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한미약품그룹 상장사 3곳 중 코스닥 상장사인 제이브이엠만이 연결 기준으로 양호한 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한미약품은 “1분기 실적 부진은 일시적인 영향일 뿐”이라며 “별도 기준 실적은 개선됐고,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밝혔다. 이어 “이를 바탕으로 도약에 나서겠다”는 의지도 강조했다. ◆ 한미사이언스·한미약품 1분기 연결 실적 ‘악화’…“해외 자회사 정상화中” 1일 업계에 따르면 한미약품그룹의 주요 상장사 중 제이브이엠을 제외한 한미사이언스와 한미약품은 전년 동기 대비 연결 기준 실적이 악화된 것으로 집계됐다. 제이브이엠(JVM)은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매출액으로 전년 동기 대비 6.6% 증가한 428억 원을 달성하며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영업이익은 89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1%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발생한 영업 외 수익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83억원) 대비 5.9% 감소한 78억 원을 기록했지만, 실질적인 순이익은 견조한 흐름을 유지했다. 한미사이언스는 연결 기준 1분기 매출액으로 전년 동기(3천202억원) 대비 3.8% 늘어난 약 3천322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약 271억
【 청년일보 】 휴엠앤씨 글로벌 윤리 인증 획득 및 에코바디스 심사에 통과하며, ESG 경영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기업임을 입증했다. 휴엠앤씨는 최근 글로벌 윤리인증인 ‘SMETA(Sedex Members Ethical Trade Audit)’를 취득했다고 30일 밝혔다. SMETA는 공급망 내 윤리적 성과 개선을 위한 비영리 조직 SEDEX가 개발한 글로벌 기준의 윤리 인증 심사다. 심사를 통해 해당 기업이 ▲근로 기준 ▲안전 보건 ▲환경 평가 ▲비즈니스 윤리 등의 지표 심사를 통해 해당 조직이 윤리적으로 운영하고 있음을 인증한다. 심사는 서류 검토와 근로자 인터뷰 및 심사원들의 현장 감사 등 엄격한 기준으로 이뤄진다. 휴엠앤씨는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제적 관심도가 높아진 만큼 SMETA 인증 획득으로 인한 기업 이미지 제고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휴엠앤씨는 최근 ‘에코바디스(EcoVadis) 지속 가능성 평가’도 재심사에 통과하며 실버 등급을 유지했다. 환경, 사회, 지배 구조에 대한 관리 시스템 운영을 강점으로 평가를 받았다. 에코바디스는 지난 2007년 프랑스에서 설립돼 전 세계 175개국 10만개 이상 기업이 활용하는 온라인 ES
【 청년일보 】 온코닉테라퓨틱스가 표준치료요법 병용을 통해 위암 동물모델에서 종양 크기를 비투여 대조군(Vehicle) 대비 최대 99.3%까지 감소시키는 성과를 이끌어 냈다. 온코닉테라퓨틱스는 ‘미국암연구학회 2025 연례회의(AACR 2025)’에서 차세대 이중기전 항암제 후보물질 ‘네수파립(Nesuparib)’의 위암 적응증 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AACR에서의 발표는 위암을 대상으로 세포 및 동물모델을 통한 비임상 연구에 대해 진행, 환자 유래 위암세포를 이식한 동물 모델시험 결과를 공개하며 네수파립의 우수한 항암효과를 입증했다. 연구 결과, DNA 복구 기능이 정상인 KATOIII위암세포를 이식한 마우스 모델에서 네수파립 단독 투여군은 종양 크기가 비투여 대조군(Vehicle) 대비 57.2% 감소했고, 위암 표준치료제 이리노테칸(Irinotecan)과 병용 투여 시 92.4%의 종양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올라파립은 단독 투여군과 병용군에서 비투여 대조군 대비 각각 30.1%, 60.7% 감소했다. HER2 양성인NCI-N87 위암세포를 이식한 동물시험에서는 네수파립 단독 투여군이 비투여 대조군 대비 74%의 종양
【 청년일보 】 SK바이오팜이 KRAS 변이 고형암 타깃 신약 개발 성과를 발표했다. SK바이오팜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 2025 연례회의(AACR 2025)’에서 ‘KRAS G12D 저해제’의 최신 연구 성과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30일 밝혔다. SK바이오팜은 이번 AACR에서 신규 화합물 구조 기반으로 개발한 경구용 KRAS G12D 저해제의 전임상 모델에서의 약효, 혈장 노출 수준과 같은 약물성 등에 대해 발표했다. 연구 결과, KRAS G12D 변이 췌장암(PDAC) 동물 모델에 해당 저해제를 경구 투여했을 때 강력한 항종양 효과를 확인했다. 체중 감소와 같은 유의미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에 따르면, KRAS G12D 저해제는 KRAS G12D에 대해 높은 선택성과 강한 결합력을 보이며 해당 변이를 가진 암세포주의 증식을 강력히 억제했다. 반면 다른 KRAS 돌연변이에 대해서는 50배~1천배 낮은 증식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정상 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현재까지 보고된 KRAS G12D 저해제 후보물질에 비해 우수한 혈장 노출 수준을 보였다. 경구 투여 흡수율(Oral Bioavailabili
【 청년일보 】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본격적인 의료용 마약류 수사를 위해 특별사법경찰관(특사경) 증원을 추진한다.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에 따르면 최근 식약처는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을 입법 예고했다. 이번 개정안은 지난달 18일 사법경찰직무법 개정·시행으로 특사경 직무 범위가 마약류관리법상 마약류 취급자까지 확대됨에 따라 수사 인력 5명을 증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따라 직제 개편을 거쳐 증원이 이뤄지면 식약처 특사경은 종전 24명에서 29명으로 확대된다. 증원되는 수사 인력 5명은 마취제 ‘프로포폴’을 비롯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 ‘메틸페니데이트’와 식욕 억제제 등 의료용 마약류 관련 범죄나 오남용에 대한 전문지식이 있는 직원이나 외부 전문가로 채워질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식약처에 총액인건비제를 활용해 증원한 정원 2명(행정주사·식품위생주사·수의주사 또는 전산주사 2명)의 존속기한을 2025년 5월 31일까지에서 2026년 5월 31일까지로 1년 연장도 추진한다. 한편, 식약처는 검찰청, 경찰청과 최근 처방환자 수가 급격히 증가한 프로포폴 등 마취제 및 ADHD 치료제(메틸페니
【 청년일보 】 HK이노엔이 주력 제품 ‘케이캡’을 비롯해 모든 사업 부문에서 고른 실적 성장을 이루며, 올해 1분기 2천47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의 수출이 급증했고, 숙취해소제 ‘컨디션’의 매출 회복으로 H&B(Health & Beauty) 부문에서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 1분기 매출 16.3% 증가…ETC·수액 등 고른 성장 30일 업계에 따르면 HK이노엔은 올해 1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HK이노엔의 올해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2천126억원) 대비 16.3% 증가한 2천474억 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254억 원으로 47.0% 증가했고, 당기순이익은 174억 원으로 66.2% 성장했다. 전문의약품(ETC) 부문에서는 당뇨·신장 질환 영역 매출이 ‘포시가’ 품목허가 취하의 영향으로 213억 원에 그쳐 전년 동기 대비 11.7% 감소했지만, 순환기·항암제 등 타 질환군에서는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순환기 사업 매출은 6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8% 증가했으며, 로슈의 ‘아바스틴’ 제휴 판매 개시로 항암제 매출도 상승세를 보였다. 또한, 수액 사업은 올해 1분기 매출 335억원
【 청년일보 】 HK이노엔이 차세대 면역항암제와 비소세포폐암 표적치료제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HK이노엔(HK inno.N)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 2025 연례회의(AACR 2025)’에서 2건의 항암신약 물질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 결과, 차세대 경구용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IN-122517(HPK1저해제)’은 대장암 동종이식모델(syngeneic models)을 대상으로 한 시험에서 항체면역항암제(anti-PD-1) 단독요법 대비 높은 항암 효능을 보였다. 병용 투여 시 종양이 완전 관해에 이르렀고, 투여 중단 후에도 지속적인 면역 기억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IN-122517’은 HPK1(hematopoietic progenitor kinase 1)저해제로, T세포를 비롯한 면역체계를 활성화시켜 항암 작용을 유도한다. 현재 2026년 임상시험계획(IND) 신청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또한, HK이노엔은 동아ST와 비소세포폐암 표적 항암제로 공동 개발 중인 EGFR 분해제 ‘IN-207039(SC2073)’ 연구 결과도 공개했다. ‘IN-207039(SC2073)’는 정상 EGFR(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 청년일보 】 유한양행의 차세대 면역항암제 ‘YH32367’의 안전성과 유효성이 입증됐다. 유한양행은 지난 4월 28일(현지 시각)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5)에서 YH32367(ABL105)의 임상 1상 결과와 렉라자(레이저티닙)의 임상 3상 연구에서 1차 치료 시 저항성 기전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면역항암제 YH32367은 HER2 발현 종양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해 T 면역세포 활성 수용체인 4-1BB를 자극해 면역세포의 항암 작용을 증가시키는 작용기전을 통해 종양 특이적 면역 활성을 높이는 동시에 종양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이중항체다. 이번 임상시험은 2022년 10월부터 한국과 호주에서 ▲담도암 환자 14명 ▲위암 환자 9명 ▲기타 고형암 환자 9명 등 총 32명의 환자에게 0.3mg/kg에서 30mg/kg까지 8단계의 용량을 단계적으로 증량하는 방식으로 3주 간격으로 투여하는 형태로 진행됐다. 임상시험 결과, 모든 용량에서 용량 제한 독성(DLT) 반응이 없었으며, 최대 내약용량(MTD)에 도달하지 않았다. 치료 관련 이상반응(TRAEs, Treatment-related AEs)은 10명(31%)에서
【 청년일보 】 삼진제약이 글로벌 사업 확대 및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사업개발 경험 등이 풍부한 이서종 이사를 영입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삼진제약은 한국노바티스와 에스씨엠생명과학에서 각각 사업개발 및 전략기획팀을 이끌었던 ‘이서종 이사를 ‘BD(Business Development)’ 담당 임원으로 영입했다. 이서종 이사는 라이선스 인·아웃을 비롯해 ▲파트너사 관리(Alliance Management) ▲기술이전 전략 수립 및 실행 ▲신규 파이프라인 검토 및 분석 등 사업개발 전반에 걸쳐 풍부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장과 제품에 대한 통찰력 및 실행력에서 탁월한 평가를 받고 있다. 삼진제약은 국내외 바이오 및 제약 기업과의 협업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이끌어온 이서종 이사의 합류로 향후 다양한 신사업 기회 발굴과 기존 파이프라인의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서종 이사는 “높은 성장 가능성으로 국내 제약산업에서 탄탄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는 삼진제약과 새로운 도약을 함께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그동안 쌓아온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삼진제약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 청년일보 】 C&C신약연구소가 STAT5/STAT3 이중 억제제의 작용기전과 비임상 효능 데이터를 최초 공개했다. JW중외제약과 로슈그룹 산하 주가이제약의 합작 바이오벤처 C&C신약연구소는 ‘미국암연구학회 2025 연례회의(AACR 2025)’에서 급성골수성백혈병(AML) 치료제로 개발 중인 STAT5/STAT3 이중 억제제 후보물질 CNC-01의 비임상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한 CNC-01은 STAT5 및 STAT3 단백질을 선택적이고 직접적으로 동시에 억제하는 경구용 저분자 화합물로, 기존 AML 치료제의 내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작용기전을 가진 혁신 신약(First-in-Class) 후보물질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CNC-01은 FLT3-TKD(F691L) 돌연변이 및 골수 미세환경을 모사한 다양한 내성 모델에서 기존 표준 표적치료제인 FLT3 억제제 대비 우수한 종양 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기존 AML 표준치료제로 사용 중인 BCL-2 억제제에 반응하지 않는 AML 동물모델에서도 CNC-01 단독 투여만으로 강력한 종양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BCL-2 억제제와의 병용 투
【 청년일보 】 휴온스그룹 휴온스랩이 최근 인간 유래 히알루로니다제를 활용한 제형 변경 기술 개발 가능성을 확인했다. 휴온스랩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미국암연구학회 2025 연례회의(AACR 2025)’에서 재조합 인간유래 히알루로니다제 ‘HLB3-002(rHuPH20)’를 활용한 제형 변경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히알루로니다제는 피하에 존재하는 히알루론산을 분해해 약물의 확산 효력을 증가시키는 물질로, 휴온스랩은 히알루로니다제를 활용해 항체의약품 정맥주사제(IV)를 피하주사제(SC)로 변경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연구진은 실험용 쥐(rat)를 대상으로 HLB3-002 및 인플릭시맙 복합제를 투여한 결과, 인플락시맙 단독 투여 대비 생물학적 이용률을 크게 높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120mg/mL 이상의 고용량 인플릭시맙에 HLB3-002를 첨가해 동물 약동학시험을 수행한 연구에서 HLB3-0020 첨가군에서 미첨가군 대비 약물확산 효력이 30% 이상 증가했다. 인플릭시맙의 투여용량을 2~3배 증가시켰을 때, 혈중 약물의 유효농도가 더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온스랩은 이를 통해 HLB3-002와 인플락시맙을 병용 투여할
【 청년일보 】 디지털 임플란트 전문기업 디오가 보건복지부로부터 소아 구강질환치료를 위한 연구개발 기관으로 선정됐다. 디오는 시술 전 3D 컴퓨터 모의시술로 진단해 환자상태에 맞는 시술방법을 결정하는 등의 최첨단 디지털 임플란트 시술법으로 주목 받고 있는 글로벌 전문 임플란트 기업이다. 29일 디오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소아의 부정교합 조기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 어린이의 악궁을 분석해 한국 어린이에게 최적화한, 구강 근기능 훈련 및 예방 치료장치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의 주관기관은 경희의료원(연구책임자 남옥형 교수)이며 부산대학교(신종현 교수), 경동대학교(최지원교수)가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의료기기 기업으로는 디오가 공동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 디오는 임플란트 전문 기업으로 최근 디지털 투명 교정사업 및 소아 용 투명교정 장치로 사업의 영역을 확대하고 있으며, 우수한 연구 인력을 기반으로 특히 치과 질환에 특화된 의료기기 개발 역량을 지니고 있다. 이번 연구는 1차로 총 3+1년 동안 진행하고, 심사를 통해 추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번 연구에 배정된 연구비는 총 11억2천500만원이다. 디오 관계자는 "연구 과정을 통해 개발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