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윤 교육부 차관(좌측에서 두 번째)이 반도체 관련 인재양성 현장 시찰을 위해 지난 22일 경기도 안양시 대림대학교를 방문, 반도체기술교육센터에서 반도체 관련 실습수업을 참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20730/art_1658891529219_8101c8.jpg)
【 청년일보 】정부가 지방대학 육성 제도 정비를 통해 지역 인재의 지역 정착을 유도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27일 '지역인재 양성과 취업·창업 및 정주(定住)'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를 만들기 위해 지역발전 생태계 구축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지역 실정에 맞는 지방대학·지역인재 육성 방안을 논의할 수 있도록 지자체를 중심으로 대학, 교육청, 지역 산업계 등이 참여하는 '지역고등교육협의회' 구성·운영을 지원한다. 이어 지역 대학이 현재보다 자율적으로 산학연 사업 등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지역이 주도해 초·중등교육부터 취·창업까지 이어지는 지역인재 육성체계를 마련하도록 중앙(교육부 등)과 지역(지자체, 대학, 교육청, 기업 등)이 수평적으로 협약을 맺는 지역인재 투자협약 제도도 도입한다.
정부는 지역고등교육협의회와 지역인재 투자협약제도 도입을 위해 올해 하반기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 육성에 관한 법률'을 개정하고, 내년에는 투자협약제도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지역혁신플랫폼)'과 고등교육 분야의 규제 특례 제도인 '고등교육혁신특화지역'은 비수도권 전역으로 확대한다.
지역혁신플랫폼은 지자체와 지방대학이 참여해 지역의 첨단·핵심 산업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키우는 협의체다.
앞서 지난 2020년부터 광주·전남과 충북, 울산·경남과 대전·세종·충남 등 4개 권역에 구축했고, 올해는 대구·경북과 강원 등 2개 지역에서 출범한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지역 사정을 가장 잘 아는 지자체와 지방대학 등이 발전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교육부도 지방대학에 대한 재정지원을 확대하고 지역이 위기를 스스로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