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지난주 건설·부동산 주요이슈는 지난해 6월부터 올해 3월까지 신고된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을 조사한 결과, 신규 전세 계약을 체결하는 임차인이 갱신 계약을 하는 사람보다 평균 1억5천여만원의 더 높은 보증금을 내야했던 것으로 나타났다는 소식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전월세 신고제가 도입된 지 이달 말이면 1년이 되는 가운데 도출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최근 금리 급등으로 대출 이자 부담이 커진 가운데 새 정부가 서민의 고금리·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을 저금리·고정금리로 바꿔주는 정책을 추진한다고 10일 전해졌다.
이와 함께 지난 15일 전면중단 된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올림픽파크포레온) 공사가 한 달이 다 돼 가지만 조합과 시공사업단(현대건설·HDC현대산업개발·대우건설·롯데건설) 간의 갈등은 오히려 장기화되고 있다는 소식이다. 새 조합 집행부는 당시 조합장이 해임된 사실 등을 거론하며 시공단과 이전 조합이 맺은 계약은 법적·절차적으로 문제가 많아 인정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서울 신규·갱신 전세 보증금 격차 '1억5천만원'...임대차 3법 영향
지난해 6월부터 올해 3월까지 신고된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을 조사한 결과, 신규 전세 계약을 체결하는 임차인이 갱신 계약을 하는 사람보다 평균 1억5천여만원의 더 높은 보증금을 내야했던 것으로 나타나. 이와 같은 결과는 전월세 신고제가 도입된 지 이달 말이면 1년이 되는 가운데 도출된 것.
9일 연합뉴스와 부동산R114 조사에 따르면 전월세 신고제가 시행된 지난해 6월 1일부터 올해 3월 말까지 신고(5월 3일 기준)된 서울 아파트 전월세 계약 18만3천103건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나. 이는 2020년 7월 말 갱신권과 전월세 상한제, 지난해 6월 초 전월세 신고제 등 임대차 3법이 도입된 후 전세 시장에 겹겹의 가격 형성 장벽이 생기며 벌어진 현상.
또한 전체 전월세 거래 건수 중 갱신계약으로 신고된 건수는 4만9천528건이며 이 가운데 갱신권을 사용해 임대료가 5% 이내로 제한된 경우는 3만3천731건으로 전체의 무려 68.1%에 달해. 갱신권을 사용한 비중은 전세가 월세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를 보여.
전세 재계약 3만7천824건 가운데 갱신권을 쓴 경우는 2만7천468건으로 72.6%에 이르렀으며 월세 재계약 사례 중 1만1천70건 중 갱신권을 사용한 경우가 53.5%(6천263건)인 것과 비교해 전세가 19.1%p 높은 것이라고.
한편 조사 기간 내 전세 거래(월세 제외) 중 동일 주택형 간의 전세 계약이 1건이라도 있었던 경우는 총 1만6천664으로 조사돼.
이중 신규 계약의 평균 보증금은 6억7천321만원, 갱신계약의 보증금 평균은 5억1천861만원으로 신규와 갱신 계약의 보증금 격차가 평균 1억5천461만원 수준으로 벌어져.이는 해당 기간 내에 전월세 계약을 체결한 세입자 가운데 신규 계약자가 갱신 계약자보다 평균 1억5천만원 이상의 보증금을 더 많이 낸 것을 의미.
갱신 계약과 신규 계약 보증금의 간격은 강남권의 중대형 고가 아파트의 경우 더 큰 것으로 조사돼. 강남구 대치동 동부센트레빌 전용 161.47㎡는 이 기간 갱신계약 보증금 평균이 21억원인 반면 신규 계약 보증금 평균은 38억원으로 그 격차는 무려 17억원이었던 것으로 나타나. 이는 갱신계약 보증금이 신규계약 평균 보증금의 절반을 살짝 웃도는 55.3% 수준인 것.
한편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전문가들은 계약갱신청구권 도입 2년이 되는 올해 7월 말부터 갱신권이 소진된 신규 계약 물건이 나오면서 임차인의 보증금과 임대료 부담이 더욱 커질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를 제기하고 있다고. 이는 추후 갱신권 적용 시 5%로 인상률이 제한되지만 신규 계약은 시세 수준으로 전셋값을 올릴 수 있기 때문.
특히 2020년 7월 말 계약갱신청구권·전월세 상한제가 시행된 이후 전셋값이 급등해 2년 전 전세가격과 비교하면 임대료 부담은 훨씬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한국부동산원 조사 기준으로 올해 3월 서울 아파트의 평균 전셋값은 6억3천294만2천원으로, 임대차 2법 시행 전인 2020년 7월 말 평균 4억6천458만1천원 대비 36.2%(1억6천836만1천원) 상승했는데 이는 2년 전 3월의 전셋값(4억6천70만원)과 비교해도 평균 37.6% 상승한 수치.
이중 강남구는 평균 전세가가 3월 현재 11억6천751만5천원으로, 2020년 7월(7억8천530만1천원)에 비해 48.7%(3억8천221만원)나 상승한 것이 관측돼. 이에 따라 새 정부의 주요 인사는 임대차3법 대대적으로 손질할 것임을 예고했으나, 국회 다수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입장을 고려할 때 큰 폭의 개선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어.
이에 정부는 현재 당장 법 개정이 쉽지 않다는 점을 고려해 임대 기간을 4년 이상 장기계약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는 '착한 임대인'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과 함께 민간 임대건설을 확대하며 소형 아파트 주택임대사업자 제도를 부활하는 등의 보완책을 논의 중이라고.
아울러 이달 말로 계도 기간이 끝나는 전월세 신고제와 관련해선 계도 기간을 연장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져.
◆5년 전 아파트 값, 현재의 전셋값 수준
현재의 전셋값만 있으면 아파트를 사고도 남을 정도로 5년간 집 값이 급등한 것으로 나타나. 9일 KB국민은행 월간 주택가격 동향 시계열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전국의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3억441만원으로 집계돼.
이는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기 직전인 2017년 4월 당시의 전국 아파트 평균 매매가(3억2008만원)보다 2000만원 높은 수준.
이 가운데 지난달 전국 평균 아파트값은 5억6045만원으로 조사돼. 5년 새 평균 아파트값은 약 2억4000만원(3억2008만원→5억6045만원), 평균 전세가는 약 1억원(2억3813만원→3억4041만원) 오른 것이라고. 전국 집값의 바로미터라고 할 수 있는 수도권 아파트 시장의 경우 주거비 폭등 현상이 더욱 뚜렷했던 것이 관측돼.
수도권 아파트의 평균 전셋값은 지난달 4억6천759만원으로 5년 전의 수도권 평균 아파트값(4억838만원)보다 6000만원 가까이 높아져 급격히 상승하는 추세를 보여.
지난달 수도권 평균 아파트값은 8억735만원으로 5년 전의 약 두 배로 띈 수준이며 서울의 경우 아파트값이 같은 기간 6억215만원에서 12억7722만원으로 두 배 넘게 급등해.
한강 이북 14개 구는 4억5650만원에서 10억1128만원으로, 한강 이남 11개 구는 7억2616만원에서 15억2548만원으로 강북과 강남 지역 모두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 강북 지역 역시 이미 고가주택 기준선인 9억원을 훌쩍 넘어섰고 강남 지역은 주택담보대출이 전면 금지되는 15억원을 돌파한 것이라고.
현재 아파트 평균 전셋값도 강북 지역과 강남 지역이 각각 5억5846만원·7억8307만원으로 5년 전 해당 지역의 평균 아파트 매매가보다 높아진 상황. 또 이 기간 경기도 평균 아파트값은 3억2189만원에서 6억2275만원으로 인천은 2억5957만원에서 4억6610만원으로 각각 5년 전의 가격으로부터 크게 상승해.
이 가운데 지난달 기준 경기와 인천의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각각 3억9070만원·3억120만원을 수준을 보여 역시 현 정부 출범 직전의 평균 아파트 매매가를 상회해.
이처럼 문재인 정부 들어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과 주거비가 급등한 가운데 지역별로는 노원·분당·연수구의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특히 상승세를 주도한 것으로 관측돼. KB시세 기준으로 2017년 4월 대비 지난달 아파트값은 전국적으로 평균 38.07%가 올라.
권역별로는 수도권의 상승률(56.40%)이 대전·대구·울산·부산·광주 등 5대 광역시(27.48%)와 기타지방(10.99%)보다 두 배 넘게 상승하는 추세를 보여. 수도권에서는 서울 61.21%, 경기 54.66%, 인천 47.06%의 상승률이 나타나.
기초단체별로 전국에서 평균 아파트값 상승률이 가장 높은 곳은 78.23%를 기록한 서울 노원구라고.
경기에서는 1기 신도시 지역 중 하나인 성남시 분당구가 77.78%로 도내 기초단체 가운데 상승률이 가장 높았으며 인천에서는 송도신도시가 있는 연수구가 67.72%의 수치를 보여 8개구 가운데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고 전해져.
◆서울 아파트 거래 30%가 '초소형'...비싼 아파트값 때문
올해 3월 서울의 전용면적 40㎡ 이하 소형 아파트 매매거래 비중이 월별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 금리인상, 대출규제 여파로 거래절벽이 이어지고 있는 와중에 평균 아파트값 대비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초소형 아파트로 수요가 몰린 것으로 관측돼.
1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3월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 1236건 중 전용면적 40㎡ 이하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349건(28.2%)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6년 이래 월별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
전용 40㎡ 이하 아파트는 보통 방이 하나인 분리형 또는 개방형 원룸 구조로 1인 가구의 수요가 많은 아파트 유형으로 전해져. 반면 ‘국민 평형’으로 불리는 전용 84㎡가 속한 61~85㎡ 아파트 매매거래 비중은 올해 2월 44.2% 수준이었지만 3월에는 초소형 아파트 거래비중과 비슷한 수준인 28.9%로 급락.
초소형 아파트의 매매가도 높아진 수요에 따라 상승한 것으로 조사돼.
부동산원 주간아파트동향에 따르면 이달 첫째 주(2일 기준) 서울 전용 40㎡ 이하 아파트 매매가격 지수(0.07%)는 다른 면적들과 비교해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
이 같은 맥락에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통계 시스템에 따르면 송파구 거여동 ‘블레스’ 전용 39.08㎡는 4월5일 기존 최고가보다 2억9800만원 오른 5억9700만원에 매매되기도.
◆고금리·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 저금리·고정금리로 바뀌나...새 정부 추진
최근 금리 급등으로 대출 이자 부담이 커진 가운데 새 정부가 서민의 고금리·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을 저금리·고정금리로 바꿔주는 정책을 추진한다고 전해져.
10일 관련 부처 등에 따르면 윤석열 정부는 서민의 주담대 중 높은 금리가 적용되는 변동금리 대출을 저금리의 고정금리 대출 상품으로 전환해 부담을 덜어주는 프로그램을 추가경정예산 사업 중 하나로 준비하고 있다고 밝혀. 이와 관련 금융위원회는 추경과 관련된 사항이라 공식 발표 전까지는 관련 사항을 확인해 줄 수 없다고 전해.
윤석열 정부가 이번 추경에서 주담대 지원책을 추진하는 배경에는 최근 금리 급등으로 인해 변동 금리로 대출받은 경우 서민층이 높은 이자에 원리금 상환 압박까지 이중고를 겪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전해져.
이에 따라 지난 2019년 시행됐던 주택금융공사의 '서민형 안심전환대출'과 같은 상품이 또다시 나올 가능성이 커져. 당시 대환 대상은 은행과 저축은행 등을 포함한 전 금융권에서 취급된 변동금리 또는 준고정금리 대출이었으며 고정금리 상품이어서 대환 첫 달부터 원금을 전액 균등분할 상환한다는 조건이 달린 바 있어.
해당 상품의 금리는 연 1.85~2.2%였지만 이번에는 현재 금리 상승세를 고려해 시중은행에서 취급되는 사실상 모든 고정·변동금리부 대출 중 가장 낮은 수준의 금리가 적용될 것으로 관측돼. 과거 이런 상품의 대출 대상은 부부 합산소득 8천500만원 이하인 1주택자, 시가 9억원 이하인 주택 등이었는데 현재 경제 상황을 고려해 이보다는 조건이 더 강화될 가능성이 있어.
◆1주택자 종부세·재산세 완화되나...공정가액비율 추가인하 검토
기획재정부는 11일 공정시장가액비율을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보다 더 낮추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밝혀.
공정시장가액비율은 종합부동산세(종부세)와 재산세 등의 산정 기준으로 활용되는 지표. 구체적으로 종부세는 공시가격에서 일정 금액을 공제한 후 공정시장가액비율을 곱한 금액으로 과세표준을 산출하기 때문에 이 비율이 내려가면 세금 부담도 함께 완화되는 효과가 있어.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이 종부세 공정시장가액비율을 윤 대통령이 공약에서 제시한 95%보다 더 낮추는 방안을 검토중.
윤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공정시장가액비율을 2021년 수준인 95%로 동결하겠다고 대선 과정에서 공약한 바 있어.
정부가 공정시장가액비율을 실제로 추가 인하한다면 2020년 수준인 90%, 2019년 수준인 85% 등이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정부는 11월 원활한 종부세 고지서 발송을 위해 공정시장가액비율 인하 범위, 재산세 관련 조정 등 추가 논의를 거쳐 8월 말까지 이 같은 방안에 대해 조정을 마친다는 방침.
다주택자도 공정시장가액비율 인하로 인한 세 부담 경감 혜택을 기해볼 수 있지만 공정시장가액비율이 주택 수별로 다르게 적용될 가능성도 있어. 이에 시행령이 개정된다 하더라도 다주택자는 1주택자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부담을 지게 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고.
◆연초 유연탄 가격 급등...시멘트 업계 실적 일제히 하락
연초 유연탄 가격 급등으로 인해 1분기 시멘트 업계의 실적이 크게 타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쌍용C&E는 연결기준으로 올해 1분기에 매출 3천762억원, 영업이익 4억5천만원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혀.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12%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98.6% 감소한 수치. 순손실은 155억원으로 적자로 돌아선 가운데 이 원인으로 제조원가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유연탄 가격과 기타 원부자재의 가격이 급등한 점이 지목돼.
아직 실적발표를 하지 않은 한일시멘트, 성신양회 등 다른 시멘트사들도 일제히 실적 하락이 예상돼.
다만 2분기부터는 실적 개선이 전망돼. 쌍용C&E를 비롯한 시멘트사들은 올해 2월 계약분부터 시멘트 가격을 t당 9만800∼9만2천원대로 15∼17%가량 인상했으며 5월부터는 레미콘 가격도 13.1% 상승했기 때문.
최근 시멘트 공급이 달릴 정도로 건설 수요가 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 작용을 할 것이라 예측돼.
◆전국 청약시장 열기 '주춤'...금리인상 등에 '직격탄'
금년 들어 청약 시장이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소식. 최근 1∼2년 이상 신규 공급이 집중된 대구 등 일부 지방은 물론 청약완판을 이어가던 수도권에서도 미분양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
공공택지내 분양가가 저렴한 아파트의 경우에는 여전히 높은 경쟁률로 청약이 마감되지만 민간 택지나 분양가 상한제 대상이 아닌 경우 미계약이 늘고 청약 미달 단지는 작년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는 모습. 집값이 오를 만큼 올랐다는 인식이 커진 데다 올해부터 아파트 분양 잔금에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하 DSR)이 적용되는 등 대출 규제가 까다로워지면서 수도권 청약시장도 주춤하고 있는 모양새.
12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달 경기 안성시에서 분양된 '안성 공도 센트럴카운티 에듀파크'는 전용 84㎡ 4개 주택형이 2순위 청약에서도 모두 미달해 전체 416가구 일반분양에 청약자 수도 182명에 불과했다고.
아울러 작년 말과 올해 초 대구 등 지방에서 시작된 미분양 우려가 수도권으로 점차 확산.
실제 부동산R114가 청약홈 통계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올해 전국에서 분양된 132개 단지 가운데 1개 주택형이라도 미달이 발생한 단지 수는 총 33곳으로 전체의 25% 수준.
특히 경기도는 올해 들어 분양한 총 37개 단지 중 22%인 8개의 단지가 모집 가수를 채우지 못했는데 이는 지난해 경기도에서 분양된 102개 단지 가운데 단 2%만 순위내 마감에 실패했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 들어 미달 비중이 10배 가까이 커진 수치.
전국의 경우를 보더라도 지난해 청약 미달 단지 비중은 전체 429곳 중 20%(84곳)로 올해보다는 5%포인트(p) 낮았던 바 있어.
특히 경기도의 경우 청약경쟁률이 지난해 평균 28.54대 1에서 올해 10.08대로 급락해.
업계는 청약시장의 이 같은 추세가 금리 인상으로 이자부담이 커진데 이어 올해부터 대출 규제까지 강화되면서 수요자들이 일부 이탈하는 데 따른 것으로 해석.
정부는 올해부터 차주별 DSR 적용 대상을 총대출액 2억원 이상(7월부터는 1억원 이상)으로 확대하고, 아파트 잔금 대출도 DSR 적용 대상에 포함하는 조치를 취한 바 있어.
이 때문에 분양을 받으려는 사람들이 대출 제약 때문에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 업계의 진단이다. 특히 실거주보다 투자 성향이 강한 오피스텔이나 생활숙박시설 등이 더 타격을 받고 있다고 업계는 내다봐.
여기에 더해 전문가들은 앞으로 분양시장의 양극화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관측하고 있는데, 이는 분양가 상한제 대상 민간 아파트나 분양가가 저렴한 공공택지내 아파트에는 청약자들이 몰리겠지만 고분양가나 입지 여건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단지는 자연스레 청약률이 하락하고 미분양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전망하고 있기 때문.
◆윤석열 정부, 안전진단 기준 완화 내년으로 미룰 듯
정부가 재건축 추진의 장애물로 꼽혀온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의 개정을 내년으로 미룰 것이라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내부 문건이 11일 한 매체에 유출.
지난 4월에 작성된 인수위의 중간보고서로 알려진 이 문건은 A4용지 1천170쪽 분량으로 윤석열 정부가 공개한 110개 국정과제 내용과 세부 이행계획이 세세하게 담겨.
이 문건에 따르면 인수위는 부동산 정책 이행 과제에서 '주택 재건축 판정을 위한 안전진단 기준 개정'의 이행시기를 내년 상반기로 미룬 것으로 알려져. 최근 재건축 대상 아파트값이 상승하는 등 시장이 불안 조짐을 보이자 이를 부추길 수 있는 안전진단 완화의 시기를 내년으로 미룬 것으로 해석.
윤석열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현재 안전진단 통과의 가장 큰 걸림돌로 꼽히는 구조안전성 비중을 현행 50%에서 30%로 낮추는 동시에 주거환경 비중은 15%에서 30%로, 건축 마감·설비 노후도는 25%에서 30%로 각각 높이는 방안을 공약.
주거환경 비중이 높아지면 주차장 부족 등으로 재건축을 원하는 단지의 안전진단 통과가 수월해진다고.
재건축초과이익 환수법이나 노후신도시 재생특별법(1기 신도시 법) 등 입법이 필요한 과제들은 올해 하반기 국회에 각각 개정·제정 법안을 제출하는 것으로 계획돼.
1기 신도시 특별법의 경우 양질의 10만가구 이상 추가 공급의 기반을 마련하되 대규모 이주에 따른 전세대란에 대응하기 위해 구역·단지별로 순차적으로 정비하고, 3기 신도시 등을 활용한 이주 전용 단지를 마련하겠다는 내용이 문건에 담겨.
재초환 규제 완화도 재건축 시장을 자극할 수 있는 요소지만 현재 서초구 반포현대 등 일부 재건축 단지들의 부담금 부과가 지연되고 있어 법 개정을 마냥 늦출 수는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여. 다만 부담금 완화 대상은 '실수요자, 장기보유자 등이 중심'이라고 명시돼.
또 윤 대통령 공약인 주택 250만호 공급 계획에 필요한 택지를 확보하고, 청년 실수요자를 위한 '청년 원가주택'은 사전청약 공급방안을 마련하고 내년에 최초 공급을 추진하기로 해.
'임대차 3법'과 관련해서는 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지만 여소야대 국회 여건을 고려하면 단기간 내 개정이 어렵다고 보고 오는 8월 전후 시장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대안을 검토하기로 하는 방안이 담겨.
◆둔촌주공 재건축 사태 장기화 불가피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올림픽파크포레온) 공사가 중단된 지 거의 한 달이 다 돼 가지만 조합과 시공사업단(현대건설·HDC현대산업개발·대우건설·롯데건설) 간의 갈등은 오히려 장기화되는 모양새.
12일 업계에 따르면 시공단은 전날 둔촌주공 일부 조합원으로 구성된 '정상화 위원회'와 만나 "조합 집행부와 자문위원단은 완전히 신뢰를 상실했다"며 "공사 재개 등 어떤 협의도 진행할 의사가 없다"고 밝혀. 그러면서 "이는 시공사 4개사 경영진과 현장소장들의 합의 사항으로 확고한 내용"이라고 강조.
둔촌주공 재건축 공사는 지난달 15일부터 중단된 상태다. 이미 절반 이상 진행된 대단지의 재건축 공사가 중단되는 초유의 사태를 맞은 것.
조합은 공사 중단이 10일 이상 이어지면 별도 총회를 열어 계약 해지에 나서겠다고 밝혔지만, 서울시의 중재 방안을 지켜본 뒤 향후 대응 방향을 결정하겠다며 관망하는 자세를 취해. 서울시는 공사 중단 이전에 강동구청과 함께 약 10차례에 걸쳐 양측 간 중재를 시도했으나 입장차는 좁혀지지 않았고, 공사 중단 이후에도 별다른 해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조합과 시공단 간 갈등의 근본 원인은 2020년 6월 시공단과 전임 조합 집행부가 체결한 5600억원가량의 공사비 증액 계약. 둔촌주공 전(前) 조합장은 시공단과 설계 변경 등의 이유로 공사비를 2조6708억원에서 3조2294억원으로 늘리는 계약을 맺은 바 있어.
새 조합 집행부는 당시 조합장이 해임된 사실 등을 거론하며 시공단과 이전 조합이 맺은 계약은 법적·절차적으로 문제가 많아 인정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어.
반면 시공단은 당시 공사 계약 변경이 조합 총회의 의결을 거쳤고, 관할 구청의 인가까지 받아 문제가 없다는 입장.
둔촌주공 재건축은 5천930가구를 철거하고 지상 최고 35층, 85개 동, 1만2032가구를 짓는 '단군 이래 최대의 재건축 사업'으로 꼽힌다. 현재까지 공정률은 52%에 달해.
◆서울 거주자 '원정투자' 가속...경기 아파트 거래중 "19.6%"
서울 거주자가 다른 지역 아파트를 구매하는 ‘원정 투자’가 활성화 되는 중. 경기의 경우 아파트 거래 5건 중 1건이 서울 거주자에 의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12일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거주자별 매매현황 통계에 따르면 서울 거주자의 다른 지역 아파트 매입 건수는 올해 3월 2563건으로 집계됐다. 전달(1865건) 대비 37.4% 오른 수치.
서울 거주자가 다른 지역에서 아파트를 매입한 건수는 지난해 8월(5836건) 이후 올해 1월(1736건)까지 5개월 연속 감소. 집값이 고점이라는 인식과 대출 규제 등이 원인으로 꼽혀.
1월 이후로는 상황이 반전돼. 두 달 연속 서울 거주자의 원정 아파트 매입 건수가 늘어났으며 특히 경기의 경우 3월 아파트 매매거래(6190건) 중 서울 거주자에 의한 거래가 1216건으로 전체의 19.6%에 달해.
【 청년일보=김원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