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금융당국이 오는 2023년까지 모든 현금자동입출금기(ATM)를 시각·지체장애인 지원 기능을 갖춘 기기로 교체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18일 장애 유형에 상관없이 ATM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범용 장애인 ATM’ 설치 비중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범용 장애인 ATM이란 시각 장애 지원 가능과 지체 장애 지원 기능을 모두 갖춘 기기를 말한다. 시각 장애인을 위해 점자 표시와 화면 확대 기능, 이어폰 잭 등을 갖추고 있으며 지체 장애인들의 이동 편의를 위해 휠체어용 공간도 두고 있다. 금융위는 “2010년부터 이러한 장애 지원 기능을 갖춘 ATM을 도입·운영하고 있으나 범용 장애인 ATM이 충분하지 않아 이용 편의성 제고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 ATM 총 11만 5563대 중 장애인용 ATM은 10만 1146대(87.5%), 장애 지원 기능이 없는 ATM은 1만 4417대(12.5%)로 집계됐다. 장애인용 ATM 가운데서도 시각·지체 장애 지원 기능을 모두 갖춘 범용 장애인 ATM은 5만 4992대(47.6%)에 불과했다. 이에 금융위는 2023년 말까지 부가통신사업자(VAN사)를 제외한 전 금융권(은행·
【 청년일보 】 은행 현금입출금기(ATM)와 현금인출기(CD) 사용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대부터 도입되기 시작해 금융 문화를 획기적으로 바꾼 이들 은행 자동화기기는 신용카드 사용 정착과 인터넷·모바일 뱅킹이 확산화면서 설 자리를 점점 잃어가고 있다. 통장과 도장, 신분증 없이도 편리하게 현금을 찾고, 계좌 이체가 가능해 ATM·CD 앞에서 장사진을 치던 모습은 옛 추억이 될 날도 멀지 않았다는 얘기가 나온다. 은행 자동화기기도 줄어들고 있어 점차 역사 속으로 사라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29일 광주은행에 따르면 광주은행이 ATM·CD 등 자동화기기를 처음 도입한 것은 1985년이다. 이후 자동화기기를 꾸준히 늘려 2012년 854대로 최고를 기록했다. 그러나 2015년 661대로 크게 줄었고 2016년 627대, 2017년 610대, 2018년 606대로 매년 줄고 있다. 지난해에는 565대로 600대선이 깨졌다. 고객들의 자동화기기 사용이 그만큼 줄었기 때문이다. 최근 3년간 광주은행이 분석한 자동화기기 거래 건수는 2017년 2천22만여건, 2018 1779만여건, 지난해 1585만여건 등 매년 크게 줄고 있다. 자동화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