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구 서울서부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게시된 일자리 정보.[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30102/art_16737428096773_40e4d6.jpg)
【 청년일보 】 주 36시간 미만 취업 시간 근로자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취업자 10명 중 3명은 취업 시간이 주 36시간 미만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36시간은 단시간 근로자와 전일제 근로자를 가르는 기준으로 활용된다.
1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과 연합뉴스의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작년 주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802만8천명으로 전체 취업자(2천808만9천명)의 28.6%를 차지했다.
◆36시간 미만 근로자 2000년 9.7%...22년 만에 약 3배 증가
통계에 따르면 36시간 미만 취업자 규모와 비중 모두 1980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다.
2021년에는 36시간 미만 취업자가 670만6천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24.6%를 차지했다. 36시간 미만 근로자가 전체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9.7%에 불과했으나 22년 만에 약 3배로 늘었다.
지난해 취업자의 주 36시간 미만 근무 사유를 살펴보면, 평소에도 일주일에 36시간 미만으로 일한다고 한 경우가 58.5%로 가장 많았고 연·휴가와 공휴일 때문이라고 한 취업자(31.3%)가 그 뒤를 이었다.
일시적으로 일거리가 없어서(5.8%), 일시적인 병·사고(1.3%), 사업 부진·조업 중단(1.0%), 일기 불순(0.9%), 가족적 이유(0.5%), 육아(0.2%), 교육·훈련(0.1%) 등 이유로 36시간 미만 일한 경우도 있었다.
작년에는 8월, 9월, 10월 취업자 조사 대상 주간(매월 15일이 속한 일주일) 평일에 공휴일이나 대체공휴일이 포함돼 공휴일의 영향이 특히 컸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연령별 60대 이상 최다...36시간 미만 취업자 12.3% 더 일하기 원해
36시간 미만 취업자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60대 이상(31.0%)이 가장 많았고 이어 50대(20.5%), 40대(18.3%), 20대 이하(16.1%), 30대(14.1%)의 순이었다.
36시간 미만 취업자 가운데 12.3%(98만6천명)는 더 많은 시간 일하기를 원했다.
더 일하기를 원하는 36시간 미만 취업자 비중은 50대(15.9%), 40대(13.2%), 30대(12.6%)에서 높고, 20대 이하(10.7%), 60대 이상(10.1%)에서 비교적 낮았다.
36시간 미만 취업자 중에서 추가 취업을 원하고 실제 추가 취업이 가능했던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는 83만6천명이었다.
지난해 주 36시간 미만 취업자를 공휴일이나 연·휴가 때문에 취업 시간이 줄어든 경우를 제외하고 보면, 551만2천명(전체 취업자의 19.6%)으로 전년보다 6만8천명(1.3%) 늘었다.
취업자 5명 중 1명꼴이다.
이렇게 범위를 좁히면 더 많이 일하기를 원하는 취업자 비중이 17.3%로 높아진다.
특히 30대(25.1%), 50대(24.3%), 40대(23.1%)인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4분의 1 안팎이 근무 시간을 늘리거나 부업을 하거나 더 많이 일할 수 있는 다른 직장으로 옮기고 싶어했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