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일보】 지난 4일 시행된 ‘공공기관 노동이사제’에 경영계는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자칫 노조 측으로의 힘이 더욱 편향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재계에서는 지난 문재인 정부 5년 동안 한국은 지나치게 노조 쏠림이 심화됐고 재계에선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지 않다는 지적을 수차례 제기해왔다. 이에 노사 갈등이 격랑에 휩싸였고 힘의 불균형 현상 등 고질적인 문제로 자리잡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명 ‘기울어진 노사 운동장’으로 비유되기도 하며 노동개혁 요구가 빗발쳤지만 진척된 성과는 찾아볼 수 없었다는 평가다. 노동이사제란 액면 그대로 근로자 대표가 이사회에 들어가 경영에 직접 참여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노동이사제를 도입해야 하는 공공기관은 한국전력공사, 한국마사회,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총 131곳에 달한다. 이 법안이 통과되기에 앞서 경제단체들은 입법 중단을 촉구했다. 재계 거물급으로 불리는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이하 경총)는 지난해 국회에서 여야 지도부를 만나 “현재와 같은 노사관계 속에서 노동이사제가 도입되면 이사회가 노사 갈등의 장으로 변질되고 효율적 의사결정의 지연, 정보 유출 등 많은 부작용이 있을 것이다"며 우려의 뜻을 전달했다. 그럼에도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