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대규모 손실에 따른 자율배상 등의 여파로 국내 금융지주의 1분기 순이익이 전년대비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서민들이 높아진 대출 문턱에 급전 창구인 카드론으로 몰리면서 지난달 카드론 잔액이 40조원에 육박했다. 이 외에도 지속되는 고금리 영향으로 지난해 은행 대출과 관련한 금융민원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집계돼 눈길을 끌었다. ◆ 홍콩ELS 배상 여파...올 1분기 금융지주 순익 '급감’ 국내 금융지주 4개사의 올해 1분기 순이익 규모가 핵심 자회사인 은행의 홍콩 ELS 대규모 손실에 따른 자율배상 여파로 크게 하락한 것으로 집계. 금융지주별로 살펴보면 신한금융이 1조3천215억원의 순이익을 올려 올해 1분기 리딩금융 탈환에 성공. 하지만 신한금융 역시 전년 동기 1조3천880억원 대비 순익 규모가 4.8% 감소. KB금융의 1분기 순이익은 1조491억원으로 지난해(1조5천87억원) 대비 30.5% 줄었는데, 이는 KB국민은행이 홍콩 ELS 손실보상 8천620억원을 반영한 영향. 이 외에도 같은 기간 하나금융 순이익은 1조340억원, 우리금융은 8천245억원으로 나타나. 그러나 금융권 일각에서는 홍콩 EL
【 청년일보 】 우리금융지주는 26일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8천245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9.8% 감소했다고 공시했다. 이자이익과 비이자이익을 합한 순영업수익은 2조5천488억원으로 전년 동기(2조5천506억원)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이자이익이 2조1천982억원으로 0.9% 감소했으나, 비이자이익은 3천506억원으로 5.7% 증가한 결과라는 설명이다. 자회사별로 보면, 우리은행의 1분기 순이익은 7천89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4% 감소했다. 우리카드는 288억원으로 36.6%, 우리금융캐피탈은 330억원으로 15.4% 각각 줄었고, 우리종합금융은 126억원으로 62.5% 늘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더욱 견고해진 이익 창출력, 건전성 강화와 안정적인 비용 관리에 힘입어 수익성과 경영 효율성이 크게 개선됐다"고 평가했다. 3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44%로 1년 전보다 0.09%포인트 상승했다. 은행 고정이하여신 비율도 0.20%로 0.01%포인트 올랐다. 부문별 연체율은 은행 0.28%, 카드 1.46%로 집계됐다. 1분기 대손 비용은 3천68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40.5% 증가했다. 대손 비용률도 0.40%
【 청년일보 】 하나금융지주는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6.2% 감소한 1조340억원을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그룹의 주요 경영지표인 1분기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0.44%, 총자산이익률(ROA)은 0.70%로 집계됐다. 영업이익경비율(CIR)은 전년 동기 대비 0.1%p 개선된 37.4%를 기록했다. 대손비용률(Credit Cost)은 0.11%p 상승한 0.25%로 나타났다. 1분기 충당금 등 전입액은 2723억원,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0.53%, NPL커버리지비율은 152.6%로 나타났다. BIS(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 보통주자본(CET1)비율은 각각 15.27%, 12.88%로 잠정 집계됐다. 그룹사로 보면 하나은행의 1분기 연결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한 8432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홍콩 H지수 ELS 충당부채 1799억원 등 대규모 일회성 비용에도 불구하고 대출자산의 성장, 수수료 이익 증가 등에 힘입어 선방한 결과다. 하나은행의 이자이익(1조9688억원)과 수수료 이익(2478억원)을 합한 은행의 핵심이익은 2조2166억원을 기록했다. 1분기 순이자마진(NIM)은 1.55%로 나타났다. 1분
【 청년일보 】 신한금융지주는 26일 공시를 통해 1분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지분 순이익 기준)이 1조3천215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3천880억원)보다 4.8% 줄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조7천562억원에서 2조682억원으로 17.8% 늘었지만, 영업외손익은 1천6억원 이익에서 2천777억원의 손실로 돌아섰다. 영업외손실에는 홍콩H지수 ELS 손실 고객에 대한 자율배상 비용인 2천740억원이 회계상 '충당부채'로서 포함됐다. 신한금융지주 관계자는 "어려운 시장 환경에서도 탄탄한 기초 체력과 다각화된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양호한 실적을 거뒀다"고 평가했다. 신한금융그룹과 신한은행의 1분기 순이자마진(NIM)은 각각 2.00%, 1.64%로 지난해 4분기(1.97%·1.62%)보다 0.03%포인트, 0.02%포인트씩 올랐다. 지난해 1분기(1.94%·1.59%)와 비교하면 각각 0.06%포인트, 0.05%포인트 더 높다. 이에 따라 1분기 그룹 이자이익(2조8천159억원)도 전년 동기(2조5천738억원)보다 9.4% 불었다. 직전 분기(2조7천866억원)와 비교해도 1.1% 많다. 비(非)이자이익(1조25억원)은 1년 전보다 0.3%
【 청년일보 】 미국에서 물가상승과 경기침체 현상이 동반되는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속보치)이 연율 1.6%로 집계됐다고 25일(현지 시간) 밝혔다. 지난해 4분기(3.4%)와 비교하면 성장률이 절반으로 크게 둔화했으며, 전문가들의 1분기 전망치(2.4%)보다 한참 낮았다. 또 이는 2022년 2분기 성장률(-0.6%)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상무부는 1분기 성장률이 지난해 4분기보다 둔화한 이유로 개인소비와 수출, 주(州) 정부와 지역 정부의 지출 증가세가 감소했고, 연방정부의 지출도 줄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물가는 큰 폭으로 올랐다. 1분기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3.4% 증가하며 지난해 4분기의 1.8%를 크게 웃돌았다. 지난해 1분기 4.2% 증가 이후 가장 큰 상승이다. 특히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가 1분기에 3.7% 증가했는데 이는 전문가들이 예상한 3.4%보다 높다. 연준이 물가 목표 달성을 판단할 때 준거로 삼는 근원 PCE 가격지수의 지난해 3분기와 4분기 증가율은 각각 2.0%이다. 뉴욕타
【 청년일보 】 10만 금융노동자들을 권리를 대변하는 차기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하 금융노조)의 위원장에 윤석구 후보가 당선됐다. 25일 노동계 및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노조 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 22일~24일까지 진행된 보궐선거에서 득표율 51.9%를 얻은 윤석구 위원장이 27대 위원장으로 당선됐다고 밝혔다. 이번 선거는 박홍배 전 위원장이 지난 총선에서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로 출마하면서 공석이된 위원장 후임을 결정하기 위한 보궐선거다. 윤 위원장은 '새로운 금융노조'를 모토로 입후보 하였으며, 3일간의 선거기간 동안 총 3만4천762표(51.9%)를 얻어 금융노조 위원장에 올랐다. 금융노조에 따르면 지난 3일 동안 진행된 투표 기간 중 9만519명의 조합원 중 6만7천7명(투표율 74.03%)이 투표권을 행사했다. 윤 당선자는 이번 선거 공약으로 ▲노동인권 보장과 차별 철폐 ▲대정부 산별투쟁 강화 ▲정당한 보상과 일과 삶의 균형 ▲공공부문 연대 투쟁 ▲노동시간 단축 ▲지속적인 고용안정 등 6대 공약을 제시한 바 있다. 윤 당선자는 "지부 역사상 최고 수준의 투표 참여율은 조합원 여러분들의 기대가 반영된 결과"라며 "앞으로 노동조합의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
【 청년일보 】 5월 종합소득세 정기 신고기간을 앞두고 10조원 규모의 '택스테크'(Taxtech·세무와 테크 합성어) 업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토스와 핀다 등 핀테크 업체들이 경쟁에 참여하면서 기존 업체들이 서비스 개선과 이용자 혜택 강화로 맞서는 모습이다. 25일 ICT업계에 따르면 토스 운영사 비바리퍼블리카(이하 토스)는 지난 19일 세무 플랫폼 '세이브잇'(Saveit)을 운영하는 택사스소프트(Taxassoft) 인수 본계약을 체결하고, 24일 세금 환급 서비스인 '숨은 환급액 찾기'를 제휴형태로 출시했다. 내달 2일 매매대금 180억원 납입이 완료된 후에는 토스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종합소득세 신고, 부가가치세 신고, 연말정산 미리보기 등 세무영역 전반을 아우르는 세이브잇의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토스 측은 "금융생활에서 꼭 필요하지만 개인이 해결하기에 어렵고 복잡한 세무영역에서 전문성을 가진 세이브잇과의 협업이 한단계 발전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대출중개 플랫폼 핀다도 지난 23일 세무 자동화 택스테크 기업 지엔터프라이즈와 전략적 업무협약을 맺고 세금 환급 시장 공략에 나섰다. 지엔터프라
【 청년일보 】 홍콩H지수 연계 주가연계증권(ELS) 사태로 대규모 원금 손실 우려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은행의 고위험 투자상품 판매 관련한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은행 경영진들의 단기 성과주의가 홍콩 ELS 사태를 야기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의원실과 금융경제연구소,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이하 금융노조),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이하 사무금융노조)은 24일 국회에서 '은행의 고위험상품 판매, 어떻게 볼 것인가?'를 주제로 금융노동포럼을 개최했다. 첫 번째 발제자인 성수용 한국금융연수원 교수는 투자자 보호 강화와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에도 불구하고 금융회사의 이익 중심 판매정책이 실패했다고 주장했다. 성 교수는 “2019~2020년 사모펀드 사태 여진이 끝나지 않은 시점에서 홍콩H지수 연계 ELS 사태가 발생했다”며 “대형 금융사에서 문제점이 발생했는데, 이는 금융사 판매시스템이 불완전판매를 인지하지 못한 채 운영됐으며 또한 영업일선에서 고객 중심 영업관행이 제대로 정착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는 “사모펀드 사태로 은행권에 비예금 내부통제 모범규준이 생겼음에도 금융감독원 감사결과 은행권 비예금 상품위원
【 청년일보 】 금융·외환위기 징조를 미리 알리는 조기 경보 체계에 머신러닝(데이터 기반 기계 학습·ML) 방식의 인공지능(AI)을 적용할 경우 예측력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은 24일 공개한 '데이터 기반 금융·외환 조기 경보 모형' 보고서에서 최근 AI·ML 알고리즘과 관련 모형 검증 기법을 활용해 신뢰할 수 있는 조기 경보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은행, 채권·주식, 외환 등을 모두 반영한 복합금융압력지수(CFPI)를 기준으로 위기·시장 불안 기간을 식별한 뒤 위기 발생 매커니즘(취약성·트리거 변수의 상호작용)을 포착할 수 있는 AI·ML 알고리즘을 통해 조기 경보 모형을 검증했다. 1998년부터 2023년까지 기간을 대상으로 여러 조기 경보 모형과 ML 알고리즘(ET) 적용 모형을 비교한 결과, ML 모형의 예측력이 가장 우수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또한 해당 모형에서 경보 지수는 위기 발생에 수개월 앞서 뚜렷하게 상승했는데, 특히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나 2022년 레고랜드 사태 등과 비교해 2020년 코로나19 위기 당시에는 지수가 단기간에 급등했다. 박정희 한은 디지털혁신실 디지털기술팀 과장은 "최근 다양
【 청년일보 】 은행 연체율이 지난 2월에 0.5%대로 오르면서 4년 9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51%로, 전월 말(0.45%) 대비 0.06%포인트(p) 상승했다. 이는 지난 2019년 5월(0.51%)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다만 금감원은 "은행 연체율은 2022년 하반기 이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코로나19 이전 장기평균(0.78%)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2월 중 신규 연체 발생액은 2조9천억원,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1조3천억원으로 전월(각각 2조9천억원, 1조3천억원)과 유사했다. 2월 중 신규 연체율(신규연체 발생액/전월 말 대출잔액)은 0.13%로 전월과 동일했다. 부문별로 보면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월 말(0.38%)보다 0.04%p 오른 0.42%였다. 이 중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7%로 0.02%p 올랐으며,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은 0.84%로 0.10%p 상승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전월 말(0.50%) 대비 0.09%p 오른 0.59%였다.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