숙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어렸을 때부터 전화보다는 문자나 메신저를
【 청년일보 】 '미닝아웃'이란 신념을 의미하는 '미닝(meaning)'과 드러내다는 뜻을 가진 '커밍아웃(coming out)'이 합쳐진 단어다. 최근 MZ세대는 본인의 신념을 드러내는 소비행위를 많이 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디지털미디어에 능숙한 MZ세대는 이러한 소비를 진행한 뒤 SNS에 공유하고 타인과 소통하는 것을 즐긴다. 미닝아웃의 대표적인 예시는 '친환경 소비 트렌드'다. 기후 위기가 심각해짐에 따라 많은 회사들이 지속 가능 경영을 선언하며 탄소 배출량 감소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환경을 위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소비자들도 마찬가지로 '제로 웨이스트', '업사이클링' 등 환경과 관련된 키워드에 집중하고 있다. 제로 웨이스트란 생활 속에서 쓰레기 배출을 줄이는 활동을 의미하며, 업사이클링이란 재활용품에 새로운 가치를 더해 전혀 다른 제품으로 다시 생산해내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환경 관련 미닝아웃 중 대표적 사례는 스위스 업체인 '프라이탁'이다. 프라이탁은 버려진 천막, 자동차 안전벨트, 화물차 방수포 등을 재활용해 가방을 제작하는 회사다. 미닝아웃 소비가 경향이 MZ세대 사이에서 두드러짐과 동시에 홍대, 이태원, 성수 등 유동인구가 많은
【 청년일보 】 Over The Top의 줄임말인 OTT는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플랫폼으로 사용자가 원할 때 방송을 보여주는 VOD 서비스다. 셋톱박스(Top)을 넘어 하나의 플랫폼에만 종속되지 않고 데스크톱,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수의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OTT 시장은 급격하게 성장을 했다. 이러한 성장세를 겪은 OTT 시장이 이제는 스포츠 콘텐츠 확보를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최근 넷플릭스는 북미 프로레슬링 1위 단체인 WWE와 독점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넷플릭스는 지난달 23일(현지기준) WWE의 주간 라이브 이벤트인 'WWE RAW'의 중계권을 단독 계약했다고 밝혔다. 미국 주요 언론에 따르면 해당 계약은 무려 10년짜리 장기계약이며 약 50억 달러의 계약금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넷플릭스와의 계약으로 'WWE RAW'는 31년 만에 브라운관을 완전히 떠나 OTT에 정착하게 됐다. 스포츠 중계에 관심이 없다는 기존의 넷플릭스의 입장을 뒤집는 이번 계약은 OTT 업체들이 스포츠 중계 확보를 위해 경쟁을 펼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쿠팡플레이는 국내에서 스포츠 콘텐츠 확보에 가장 적극적인 OTT다.
【 청년일보 】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ChatGPT(챗GPT)를 활용한 학업 업무뿐만 아니라, 예술 분야에도 활용돼 그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최근 발매된 비틀즈의 노래 'Now and then'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이에 인공지능을 활용한 작품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와 관련해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는 중이다. 저작권, 일자리, 철학의 분야가 대표적인 예시다. 이러한 논의가 지금 이루어지지 않으면 후에 더 큰 혼란을 일으킬 수 있기에 지금이라도 관련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 그렇다면 각 분야에 있어서 현재 어떤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을까? ◆ 저작권과 관련된 논의 인공지능 모델 개발사인 '스태빌리티AI'는 세계 최대 규모 사진 콘텐츠 아카이브 중 하나인 '게티이미지'에게 소송을 당한 상황이다. 그동안 게티이미지가 축적해 온 이미지 데이터를 '스태빌리트AI'가 구매 없이 사용했다는 것이 주된 이유다. 기존의 저작권 제도는 인간 창작행위에 대해 권리를 보장함과 동시에 창작의 동기를 유인하는 제도다. 즉, 창작을 독려하고 그에 다른 수익을 보장하는 권리다. 혹자는 이를 '창작자의 근로기준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인공지능의 창
【 청년일보 】 운용 자산 기준 세계 최대 규모인 미국의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의 CEO 래리 핑크(Larry Fink)는 2020년 1월 전세계의 투자자들과 기업 CEO들에게 "앞으로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투자 결정 기준으로 삼겠다"는 내용의 연례 서한을 보냈다. 기후 변화 등의 문제를 장기적인 리스크로 간주하고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이러한 언급을 시작으로 ESG 경영이 전세계적으로 큰 이슈가 됐다. ESG란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영어 단어 첫 알파벳을 딴 용어다. 환경보호, 사회적 책임, 기업의 지배구조와 같이 비재무적 성과를 재무적 성과 못지않게 중요하게 여기겠다는 것이 ESG 경영의 핵심이다. 이러한 비재무적 성과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 것이 바로 ESG 경영이다. ESG 경영의 사례는 우리나라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풀무원'은 지난 2019년 자사 제품에 친환경 포장을 도입하면서 풀무원의 모든 제품에 100%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재 사용을 계획했다. 또한 10여년 동안 '어린이 바른먹거리 교육'을 이어오며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