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9 (토)

  • 구름조금동두천 26.0℃
  • 맑음강릉 27.7℃
  • 구름많음서울 27.1℃
  • 구름많음대전 27.0℃
  • 흐림대구 26.7℃
  • 구름많음울산 25.0℃
  • 흐림광주 23.9℃
  • 흐림부산 23.3℃
  • 흐림고창 24.2℃
  • 제주 22.9℃
  • 구름많음강화 25.3℃
  • 구름많음보은 25.7℃
  • 흐림금산 25.8℃
  • 흐림강진군 23.6℃
  • 구름많음경주시 27.1℃
  • 흐림거제 23.2℃
기상청 제공

인플레 둔화 시그널에도...연준 고위인사들 매파적 기조 유지

보스틱 총재 "상품뿐 아니라 서비스 물가의 상승세도 둔화해야"
하커 총재 "통화정책 충분히 제약적인 수준"...속도 조절론도 대두

 

【 청년일보 】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주춤하고 있다는 신호들이 감지되고 있음에도 불구,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고위 인사들은 매파(통화긴축 선호)적 기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연은 홈페이지에 글을 올려 "몇 줄기 희망이 있다"면서도 "광범위한 물가상승률 완화의 지표가 나와야 한다"고 언급했다.

 

현재 미국 시장에서는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찍은 게 아니냐'는 기대감이 고객를 들고 있다.

 

10월 미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월(8.2%)은 물론 시장 전망치(7.9%)보다 낮은 7.7% 상승한 데 이어 이날 발표된 10월 생산자물가지수(PPI) 역시 시장 전망치를 하회하면서 4개월 연속 둔화세를 이어갔기 때문이다.

 

이에 시장에서는 연준의 통화긴축 정책이 예상보다 일찍 막을 내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지만, 연준의 입장은 아직 긴축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스틱 총재는 "물가상승률을 우리의 목표치(2%)로 되돌릴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제약적인 수준의 통화정책을 달성해야 한다"며 "우리는 아직 그 지점에 이르지 못했다. 그래서 더 많은 금리인상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상품뿐 아니라 서비스 물가의 상승세도 둔화해야 한다며 "아직은 그렇지 않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특히 서비스업이 노동집약적 산업이라는 점을 거론하며 "노동시장은 여전히 경직돼 있고 이로 인해 임금에 상방 압력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아울러 연준의 긴축적인 통화정책이 실제 물가상승률을 낮추는 데 걸리는 정책 시차에 대해선 일부 연구 결과를 인용하면서 "18개월에서 2년이 걸릴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리사 쿡 연준 이사도 같은 날 한 온라인 행사에서 "물가상승률이 너무나 높다"라며 "연준의 초점은 인플레이션 대응에 맞춰져 있다"고 언급했다.

 

다만 강력한 긴축이 경기둔화를 촉진할 수 있는 만큼,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입장도 최근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는 이날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통화정책이 이미 충분히 제약적인 수준에 진입한 상태라며 "향후 몇 달 안에" 금리인상의 속도를 늦출 것으로 전망했다.

 

하커 총재는 "신용카드 구매 데이터를 보면 미 경제 활동의 70%를 차지하는 소비자 지출이 느려지고 있다"며 "주택 투자가 감소했고 제조업 호황마저 꺾이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 청년일보=이나라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