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확진자가 급감했다. 전날보다 13만여명이 감소하며 25일 만에 20만명 아래로 내려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8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18만7천213명 늘어 누적 1천200만3천54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위중증 환자는 57명이 증가한 1천273명이며, 사망자는 287명이 증가해 누적 1만5천186명을 기록했다. 치명률은 0.13%다. 정부는 이날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유행이 국내에서 11주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11주 만에 오미크론의 유행이 정점을 지나 서서히 감소세로 전환되고 있다"고 말했다. 권 1차장은 "지난주 49만명(23일)까지 늘었던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는 오늘 18만7천여명으로 줄었다"며 "지난주 월요일(21일) 20만9천명과 비교해도 2만2천여명 적은 규모"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날 신규 확진자가 18만7천명으로 집계되는 등 코로나19 유행은 전주 대비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전파력이 더 강한 '스텔스 오미크론'이 국내에서도 우세종이 되고, 신규 확
【 청년일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이 지속되고 있다. 신규 확진자가 31만명대를 기록했다. 통상 평일 대비 주말 검사 건수가 감소하면서 일요일 집계치는 토요일보다 적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7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31만8천130명 늘어 누적 1천181만5천841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는 전날(33만5천580명)보다 1만7천450명 줄면서 지난 24일(39만5천568명) 이후 나흘 연속 30만명대로 집계됐다. 이날 신규 확진자는 1주일 전인 20일 33만4천642명과 비교하면 1만6천512명, 2주 전인 13일 35만168명보다 3만2천38명 적다.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31만8천87명, 해외유입이 43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는 경기 8만5천377명, 서울 5만9천151명, 인천 2만1천561명 등 수도권에서만 16만6천89명(52.2%)이 나왔다. 해외유입까지 더한 지역별 확진자는 경기 8만5천382명, 서울 5만9천151명, 인천 2만1천570명, 경남 2만553명, 경북 1만4천675명, 부산 1만4천454명, 충남 1만3천791명, 대구 1만3천218명, 전남 1만2
【 청년일보 】전국 곳곳에서 지난 25일 밤부터 몰아친 강한 비바람에 피해가 잇따랐다. 제주에서는 최대 순간풍속 초속 41m가 넘는 강풍과 함께 500㎜가 넘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시설물 파손이 속출했다. 26일 제주도 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지난 25일 오후 2시 27분과 3시 3분께 제주시 연동과 노형동의 주택 유리창이 잇달아 깨졌고, 오후 5시 6분께 제주시 한림읍 동명리 비닐하우스 구조물이 무너졌다. 제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25일 오후 3시부터 26일 오전 7시까지 지점별 강수량은 송당 178.5㎜, 선흘 135.5㎜, 새별오름 124.5㎜, 가시리 110.5㎜, 태풍센터 73.5㎜, 서광 67㎜, 한림 55㎜ 등이다. 제주공항에서는 234편(출발 113편, 도착 123편)이 무더기 결항했다. 무더기 결항했던 제주국제공항 항공편은 26일 정상화했다. 부산에서는 밤새 강풍을 동반한 최고 80㎜의 비가 내리면서 26일 오전 5시 21분께 남구 문현동 동천삼거리 일방통행 도로 인근 아파트 공사장에서 흘러내린 것으로 추정되는 토사가 유출됐다. 이 사고로 일방통행 일부 도로가 통제됐다. 이와 함께 정전도 잇달아 발생했다. 부산경찰청에 따르면 26일 오전 8시
【 청년일보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세가 이어지고 있다. 신규 확진자는 33만명대를 기록했다. 방역당국은 유행이 정점을 지나 신규 확진자 수가 완만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고 보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6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33만5천580명 늘어 누적 1천149만7천711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는 전날 33만9천514명보다 3천934명 줄면서 이틀째 33만명대로 집계됐다. 이날 신규 확진자는 1주일 전인 19일 38만1천413명과 비교하면 4만5천833명, 2주 전인 12일 38만3천653명보다 4만8천73명 각각 적다.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33만5천531명, 해외유입이 49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는 경기 9만775명, 서울 6만4천25명, 인천 1만6천785명 등 수도권에서만 17만1천585명(51.1%)이 나왔다. 해외유입까지 더한 지역별 확진자는 경기 9만775명, 서울 6만4천26명, 경남 2만2천679명, 인천 1만6천785명, 부산 1만6천362명, 경북 1만5천173명, 대구 1만4천217명, 충남 1만3천167명, 전남 1만2천849명, 전북 1만2천202
【 청년일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확산이 정점으로 치닫고 있다. 신규 확진자는 34만명에 근접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5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33만9천514명 늘어 누적 1천116만2천232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는 전날 39만5천597명(당초 39만5천598명으로 발표했다가 정정)보다 5만6천83명 줄면서 이틀째 40만명 아래로 집계됐다. 최근 1주간(19∼25일) 일평균 신규 확진자는 35만7천871명으로 직전주(12∼18일) 일평균 40만4천944명보다 4만7천73명 적다. 주요 감염사례로 대전에서는 요양시설 집단감염이 지속하고 있다. 동구에 있는 한 요양병원 환자 23명과 종사자 12명이 더 감염돼, 이 요양병원 누적 감염자는 105명으로 늘었다. 같은 구 요양원 27명(누적 126명), 대덕구 요양병원 19명(누적 69명)도 추가 확진됐다. 위중증 환자는 1천85명으로 전날(1천81명)보다 4명 늘었다. 위중증 환자 수는 지난 8일(1천7명) 1천명 선을 넘겼고 18일 연속 1천명 이상 네 자릿수를 기록하고 있다. 이날 0시 기준 전국 중증 병상 가동률은 65.6%(2천825개 중 1천854개 사
【 청년일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이 정점을 향하고 있다. 신규확진자는 50만명에 육박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3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49만881명 늘어 누적 1천42만7천247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된 신규 확진자는 전날(35만3천968명)보다 13만6천913명 급증했다. 지난 17일(62만1천205명) 확진자 수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수치다. 일주일 전인 지난 16일의 40만694명보다는 9만187명 많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49만839명, 해외유입이 42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는 경기 13만6천912명, 서울 10만1천133명, 인천 2만4천941명으로 수도권에서만 26만2천986명(53.6%)이 나왔다. 지난 17일부터 이날까지 일일 확진자 수는 62만1천205명→40만6천896명→38만1천421명→33만4천665명→20만9천145명→35만3천968명→49만881명이며 주간 일평균 확진자는 39만9천740명이다. 주요 감염사례로 대전에서는 요양시설 집단감염이 지속하고 있다. 동구 A요양병원 환자 51명과 종사자 3명이 추가 확진돼, 이 요양병원 누적 확진
【 청년일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세가 정점으로 치닫고 있다. 신규 확진자는 30만명대 중반을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2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35만3천980명 늘어 누적 993만6천540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된 신규 확진자는 전날(20만9천165명)보다 14만4천815명 급증하면서 다시 30만명대로 올라섰다. 지난 17일(62만1천281명) 최다를 기록한 이후 전날까지 주말·휴일 영향으로 나흘째 감소하다 이날 다시 증가했다. 일주일 전인 지난 15일의 36만2천303명보다는 8천323명 적은 수치로, 오미크론 확산이 본격화한 이후 신규 확진자 수가 매주 배로 불어나는 '더블링' 현상이 지속하다가 지난 주말부터는 오히려 일주일 전보다 확진자 수가 줄고 있다. 주요 감염사례로 대전에서는 요양병원 집단감염이 지속하고 있다. 동구의 한 요양병원 환자 8명과 종사자 5명이 더 확진돼, 이 요양병원 누적 확진자는 45명으로 늘었다. 서구에 있는 요양병원에서도 9명(누적 57명)이 추가 감염됐다. 이날 0시 기준 위중증 환자는 1천104명으로 전날(1천130명)보다 26명 줄었다. 위중증 환자는 지난
【 청년일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이 정점 구간에 들어섰다. 신규 확진자가 20만명대를 기록하면서 전날보다 12만여명 줄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1일 0시 기준으로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20만9천169명 늘어 누적 958만2천815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된 신규 확진자는 전날(33만4천708명)보다 12만5천539명 대폭 줄면서 지난 11일(28만2천976명) 이후 열흘 만에 20만명대로 감소했다. 일주일 전인 지난 14일의 30만9천779명보다는 10만610명 적은 수치로, 오미크론 확산 이후 신규 확진자 수가 매주 배로 불어나는 '더블링' 현상이 한동안 지속하다가 지난 주말부터는 오히려 일주일 전보다 확진자 수가 줄고 있다. 주요 감염사례로 대전에서는 요양병원 집단감염이 지속하고 있다. 동구의 한 요양병원 환자 34명과 종사자 10명이 더 확진돼, 이 요양병원 누적 확진자는 74명으로 늘었다. 유성구에 있는 요양병원에서도 19명(누적 74명)이 추가 감염됐다. 이날 0시 기준 위중증 환자는 1천130명으로 전날(1천33명)보다 97명 늘었다. 위중증 환자는 지난 8일 이후 2주째 1천명대를 이어가고 있다. 정
【 청년일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이 정점 구간에 들어섰다. 신규 확진자가 33만명으로 전날보다 4만여명 감소했다. 주말 검사 건수가 감소한 영향으로 일요일 집계치는 토요일보다 적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0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33만4천708명 늘어 누적 937만3천646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된 신규 확진자는 전날(38만1천454명)보다 4만6천746명 줄어 이틀 연속 30만명대를 기록했다. 다만 일주일 전인 지난 13일의 35만183명보다도 1만5천475명 적다. 전날도 일주일 전인 12일(38만3천655명)보다 2천201명 적은 신규 확진자가 나왔다. 오미크론이 본격 확산하면서 신규 확진자 수가 일주일 전과 비교해 정확히 배로 증가하는 '더블링' 현상이 한동안 지속하다가 최근 더블링이 다소 완화한 데 이어 이번 주말에는 오히려 일주일 전보다 확진자 수가 줄어든 것이다. 주요 감염사례로 인천시에서는 부평구 한 요양원에서 지난 6일부터 42명이 확진 판정을 받은 데 이어 최근 동일집단(코호트) 격리 중 29명이 추가로 감염돼 새로운 집단감염 사례로 분류됐다. 대전시 중구 모 중학교에서는 학
【 청년일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이 정점구간에 들어섰다. 신규 확진자는 38만명 초반대를 기록했다. 30만명대 확진자는 지난 15일(36만2천303명) 이후 나흘만이다. 정부는 오는 21일부터 사적모임 최대 인원을 6명에서 8명으로 늘리는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조치를 시행한다. 감염 규모가 더 커질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증가하고 있다. 집계상 신규 확진자는 지난 17일 62만명을 정점으로 하강하는 모양새지만, 오미크론 변이 유행이 실제로 정점을 돌아 감소세로 전환했는지 여부는 내주에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9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38만1천454명 늘어 누적 903만8천938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된 신규 확진자는 전날(40만7천16명)보다 2만5천562명 줄어 다시 30만명대로 내려왔다.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를 보면 지역발생이 38만1천391명, 해외유입이 63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는 경기 10만1천523명, 서울 8만2천132명, 인천 2만838명으로 수도권에서만 20만4천493명(53.6%)이 나왔다. 지난 13일부터 이날까지 일일 확진자 수는 35만182명→30만9천779명
【 청년일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이 정점을 향하고 있다. 국내 일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40만명대를 기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8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40만7천017명(국내 40만6천978명, 해외 39명) 늘어 누적 865만7천609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위중증 환자는 110명이 감소한 1049명이다. 사망자는 301명이 증가해 누적 1만1782명을 기록했다. 지난 11일부터 1주간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28만2천946명→38만3천684명→35만199명→30만9천775명→36만2천323명→40만711명→62만1천328명으로 하루 평균 약 38만7천281명이다. 주요 감염사례로 광주 북구 소재 요양병원 3곳에서 잇따라 추가 확진자가 나오는 등 집단감염이 188명 발생했다. 정부는 오는 21일부터 현행 6명인 사적모임 인원 제한을 8명으로 확대한다. 다만 오후 11시까지인 식당 등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 제한은 그대로 유지된다.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재한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에서 "다음 주 월요일(21일)부터는 사회적
【 청년일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이 정점을 향하고 있다. 신규 확진자는 전일보다 22만명이 증가해 60만명대로 급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7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62만1천328명 늘어 누적 825만592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는 전날 40만711명(당초 40만741명으로 발표 후 정정)보다 22만617명 폭증하면서 전날 처음 40만명을 넘어선 지 하루 만에 60만명대에 진입했다. 방역당국이 지난 14일부터 병원·의원에서 받은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결과가 '양성'인 사람도 PCR(유전자 증폭) 검사 없이 바로 코로나19 확진자로 분류하면서, 최근 신규 확진자 수가 대폭 증가한 상황이다. 전날 누락된 확진 신고 건수가 이날 집계에 포함되면서 증가세가 더해졌다. 당국은 시스템 오류로 인해 전날 0시 기준으로 발표된 확진자 통계에 주소지를 입력하지 않았거나 잘못 입력한 의료기관이 신고한 확진자 수치가 누락됐다고 밝혔다. 주요 감염사례로 광주에서는 요양병원 6곳에서 각각 10∼62명의 집단 감염 사례가 나오는 등 소규모 집단 감염이 이어지고 있다. 위중증 환자는 1천159명으로 전날(1천244명)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